•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Library    아티스트
      • 다프트 펑크(Daft Punk)
        데뷔/결성 : 1997년
        활동시기 : 1990년대
        토마스 방갈테르(Thomas Bangalter) 기이 마뉴엘 드 오멩 크리스토(Guy-Manuel de Homem-Christo)
      • DATE : 2001/06   |   HIT : 11827
      • by 안재필
      • 라디오헤드(Radiohead)는 더 이상 록 밴드가 아니다. 지난해의 와 올해의 을 통해 그들은 자신들이 ‘Creep’을 연주했던 때를 망각하고 철저히 일렉트로닉으로 돌아섰다. 과연 라디오헤드의 충격적인 전향이 옳고 그른지는 후대에서 판단할 일이지만 전자 음악의 기세가 한풀꺾인 시점에서 행해졌다는 것은 자신감을 훌쩍 넘어선 커다란 모험임은 분명하다.

        프랑스의 듀오 다프트 펑크도 록 그룹에서 일렉트로니카로 옷을 갈아입은 밴드다. 하지만 라디오헤드와 다른 점은 누구도 알아주지 않는 무명이었을 때 변신했다는 점이고, 그 때가 테크노가 대중 음악의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을 무렵이라는 것이다. 모험이 아닌 시대 상황을 잘 간파하여 등장한 걸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눈치 빠른 듀오는 미국의 디스코와 하우스 위에 펑크(Funk)를 접목시켜 1990년대 중.후반 전세계 클럽 신을 열광시키며 클럽 음악의 혁신자로 단숨에 떠올랐다. 그들의 이름을 전세계로 전파시킨 스매시 히트 싱글 ‘Da funk’가 대표적이다.

        어린 시절부터 막역한 친구 사이였던 기이 마뉴엘 드 오멩 크리스토(Guy-Manuel de Homem-Christo, 1974년 생)와 토마스 방갈테르(Thomas Bangalter, 1975년 생)는 달링(Darling)이라는 밴드 명으로 각자 기타와 베이스를 연주하며 위대한 록 밴드의 되겠다는 열망에 사로잡힌 시절을 보냈다.

        하지만 프랑스의 록음악의 전반적인 부분에 회의를 느낀 그들은 당시 즐겨 찾던 댄스 클럽에서 흘러나오는 전자 음악에 매료되어 테크노 듀오 다프트 펑크로 탈바꿈했다. 데뷔 앨범도 발표하기 전에 공개한 일렉트로 펑크(Funk) 싱글 ‘Da funk’가 지구촌의 클럽 가를 휩쓸면서 듀오는 일약 테크노 신의 뉴 페이스로 떠올랐고, 곧 이어 메이저 레이블 <버진(Virgin)>과 음반 계약을 체결하는 초고속 행진을 했다.

        200만장의 판매고를 올린 1997년 밴드의 데뷔작 는 인공 음악의 결정판이었다. 하우스, 디스코, 펑크(Funk)가 한데 어울린 음반은 인간이 아닌 로봇이 만든 것처럼 메마르고 건조했다. 조그마한 오류도 끄집어 내지 못하도록 그들은 철저히 기계에 의해 통제하고 제압했다.

        크라프트베르크(Kraftwerk)시절부터 로봇에 의해 조종당해온 클러버(Clubber)들은 듀오의 ‘Revolution 909’, ‘Da funk’, ‘Around the world’ 등의 수록곡들과 쉽게 공유했고, 세계적으로 네트워크화 시켰다.

        그러나 세월의 흐름은 영원히 인공지능으로 살아갈 것 같은 다프트 펑크를 조금씩 ‘인간’으로 만들어갔다. 1집 이후 4년이 지난 올해 내놓은 두 번째 작품 는 듀오도 인간임을 증명하는 ‘휴먼 앨범’이었다. 건조함으로 일관했던 전작과 달리 2집은 멜로디와 보컬이 가미되면서 매우 매끄러워졌다. “우리는 를 다시 만드는 원치 않았다. 우리는 뭔가 새로운 것을 배우기를 원했다. 우리는 이 음반을 감정 위에서 작업했다.”

        프랑스 차트 정상을 차지한 첫 싱글 ‘One more time’은 하우스 싱어 로만소니(Romanthony)가 참여한 댄스 팝이며, 사랑스러움이 넘쳐나는 ‘Digital love’는 다프타 펑크식 러브 송이다. ‘Harder, better, faster, stronger’는 1980년대 유로 댄스를 회상케 하며, ‘Something about us’는 흑인의 냄새가 베어있는 리듬 앤 블루스이다.

        의 골수 팬들은 신보에서 명백히 드러난 다프트 펑크의 인간성 확립에 불만을 품을 지도 모르겠다. 허나 이는 지극히 다프트 펑크적인 모습이다. 인간과 로봇 사이에서 고민하고 갈등하는 것은 어차피 듀오가 겪게될 일이었다. <은하철도 999>에서의 철이와 메텔처럼 말이다. 그들은 그것을 좀 더 인간적인 음악으로 풀어낸 것뿐이다. ‘진짜’ 인간이기에.
      • 2001/06 안재필(rocksacrifice@gmail.com)
      • 앨범 리뷰
      • 싱글 리뷰
      • Get lucky (Feat. Pharrell Williams, Nile Rodgers) 다프트 펑크 윤은지 2013 11575
      • 아티클
      • 아듀, 다프트 펑크 : 1993-2021 다프트 펑크 장준환 6954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뉴진스
        Attention
        • [Interview] [IZM이즘x문화도시 부평] #25 오헬렌
        • [Feature] [무비즘] 리스펙트
        • [Album] Geekyland
        • [Single] Attention
        • [Single] Degradation rules (Feat. Tony Iommi)
        • [Single] Seoul drift
        • [Single] Beautiful monster
        • [Album] Bare&Rare Pt.1
        • [Feature] [무비즘] 더 로즈
        • [Album] Psychopomp
        • [Album] The Other Side Of Make-Believe
        • [Feature] [한국대중음악의 재발견] 정훈희의 '안개'
        • [Feature] [무비즘] 보헤미안 랩소디
        • [Album] Space Talk
        • [Feature] [무비즘] 앙코르





      • Editors' Choice
      • Last Night In The Bittersweet
        파올로 누티니
        시대를 초월한 70분의 대서사시, 달콤쌉싸름한 콜라주.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 클라우드] EP. 08 : 2022 펜타포트 요일별로 쪼개봅니다!(타히티80, 뱀파이어 위캔드, 모과이...) with 장준환, 염동교 필자
        • [뮤직 클라우드] EP. 07 : 상반기 결산 part2_국내편 (한정인, ...
        • [뮤직 클라우드] EP. 06 : 상반기 결산 part1_해외편 (로스 비초...
        • [요즘 음악] 3화 '하우스와 팬데믹' 그리고 '비욘세 & 찰리 XCX의 유...
        • [뮤직 클라우드] EP. 05 : K 팝과 만난 팝 펑크, 음악계의 시간은 ...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