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Library    아티스트
      • 맨하탄 트랜스퍼(Manhattan Transfer)
        데뷔/결성 : 1969년
        활동시기 : 1970, 1980, 1990년대
        팀 하우저, 알란 폴, 재니스 시걸, 쉐릴 벤팅, 로렐 마세이
      • DATE : 2001/12   |   HIT : 9692
      • by IZM
      • 맨하탄 트랜스퍼는 재즈 외에도 팝, R&B, 가스펠에 이르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4명의 보컬리스트들의 탁월한 하모니로 들려주는 재즈 보컬그룹이다. 2명의 남자와 2명의 여자로 구성된 이 그룹은 창작곡보다는 기존의 팝, 재즈 연주곡들에 가사를 붙여 부르는 작품 방식에 역점을 둔다. 귀에 익숙한 재즈 연주곡에 가사를 붙여 노래하는 이들의 노래는 오리지널 이상의 향기를 제공하며 그 이상의 반응을 창출한다.

        1969년 팀의 리더인 팀 하우저(Tim Hauser)를 중심으로 모인 4명의 보컬리스트들이 모여 결성되었다. 1971년 첫 앨범 <Junkin>을 발표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여기에 멤버들 각자의 음악 지향성이 달라 이듬해 결국 활동이 정지되고 만다. 이후 팀 하우저는 공사장에서 건물을 파괴하거나 택시운전을 하면서 근근히 생활을 꾸려 간다.

        얼마 후 그는 가수 지망생 로렐 마세이를 알게되고, 재니스 시걸(Janis Siegel; 1952- )과 알란 폴(Alan Paul; 1949- )을 맞이하여 제 2기 맨하탄 트랜스퍼를 결성하여 뉴욕에서 활동을 하던 중, 1975년 어틀랜틱 레코드사에서 <The Manhattan Transfer>를 발매함과 동시에 그 해 여름 CBS의 TV 쇼에 출연해 대중들에게 이름을 알리는 큰 기회를 얻었다. 이후 몇 년 동안 투어 활동을 통해 전 세계로 그들의 활동 영역을 넓혀 나갔다. 1976년에 <Coming out>, 1978년엔 <Pastiche> 그리고 이듬해 <Extension>을 잇따라 발표하며 유럽 차트 Top 10에 연달아 오르는 성과를 거둔다.

        그러나 <Extension>앨범이 발매되면서 로렐이 솔로 전향을 이유로 그룹을 탈퇴, 그를 대신해서 들어온 쉐릴 벤팅(Cheryl Bentyne, 1954년생)이 가입, 지금까지 이 멤버 구성으로 맨하탄 트래스퍼의 호흡을 맞추고 있다.

        80년대엔 전성기를 구가했던 시기다. <Extension>에 전속 작사가 존 핸드릭스가 가사를 붙여서 유명해진 웨더 리포트의 ‘Birdland’의 송-버전으로 1980년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재즈 퓨전 가창상을 수상한 것을 시작으로 1981년 ‘Boy from New York City’로 팝 보컬 그룹상, ‘Until I made you’로 동년 재즈 보컬 그룹상, ‘Route 66’으로 1982년 재즈 보컬 그룹상, 1983년 ‘Why not’으로 재즈 보컬 그룹상 등 4년 연속 그래미상 수상의 쾌거를 올렸다.

        1985년 <Vovaless>로 재즈 보컬 그룹상과 앨범에 수록된 ‘A night in Tunisia’의 보컬 편곡을 담당했던 바비 맥퍼린이 보컬 어레인지먼트 상을 수상한데 이어 1988년에도 < Brazil>로 팝 보컬 그룹상을 수상했다.

        이들 중 1985년에 발표했던 <Vocaless>는 네 멤버의 목소리 하모니가 최정점에 달하고있음을 보여준 음반으로서 소니 롤린스, 디지 길레스피. J. J. 존슨, 레이 찰스, 카운트 베이시 등의 재즈 스탠다드를 4명의 보컬 연기로 해석한 수작이었다. 그룹의 전속 작사가인 존 헨드릭스(Jon Hendrix)와의 공동작업은 ‘Birldland’이후 이 작품에서도 두드러졌는데, 마이클 잭슨의 <Thriller> 다음으로 그래미상 사상 가장 많은 12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된 기록을 가지고 있다.

        1990년대 들어 맨하탄 트랜스퍼는 4년만의 침묵을 깨고 1991년 콜럼비아사를 통해 <The Offbeat of Avenue>를 발표한다. 1994년에는 아이들을 위해 제작한 앨범 <Tubby & Tuba>를 내놓았고, 이듬해에는 R&B 색채가 강해진 이듬해 앨범 <Tonight> 그리고 1997년에는 당시 스윙 붐을 타고 전체를 스윙으로 장식한 <Swing>을 내놓았다. 1990년대 이들의 활동을 80년대와 비교해 본다면 다양한 장르를 통한 보컬 음악보다는 재즈에 보다 중심을 둔 음악을 들려주었다고 할 수 있다. 3년이 지난 2000년 그룹은 루이 암스트롱 탄생 100주년을 맞아 그에게 헌정하는 <Spirit Of St. Blues>를 발표, 여전히 왕성한 활동을 하고있다.
      • 2001/12 IZM
      • 앨범 리뷰
      • 아티클
      • 맨하탄 트랜스퍼 공연 후기 맨하탄 트랜스퍼 김獨 3927
        Manhattan Transfer 내한 공연 맨하탄 트랜스퍼 소승근 3763
      • 최근 업데이트
      • Album
        웬디
        Like Water
        • [Album] Like Water
        • [Album] VOICE : The Future Is Now
        • [Album] Cherry Rush
        • [Album] HOODSTAR 2
        • [Album] 공간반응
        • [Album] KOSMOS
        • [Interview] 던밀스 인터뷰
        • [Single] 그냥 안아달란 말야
        • [Single] WHOO (Feat. 마미손)
        • [Single] 밤이 되면
        • [Single] Kiss me more (Feat. SZA)
        • [Album] Mood Swings
        • [Album] Spaceman
        • [Album] CIRCLE
        • [Album] Life Support





      • Editors' Choice
      • Happiness Begins
        조나스 브라더스
        [정효범] 각자의 길을 걷던 2000년대 소년들이 2019년의 팝을 장착하다.
      • 팟 캐스트더보기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8회 2부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