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Library    아티스트
      • 다이아나 로스(Diana Ross)
        데뷔/결성 : 1969년
        활동시기 : 1960, 1970, 1980, 1990, 2000년
        솔로
      • DATE : 2002/07   |   HIT : 15073
      • by 소승근
      • 다이아나 로스(Diana Ross)는 록 역사에서 그룹 멤버와 솔로 아티스트로서 모두 정상의 자리에 오른 몇 안 되는 여성 가수다. 그녀가 리더로 있던 3인조 슈프림스(Supremes)는 1961년부터 1969년 해산할 때까지 12곡의 1위 곡과 10곡의 탑 텐 싱글을 배출하면서 여성 보컬 그룹의 스타일을 규정지었고, 1969년부터 시작한 솔로 활동으로 다시 6곡의 빌보드 싱글 차트 1위 곡을 포함한 26곡을 탑 40에 진입시키면서 그녀는 화려한 날개를 달고 높이 비상(飛上)했다. 이모션스(Emotions), 제이드(Jade), 티엘시(TLC), 스파이스 걸스(Spice Girls) 등 거의 모든 여성 보컬 그룹은 다이아나 로스가 ’짱’으로 있던 슈프림스의 그림자로부터 벗어나지 못했고 그 벽을 넘어야 비로소 여성 보컬 그룹의 1인자로 공인 받을 수 있었다.

        또한 그녀는 피부 색깔에 관계없이 수많은 뮤지션들에겐 훌륭한 스승이자 좋은 선배의 본보기였다. 마이클 잭슨의 어린 시절 우상이 바로 다이아나 로스였으며 그녀를 닮길 원해 성형 수술을 한 것은 유명한 일화로 남아있다(비록 실패하긴 했지만). 마이클 잭슨의 1987도 앨범 에 수록된 ’Dirty Diana’가 싱글로 커트 되었을 때 많은 호사가들은 잭슨의 로스에 대한 애정(愛情)이 애증(愛憎)으로 바뀌었다고 섣부른 결론을 내리기도 했다.

        1960년대 흑인 음악의 공장 모타운 레코드의 주력 상품이었던 슈프림스의 리드 보컬로 있으면서 모타운의 사장 베리 고디와 로맨틱한 관계를 유지했던 다이아나 로스는 뛰어난 외모와 치밀하게 아름다운 가창력, 그리고 세련된 매너로 그룹의 스포트라이트를 독차지했다. 그녀의 이 스타 기질과 베리 고디의 아낌없는 서포트에 힘입어 다이아나 로스가 1969년 독립 활동을 발표하자 걸 그룹의 최고봉 슈프림스는 해산한다.

        ’Reach out and touch(20위)’, ’Remember me(16위)’, ’Surrender(38위)’, 그리고 마빈 게이(Marvin Gaye)와 태미 테럴(Tammi Terrell)이 함께 불러 1967년에 19위를 기록했던 ’Ain’t no mountain high enough’를 리메이크해 싱글 차트를 3주간 정복한 다이아나 로스는 성공적인 홀로서기를 했다. 이 노래들은 1984년 ’Solid(12위)’란 히트곡을 낸 부부듀엣 애쉬포드 & 심슨(Ashford & Simpson)이 수혈한 작품들이었다. 그녀의 이러한 엔터테이너적 재능은 단지 무대 위에서만 한정되지 않았고 스크린에서도 그 끼를 발산했다. 전설적인 재즈 싱어 빌리 홀리데이(Billie Holiday)의 일생을 영화로 만든 <레이디 싱스 더 블루스>에서 빌리 홀리데이 역을 성공적으로 소화해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르는 영광을 이루었고, 이후 <마호가니>와 <더 위즈> 등의 영화를 비롯해 TV 영화에도 얼굴을 내밀어 가볍지 않은 연기력을 과시했다.

        흑인 디바 다이아나 로스는 1970년대를 통해 ’Touch me in the morning(1973년 1주간 1위)’, 마빈 게이와 호흡을 맞춘 ’You’re a special part of me(12위)’, ’Last time I saw him(14위)’, 국내에서도 애청된 ’Do you know where you’re going to(1976년 1주간 1위)’, 디스코 스타일의 ’Love hangover(1976년 2주간 1위)’ 같은 대형 히트곡들을 발표하면서 팝 역사에 ’다이아나 로스’라는 이름의 철도를 가설했다. 특히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디스코 성향의 곡들을 취입했는데 바로 그 상업적 음반의 결정판이 디스코가 사향 길에 접어들고 새로운 물결인 뉴웨이브가 도래하던 1980년에 공개한 이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디스코 밴드로 꼽히는 쉭(Chic)의 사령관이던 나일 로저스(Nile Rodgers)와 버나드 에드워즈(Bernard Edwards) 콤비가 전 곡의 작곡과 제작을 전담한 이 작품에서는 신해철이 한때 열광했다는 ’Upside down’이 그녀에게 다섯 번째 넘버원의 영광을 선사했고, 두 번째 싱글 ’I’m coming out’은 5위를 기록했다. 이 ’I’m coming out’은 1997년 노토리어스 B.I.G.(Notorious B.I.G.)의 두 번째 1위 곡인 ’Mo money mo problems’에 샘플링 되어 재조명되었다.

        1980년에는 마이클 더글라스(Michael Douglas) 주연의 영화 주제가 ’It’s my turn(9위)’과 1981년에는 코모도스(Commodores) 출신의 라이오넬 리치(Lionel Richie)와 함께 영화 <끝없는 사랑>의 사랑의 테마 ’Endless love’로 빌보드 싱글 차트를 9주 동안 장기 집권하면서 영화 음악으로도 쉼 없는 인기 행진을 이어갔다. 1994년에는 머라이어 캐리(Mariah Carey)와 루더 밴드로스(Luther Vandross)가 다시 불렀지만 원곡의 부드러움과 원숙함에는 미치지 못했다(1994년 2위).

        이렇듯 1980년대 초반 이 흑진주의 인기는 거칠 것이 없었다. 1956년 6위를 기록했던 프랭키 라이몬 & 더 틴에이저(Frankie Lymon & The Teenager)의 ’Who do fools fall in love’를 커버해 7위에 랭크시켰고 ’Mirror Mirror’는 8위,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이 작곡과 프로듀싱을 담당한 ’Muscles(10위)’ 등으로 인기 차트를 융단폭격 하면서 올리비아 뉴튼 존(Olivia Newton John)과 함께 1980년대 초반 흑과 백을 대표하는 양대 산맥으로 우뚝 섰다.

        1984년에는 훌리오 이글레시아스(Julio Iglesias)의 영어 앨범 <1100 Bel Air Place>에 수록된 발라드 ’All of you(19위)’를 위해 입을 맞추었으며 같은 해 가을에 공개된 자신의 독집 음반 에서는 록적인 타이틀 트랙(19위)과 ’Missing you(10위)’가 사랑 받았다. ’Missing you’는 1984년 4월 1일 아버지의 손에 의해 비극적으로 사망한 친구이자 음악 동료인 마빈 게이를 추모하는 곡으로 라이오넬 리치로부터 받은 명곡이었다. 이 곡은 현재까지 그녀의 마지막 탑 텐 히트 싱글로 남아있다. 1990년대에도 꾸준한 레코딩 활동과 검증된 연기력을 바탕으로 여러 TV 영화에 간간이 모습을 드러낸 다이아나 로스는 2001년 여행 차 방문한 유럽에서 물건을 훔치다 걸리는 망신을 당해 타블로이드 신문을 크게 장식하기도 했다.

        1960년대에는 모타운 레코드의 사장 베리 고디에 의해 움직이는 바비 인형처럼 체제에 순응하는 가수로 인식되었고 그 당시 슈프림스는 새로운 음악 트렌드를 창조하면서 그 유행을 좇았다. 한편에선 소울이 등장해 흑인 형제자매들의 자긍심을 표현했지만 슈프림스는 그 현실을 외면한 채 침묵의 악보에 그려진 음표에 의한 사랑타령으로 엄청난 부와 인기를 누렸을 뿐만 아니라 백인들로부터도 거부감 없는 ’엉클 톰’이었다. 이것은 현재까지 당대 최고의 여가수인 다이아나 로스에게 쉽게 아물지 않는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흑진주가 팝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그녀의 음악 인생이 현대 흑인 음악의 역사와 그 궤적을 같이하기 때문이다. 이것으로 자신에게 밀려오는 음악적인 고독과 인간적인 자괴감을 잊을 수 있었다.

        종소리는 때리는 자의 힘만큼 울려 퍼지듯 대중 음악의 내력에서 다이아나 로스의 이름도 그녀의 명성만큼이나 굵고 선명하게 남아있다.
      • 2002/07 소승근(gicsucks@hanmail.net)
      • 앨범 리뷰
      • 아티클
      • 다이애나 로스 노래 30년 기념 히트곡집 출반 다이아나 로스 임진모 6012
        다이애너 로스 콘서트 개런티 100만불 제의설 다이아나 로스 임진모 3589
        다이애너 로스 ‘질투는 여자의 본능?’ 다이아나 로스 임진모 3687
      • 최근 업데이트
      • Album
        켈라니
        Blue Water Road
        • [Album] Fearless
        • [Album] 잔나비 소곡집 ll : 초록을거머쥔우리는
        • [Single] Lovey Dovey (Feat. 미노이)
        • [Single] Shut down
        • [Single] The heart part 5
        • [Single] 초대
        • [Album] Alpha Games
        • [Album] Unlimited Love
        • [News] [이즘IZM 뮤직 아카데미] 흑인음악 이야기
        • [Album] Blue Water Road
        • [Feature] 차트 역주행 특집 VOL 3. IZM 필자들이 뽑은 '역주행 되기를 바라는 곡'
        • [Interview] [Sound check, 엔지니어 - 나의 명곡, 나의 명반] 박혁
        • [Album] Melt My Eyez See Your Future
        • [Album] 싸다9
        • [Single] Fearless





      • Editors' Choice
      • Mahal
        토로 이 모아
        내 마음을 뺏은 내 기준 요즘 노래.
      • 팟 캐스트더보기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8회 2부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