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Album    K-POP
      • 크게 라디오를 켜고
        1986
        시나위
      • DATE : 2003/11   |   HIT : 10896
      • by 윤석진
      • 1986년 3월, 라디오에서 흘러나온 하나의 곡을 듣고 대한민국의 록 애호가들은 우리나라 말로 울려 퍼진 모처럼의 헤비한 음악에 일대 충격을 받는다. 육중한 베이스와 드러밍에 맞춰 디스토션 걸린 기타 사운드가 전개되고, 곧이어 허스키한 음성의 고음역 보컬이 폭발했다. 사운드 면에서는 어딘지 어색한 점이 있었지만 틀림없는 헤비메탈이었다.

        외국어로 된 메탈음악만 들어오던 국내의 헤비메탈 마니아들을 흥분 시켰던 이곡은 '크게 라디오를 켜고'였고, 주인공은 기타리스트 신대철이 이끄는 우리나라 본격 헤비메탈 밴드인 시나위였다. 당시 만해도 우리나라에서 헤비메탈은 과격한 메시지에다 사운드도 소란스러워 청소년의 정서에 유해하다는 이유로 전파를 타기 어려웠고, 소량 발매된 앨범들도 주요 수록곡들이 금지곡으로 묶였을 정도였다.

        그러나 AFKN라디오와 빽판(불법복사판)을 통해 서서히 전파되던 강철 사운드의 이 음악장르는 강력한 중독성으로 빠른 시간동안 수많은 마니아들을 양성해냈으며, 헤비메탈 앨범을 수십 장(많게는 수백 장)을 보유한 중금속 음악 애호가들은 어느덧 우리나라말로 불려진 '메이드 인 코리아' 메탈을 원하고 있었다.

        시나위와 이들의 데뷔앨범은 이런 시대적 요구를 단번에 충족시켰다. 순수 우리나라말로 된 시나위(남도의 무악)라는 그룹명은 물론이요, 한국적인 음색의 걸쭉한 보컬 그리고 연주곡을 제외한 전곡의 가사가 훈민정음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은 민족적 자긍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팬들은 외국산 메탈과의 비교를 떠나 '이제는 우리도!' 하며 뿌듯해 했다.

        기타리스트 신대철이 한국 록의 대부로 일컬어지는 신중현의 아들이라는 점도 의미심장했다. 한국에 록을 중흥시켰던 아버지에 이어 그 아들이 강성음악을 외면하던 대한민국에 헤비메탈을 장착시키는 선교사 역할을 맡은 셈이었다. 국내 FM전파를 타고 처음으로 울려 퍼졌던 미드템포의 호쾌한 헤비메탈 찬가 '크게 라디오를 켜고'는 그동안 굶주린 메탈 팬들의 욕구를 입증이라도 하듯이 상큼한 가요의 숲을 헤치고 FM 인기순위 상위권에 랭크될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앨범의 다른 수록 곡들도 처지지 않았다. 그로울링에 가까운 허스키 보이스가 돋보이는 '남사당패'를 비롯하여 드라이브감 넘치는 로큰롤 찬가 '젊음의 로큰롤'과 '하루해 떠가고', 마이클 셍커(Michael Schenker)를 방불케 하는 기타리스트 신대철의 표현력을 느낄 수 있는 연주음악 '1월(January)', 변화무쌍한 전개가 일품인 '아틸란티스의 꿈' 등 8곡의 수록곡들이 고른 완성도를 자랑했다.

        하지만 앨범에서 메탈 마니아의 사랑을 독차지 했던 곡은 단연 '그대 앞에 난 촛불이어라'였다. 비장한 아르페지오로 시작하여 임재범의 굵은 목소리가 애절하게 전개되다 육중한 헤비사운드가 처절하게 폭발하는 이곡은 블랙홀의 '깊은 밤의 서정 곡', 이승철의 그룹 부활의 '희야'등과 함께 우리나라 헤비메탈 애호가들이 가장 좋아하는 메탈 발라드로 자리 잡는다.

        냉정하게 말하면 이 음반은 당시 해외 헤비메탈 음반을 접한 마니아들을 100%만족시켜줄 만한 음악을 담고 있지는 못했다. 기타솔로와 보컬이 다른 연주에 묻히고 마는 등 엔지니어링 면에서는 부족한 점이 많았고, 연주 역시 뛰어났지만 당시 해외의 메탈 밴드의 그것에 비교한다면 '특출'이라는 감탄을 부르기는 어려웠다. 그렇다고 이 앨범의 의의가 삭감될 수는 없었다. 전문 엔지니어의 부재와 냉대 속에서 자라온 짧고 황폐한 록 문화, 규제로 인한 창작력의 제한 등 당시의 음악환경을 감안한다면 가히 놀라운 성과였다.

        시나위는 보컬리스트 김종서와 불세출의 메탈 드러머 김민기를 불려 들여 다음 작품 를 완성해 그것을 '한국 헤비메탈의 대표명반'으로 승격시켰으며, 이후에도 십수년 간 멤버들을 적절히 배치시켜가며 '겨울비', '해랑사', '은퇴선언' 등의 (숨은) 명곡들을 배출, 한국 메탈의 국가대표로 군림하게 된다.

        본 작품과 시나위는 동시대에 활약했던 부활, 백두산, 작은 하늘 등과 함께 헤비메탈을 음지에서 양지로 끌어냈고, 많은 후배밴드들을 분화시키며 헤비메탈을 충분히 국내시장에 지분을 점할 수 있는 음악으로 만들었을 뿐 아니라 신대철, 김종서, 임재범, 김바다, 손성훈, 김민기 (그리고 서태지?) 등을 배출하는 '메탈 인재양성소'의 역할도 수행했다.

        그렇지만 과감한 시도와 부단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시나위는 미국, 영국처럼 헤비메탈이 오버그라운드의 안방소리로까지 격상시키진 못했다. 한국 록의 대부로 일컬어지는 부친 신중현이 당시의 시대적 제약과 음해로 주류 격상이 차단된 것처럼, 한국 메탈의 횃불로 불린 아들 신대철 또한 매스컴과 제작자들의 냉대에 부딪혀 헤비메탈을 한국인들이 거리낌 없이 노래방에서 부르도록 하는 데는 실패한 것이다. 그것은 어쩌면 한국 록의 비극적 대물림이었다.

        -수록곡-
        1 크게 라디오를 켜고
        2 그대 앞에 난 촛불이어라
        3 남사당패
        4 젊음의 Rock'n roll
        5 잃어버린 환상
        6 아틸란티스의 꿈
        7 1월 (January)
        8 하루해 마냥 떠나고
      • 2003/11 윤석진(fand@hitel.net)
      • 앨범 리뷰
      • Reason Of The Red Bugs 시나위 윤석진 2006 7196
        8집 시나위 IZM 2001
        Mini Album 시나위 IZM 2000
        Psychedelos 시나위 배순탁 1998 5759
        은퇴선언 시나위 배순탁 1997 7298
        Circus(Mini Album) 시나위 배순탁 1996 6202
        매맞는 아이 시나위 지운 1995 5786
        Set My Fire 시나위 이경준 1990 5730
        Free Man 시나위 지운 1988 5317
        Down & Up 시나위 이경준 1987 5554
        크게 라디오를 켜고   시나위 윤석진 1986 10896
        크게 라디오를 켜고 시나위 이경준 1983 6100
      • 싱글 리뷰
      • 밤이 늦었어 시나위 신현태 2014 5596
        슬픔의 이유 시나위 이수호 2013 4164
      • 아티클
      • 시나위 인터뷰 시나위 윤석진 12958
        이시대 뮤지션 33인이 뽑은 나의명곡 15 (신대철) 시나위 임진모 17180
      • 관련 앨범 리뷰
      • Seven, (세븐 콤마) 임재범 정다열 2022 1826
        Moonage Dream 김바다 이수호 2014 6652
        N. Surf Part 1 김바다 이수호 2013 5251
        To... 임재범 IZM 2012
        Ophelia 아트 오브 파티스 소승근 2010 10925
        Coexistence 임재범 엄재덕 2004 8806
        Story Of Two Years 임재범 IZM 2000
        고해 임재범 IZM 1998
        임재범 2 임재범 IZM 1997
        On The Turning Away 임재범 IZM 1991
      • 관련 싱글 리뷰
      • 위로 임재범 염동교 2022 1642
        흐름 김바다 박수진 2018 2341
        I love you (With 알리) 임재범 이기선 2013 2987
        Searching 김바다 윤은지 2013 4870
        섬 아트 오브 파티스 김반야 2012 4623
        후회합니다 (고해 Part.2) 임재범 조아름 2010 6042
        Die out 아트 오브 파티스 소승근 2010 9134
        사랑에 아파한 날들 (Duet. 윤하) 임재범 조아름 2010 7119
        낙인 임재범 조아름 2009 8476
        겨울 편지 임재범 윤지훈 2008 6128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픽시
        Karma
        • [Single] I be like (Feat. 쏠)
        • [Single] Karma
        • [Single] Death
        • [Single] Water (Feat. 키스 에이프)
        • [Single] No reason
        • [Feature] Fifty와 Fifty가 만나 드디어 100이 됐다
        • [Library] 김광석 다시 부르기 Ⅱ
        • [Album] 김광석 다시 부르기 Ⅱ
        • [Album] Assemble
        • [Album] Desire, I Want To Turn Into You
        • [Single] Some things don't change
        • [Single] Miracle
        • [Single] Expectations
        • [Single] Freshman
        • [Single] Young, dumb, stupid
      • 인기 콘텐츠
      • <W.A.Y>

        트라이비(TRI.BE)

        <After The Magic>

        파란노을(Parannoul)

        <Assemble>

        트리플에스(tripleS)

        <Gloria>

        샘 스미스(Sam Smith)

        <Desire, I Want To Turn Into You>

        캐롤라인 폴라첵(Caroline Polachek)

        <Audiolust & Higherlove>

        SG 루이스(SG Lewis)





      • Editors' Choice
      • Kx5
        케이엑스파이브
        하우스 뮤직 슈퍼 듀오의 탄생. EDM 팬들에게 축복이 내려졌다.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클라우드] EP. 31 : [플레이리스트] 요새 듣는 음악(엔믹스, 황민현, 100 겍스, 바비 콜드웰)
        • [뮤직 클라우드] EP. 30 : 2020년 이후 당신이 기억해야 할 (숨겨...
        • [뮤직 클라우드] EP. 29 : 밴드 열전! 자우림 & 크랜베리스
        • [뮤직 클라우드] EP. 28 : 2023 국/내외 뮤직 페스티벌 여기 어때...
        • [뮤직 클라우드] EP. 27 : 한성현의 영화음악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