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정민재의 Top Artist : Hot&Cool · 김반야의 Yes, I`m A Witch · 이택용의 What`s Going On?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Album    POP
      • British Steel
        1980
        주다스 프리스트(Judas Priest)
      • DATE : 2002/02   |   HIT : 3864
      • by 임진모
      • 영국 메탈의 새 물결을 몰고 온 메탈의 신(神)

        70년대 후반부터 영국 전역을 강타했던 펑크로 헤비 메탈은 일대 위기를 맞았다. 화려한 기교를 내세운 헤비 메탈은 섹스 피스톨스를 위시한 펑크 전사들의 공세로 고개를 숙였고 데뷔작 <로카 롤라>(Rocka Rolla)와 2집 <운명의 슬픈 날개>(Sad Wings Of Destiny)를 발표하며 '헤비메탈의 선봉장'임을 자처했던 주다스 프리스트(Judas Priest)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룹의 기타리스트 글렌 팁튼은 “헤비 메탈은 펑크에 쇠망치를 얻어맞았다”고 했다.

        주다스 프리스트는 위기를 기회 삼아 3장의 앨범을 잇따라 발표하며 난관 속에서도 꾸준히 활동을 계속했다. 그 노력은 열기가 뜨거웠던 78년 일본과 영국 순회공연에서 가시적 성과로 이어지며 성공 터전을 확보했고, 80년에 발표한 앨범 <브리티시 스틸>(British Steel)로 커다란 열매를 맺었다(이 당시부터는 가죽옷과 쇠사슬 등을 공연의 무대의상으로 사용하여 헤비메탈의 전형적인 의상패턴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 앨범은 '영국 헤비메탈의 르네상스'를 예견했다. 우선 살짝 스쳐도 벨 것 같은 날카로운 면도칼을 손으로 붙잡고 있는 모습, 그 안에 새긴 그룹의 이니셜 그리고 '영국의 강철'이란 앨범 명에 그들의 음악적 자신감과 '애국심'을 담았다. “우리는 영국의 헤비메탈을 세계에 알리는 사명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앨범 제목은 그룹의 목표와 아주 잘 어울린다.”

        발매직후 그룹 최고의 성적인 영국 차트 4위에 올랐고, 미국에서도 50만장이 팔려나가 첫 골드 레코드를 기록했다. 그들의 음악은 펑크 리프를 수용한 '영국 헤비 메탈의 새 물결' 이른바 NWOBHM(New Wave Of British Heavy Metal)으로 명명되었다. 이후 모터 헤드(Motor Head) 아이언 메이든(Iron Maiden) 데프 레파드(Def Leppard) 같은 밴드들이 속속 관련 앨범을 내놓으면서 영국의 헤비 메탈은 다시 한번 중흥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주다스 프리스트의 음악은 어린 시절 크림, 지미 헨드릭스에 대한 추앙을 공유한 K.K. 다우닝과 글랜 팁튼이 펼치는 강렬한 '트윈기타' 시스템에 기반한다. 그들의 블루스 필링이 용해된 기타 리프와 전개방식은 '헤비 메탈 기타의 교과서'로 통할만큼 수많은 추종자와 경배자를 낳았다.

        여기에 롭 핼포드(Rob Halford)의 울부짖는 야수적 보컬은 다우닝과 팁튼의 트윈기타와 불꽃튀는 파워 경쟁을 펼치며 이들 음악을 극단으로 몬 또 하나의 원소였다. 팬들은 그를 로버트 플랜트를 잇는 '헤비 메탈 보컬의 대명사'라고 했다. 잦은 드러머의 교체로 인하여 불완전한 리듬 파트는 새로이 영입한 드러머 데이브 홀랜드(Dave Holland)와 함께 다우닝의 오랜 친구인 베이시스트 이안 힐(Ian Hill)이 이끌었다.

        전주만 나와도 요동치게 되는 첫 곡 '법을 부수며'(Breaking the law)는 영국 싱글 차트 12위에 오르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특히 국내 메탈 마니아들에게 이들의 이름을 알리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 곡이었다. 질주하는 듯한 연주와 시원스런 보컬 모든 게 강철과도 같았다. 흥겨운 리듬과 함께 시작되는 '심야의 삶'(Living after midnight'은 이 앨범의 대서양 횡단에 크게 기여한 곡으로, 미국적인 냄새가 다분한 신나는 하드 록은 미국인들의 귀를 헤집어놓기에 충분했다.

        '속사포'(Rapid fire)에서도 데이브 홀랜드의 드럼 연주와 트윈 기타의 솔로는 압권이며 주다스 프리스트를 '메탈의 신'으로 규정지어준 유명한 곡 '메탈의 신'(Metal gods)과 웅장한 기타와 후렴의 멜로디 라인이 뇌리에 남는 '결합'(United)도 빼놓을 수 없는 메탈 보석들이었다.

        환호만큼 수난도 뒤따랐다. 85년 미국 네바다주의 레이먼드 벨크냅과 제임스 밴스 두 10대 소년이 이들의 78년 앨범 <얼룩진 교실>(Stained Class)을 듣고 자살을 시도한 사건이 터져 재판에 회부되면서 시련은 시작되었다(벨크냅은 현장에서 사망했고 밴스는 살았으나 3년 뒤 88년 헤로인 중독사했다). 재판부는 90년 소속 음반사 CBS가 오리지널 마스터 테이프를 보류함으로써 주다스 프리스트 음악에 '잠재적(Subliminal) 메시지'가 담겨 있음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근거로 4만 달러의 피해 보상액을 부과하는 판결을 했다.

        그룹의 입장에선 패소라고 할 수는 없었지만 '법정에 선 음악인'들이 겪은 고통이란 이루 말할 수 없는 것이었다. K.K. 다우닝은 자살 유도의 잠재적 메시지라는 판결에 수긍할 수 없다는 듯 “내가 앞으로 'Subliminal'이란 스펠을 알려면 10년이 걸릴 것”이라고 투덜거렸다. 종교계를 비롯한 반(反) 메탈 세력은 이 사건을 기화로 메탈이 '악마주의' 음악이며 또한 그 음악에는 젊은이들을 유혹하는 '행동강령'이 숨어 있다는 주장을 강화했다.

        그 와중 속에 다시 드러머가 교체되었고 급기야 93년에는 그룹의 핵인 롭 핼포드가 탈퇴하는 등 그룹 내부의 혼돈은 계속되었다. 음악에서도 상업성과 정통성 사이의 딜레마 속에서 그들은 '지조'를 지키지 못하고 매번 왔다갔다하는 모습을 보여 마니아들과 평자들의 비판을 받아왔다. 걸작으로 평가된 82년 앨범<복수를 향한 외침>(Screaming For Vengeance) 이후 신시사이저와 전자 음향을 도입한 <터보>(Turbo)가 이어졌고 그 뒤 초강력의 <진통제>(Painkiller)를 발표한 것이 그 전형이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마니아인 메탈 팬들은 주다스 프리스트에게 줄기찬 애정을 표했고 그들 역시 새 보칼리스트의 영입을 통해 활동을 계속했다. 그들은 98년에도 <용해>(Meltdown)라는 라이브 앨범을 발표했다. 그것은 '헤비 메탈의 수호자'를 자처한 주다스 프리스트의 힘이기도 했지만 펑크나 모던 록 등 어떤 록도 따를 수 없는 '메탈의 강인한 생명력'이기도 했다.

        -수록곡-
        1. Rapid Fire (Downing/Halford/Tipton) - 4:08
        2. Metal Gods (Downing/Halford/Tipton) - 4:00
        3. Breaking the Law (Downing/Halford/Tipton) - 2:35
        4. Grinder (Downing/Halford/Tipton) - 3:58
        5. United (Downing/Halford/Tipton) - 3:35
        6. You Don't Have to Be Old to Be Wise (Downing/Halford/Tipton) - 5:04
        7. Living After Midnight (Downing/Halford/Tipton) - 3:31
        8. The Rage (Downing/Halford/Tipton) - 4:44
        9. Steeler (Downing/Halford/Tipton) - 4:30
        10. Red, White and Blue [*] (Downing/Halford/Tipton) - 3:42
        11. Grinder [live/*] (Downing/Halford/Tipton) - 4:49
      • 2002/02 임진모(jjinmoo@izm.co.kr)
      • 앨범 리뷰
      • Firepower 주다스 프리스트 조해람 2018 2956
        Redeemer Of Souls 주다스 프리스트 여인협 2014 2512
        Angel of Retribution 주다스 프리스트 배순탁 2005 4412
        Demolition 주다스 프리스트 이경준 2001 3536
        Jugulator 주다스 프리스트 이경준 1997 3339
        Painkiller 주다스 프리스트 이경준 1990 4467
        Ram It Down 주다스 프리스트 이경준 1988 3414
        Turbo 주다스 프리스트 소승근 1986 3691
        Defenders Of The Faith   주다스 프리스트 윤석진 1984 4536
        Defenders Of The Faith 주다스 프리스트 임진모 1984 3527
        Screaming For Vengeance 주다스 프리스트 이경준 1982 3720
        Point Of Entry 주다스 프리스트 소승근 1981 3538
        British Steel 주다스 프리스트 이경준 1980 3759
        British Steel   주다스 프리스트 임진모 1980 3864
        Hell Bent For Leather 주다스 프리스트 이경준 1979 3736
        Stained Class 주다스 프리스트 이경준 1978 3543
        Sin After Sin 주다스 프리스트 이경준 1977 3501
        Sad Wings Of Destiny 주다스 프리스트 이경준 1976 3786
        Rocka Rolla 주다스 프리스트 이경준 1974 3626
      • 싱글 리뷰
      • War 주다스 프리스트 김진성 2008 3335
      • 아티클
      • 영국산 메탈리언의 마지막 찬란한 비행
        - 주다스 프리스트 2월4일 내한 공연 ‘Epitaph(묘비명)’
        주다스 프리스트 윤석진 13155
        신이라 불리던 사내들, 주다스 프리스트를 추억하다. 주다스 프리스트 여인협 9913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딕펑스
        Special
        • [Album] THIRSTY
        • [Album] 살아숨셔 2
        • [Album] 마더바이브
        • [Album] WANT
        • [Feature] 아이돌인 당신, 행복하십니까. - 아라시의 활동중단으로 살펴본, 아이돌이라는 역할극의 이면
        • [News] [이즘IZM-빅퍼즐 뮤직 아카데미] ‘10주’로 풀어낸 팝의 모든 것, 시즌 2
        • [Feature] 제 61회 그래미 시상식 결산편
        • [Single] 2cm (Feat. 폴킴)
        • [Single] Special
        • [Single] No
        • [Feature] 댄스 영화 특집 - 우리가 사랑한 댄스 영화 11선
        • [Interview] 박창근 인터뷰
        • [Feature] 신화창조의 뮤지컬 <라이언 킹>
        • [Album] Assume Form
        • [Album] Weezer (Teal Album)
      • 인기 콘텐츠
      • <El Mal Querer>

        로살리아(Rosalía)

        <XX>

        송민호(MINO)

        <Spider-Man: Into the Spider-Verse (Soundtrack)>

        V.A(Various Artists)

        <Assume Form>

        제임스 블레이크(James blake)

        <Aren’t You?>

        설(SURL)

        <We've Lost, What Now?>

        웨터(Wetter)





      • Editors' Choice
      • 고고학자
        9
        [정효범] 착하고 따뜻한 노래가 품은 은밀한 비밀

      • 팟 캐스트더보기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8회 2부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정민재의 Top Artist : Hot&Cool · 김반야의 Yes, I`m A Witch · 이택용의 What`s Going On?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