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Feature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비틀스의 끝없는 환생
      • DATE : 2009/09   |   HIT : 12366
      • by 임진모
      • 지금은 베스트 시대가 아니라 온리 원(Only One) 시대인 게 맞다. 그토록 빼어난 1960년대의 그룹과 가수가 많았건만, 무수한 전설이 있었건만 우리는 오로지 하나, 최고의 록그룹 비틀스만을 기억하고 숭앙한다. 해산과 함께 역사 속으로 들어간 지 올해로 39년이란 장구한 세월이 흘렀지만 역사가 선택한 단 하나, 온리 원의 존재이기에 비틀스는 늘 때가 되면 다시 돌아오는 특전을 누린다.

        1995년 < Anthology > 앨범과 DVD가 나왔을 때도 대대적인 비틀스 열풍이 불었고, 2000년에는 영미 1위곡을 모은 <원(1)> 앨범이 당대 최고 인기그룹 백스트리트 보이스의 신보 판매량을 누르면서 또 다시 비틀스를 현재진행형 그룹으로 만들었다. 이 앨범은 국내에서도 78만장이 팔려 새천년 최고 판매고의 팝 앨범으로 남아있다.

        비틀스만의 영예라고 할 '리사이클링'이 올해 또 한 번 가동되었다. 이번은 '리마스터드(Remastered)'라는 타이틀로 글로벌 선풍을 자극했다. 이전 앨범을 다 구비한 사람들도 또 리마스터드 CD들을 사야 했다. 과연 어떻게 마스터 테이프를 풀어서 소리를 만져 현재 디지털 시대의 청 감각에 맞추었는지, 아날로그 때 음반과는 과연 어떤 사운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주머니를 털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국내 상황은 어떤지 EMI 레이블 담당자에게 알아보니 9월9일 공식 발매일자 전에 벌써 사전 예약만으로 물량이 동났다고 한다.

        분명 꿍꽝거렸던 소리는 부드러워지고, 약한 악기음은 찰진 느낌으로 바뀌는 등 세련돼졌다. 한마디로 엣지하다. 과거에 발매된 앨범과 비교해서 들어보면 청취훈련이 덜 된 사람들도 디지털로 다림질했다는 것을 캐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리마스터링 작업은 무려 4년이 걸린 것으로 보도되었다. 왜 그리 오랜 시간이 걸렸을까.

        영국 런던 소재의 EMI 애비 로드(Abbey Road) 스튜디오에서 일하는 가이 메이시, 스티브 룩, 샘 오켈, 폴 힉스, 숀 매기 등의 엔지니어 팀의 고민은 당연했다. 최신의 디지털 레코딩 기술을 동원하되 우리에게 익숙한 아날로그 레코딩 음반의 순수성을 건드리지 않아야 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소리가 다르면서도 한편 다르지 않아야 한다고 할까. 잘못했다가 차이가 확연하면 전설과 추억에 대한 훼손이라는 준엄한 비판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전과 원본에 대한 향수는 문화 접근에 저류하는 기본 미학이다.

        엔지니어들은 이를 위해 비틀스가 활동하던 당시의 스튜디오 장비를 활용하는 지혜로운 접근법을 취했다. 비틀스 사운드의 본래적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였다. 이게 되어야 디지털 기술의 적용이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이다. 엄청난 수고와 시간을 요구하는 고단한 과정은 필연적이었다. 이번 작업을 두고 영국 음악계에서는 비틀스 오리지널 앨범 발매 이래 가장 충실한 헌신이라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래도 디지털로 재조정한 소리가 싫은 사람은 과거 앨범을 들으면 된다. 그런 오리지널 충성파를 위해서 EMI 레코드사는 아날로그 앨범 세트도 동시에 출반하는 배려를 발휘했다.

        왜 서구 팝 음악계는 비틀스에 매달릴까. 왜 또 사람들은 그런 음악계의 기획에 순순히 응하며 끊임없이 비틀마니아를 만들어내는 것일까. 단적으로 비틀스 음악은 시대적 가치, 예술적 가치 그리고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까닭이다. 시대적 가치는 “우리는 60년대의 대변자들”이었다는 폴 매카트니의 말이 압축한다. 비틀스의 < Rubber Soul >, < Revolver >,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 White Album >, < Abbey Road > 등의 명반에는 1960년대를 살아갔던 청춘들의 소외, 미래불안, 시스템에 대한 반발, 사이키델릭 등 반전과 공민권운동 시대의 저항 정서가 숨 쉬고 있다.

        예술적 가치는 말할 필요가 없다. 그 탁월한 음악은 당대에 클래식 진영도 두 손 들었다. 뉴욕필의 지휘자였던 고 레너드 번스타인은 < Sgt. Pepper's... >의 수록곡 전체를 “슈만의 작품에 견줄만하다.”고 고평했다. 대중음악, 로큰롤음악에 대한 유서 깊은 멸시가 비틀스 음악에 의해 사라지기 시작한 것이다. 그 앨범 전에 나온 곡 'Yesterday'는 유진 올만디도 연주했다. 중후반기 음악(1966-1970년)과 다르게 3코드에 기반을 둔 초기 로큰롤 음악을 선호하는 사람도 의외로 많다. 'I want to hold your hand'나 'A hard day's night' 등을 'Hey Jude'와 'Let it be' 같은 후반기 명작들 못지않게 좋아하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적 가치다. 비틀스는 노동계급의 자손들로 정말 어렵게 음악을 했다. 독일 함부르크로 가서 연주력을 연마하던 시절에는 '눈물 젖은 빵'을 먹으며 밑바닥을 기었다. 또한 미국의 음악 트렌드를 면밀히 주시했다. 미국음악에 관한 한 비틀스는 모르는 게 없었다. 그러면서도 성공, 미국정복에 대한 신념을 잃지 않았다. 심심할 때 존, 폴, 조지, 링고는 이런 대화를 나누었다. “우리 어디로 가는 거지, 존?”, “우린 정상으로 가는 거지.”, “어떤 정상?”, “가장 대중적이면서 가장 높은 정상이지!(To the toppermost of the poppermost)”

        지금의 젊음은 그들의 이상 정열 신념을 배워야 한다. 천재이기 전에 피와 땀과 눈물을 흘렸기에 그들은 후대의 부단한 존경을 획득하고 있는 것이다. 그들은 내는 앨범마다 지속적으로 발전했고 하나하나마다 대중음악 역사상 획을 그었다. 이번 리마스터드 CD는 한번에 비틀스 전(全) 앨범을 구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팬들에게는 소중한 기회다. 첫 앨범 < Please Please Me >부터 마지막 < Let It Be >까지 순서대로 청취하면 성공하기 이전 비틀스의 노력, 이후의 실험과 시도에 기초한 성장 그리고 시대와의 상호작용을 읽을 수 있다.

        리마스터드 앨범을 사려는 한 20대 젊은이가 말한다. “30만원이 넘는 돈이 들지만 꼭 구입하려구요. 비틀스 앨범을 안사면 레전드에 대한 무지를 드러낼 것 같아서요. 의무감으로 사는 거죠.” 하긴 우리의 경우는 시대적, 예술적, 교육적 가치보다는 전설적 가치가 압도하는 것 같다. 전설은 우리를 압박한다. 또 '온리 원' 전설이 돌아왔으니 그 압박감도 돌아온다.
      • 2009/09 임진모(jjinmoo@izm.co.kr)
      • 앨범 리뷰
      • On Air - Live At The BBC Volume 2   비틀스 임진모 2013 11641
        Love 비틀스 임진모 2006 13432
        Let It Be.... Naked 비틀스 임진모 2003 13272
        The Beatles One 비틀스 임진모 2000 13735
        The Beatles/1962-1966   비틀스 임진모 1973 14636
        Let It Be 비틀스 이기찬 1970 10294
        Abbey Road   비틀스 임진모 1969 15611
        Yellow Submarine 비틀스 IZM 1969
        The Beatles [White Album]   비틀스 임진모 1968 16805
        Magical Mystery Tour 비틀스 IZM 1967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비틀스 임진모 1966 20573
        Revolver 비틀스 IZM 1966
        Rubber Soul   비틀스 임진모 1965 14262
        Help! 비틀스 IZM 1965
        A Hard Day’s Night 비틀스 IZM 1964
        Please Please Me   비틀스 임진모 1963 14030
        With The Beatles 비틀스 IZM 1963
      • 아티클
      • 비틀스(Beatles) ‘Let it be’ 비틀스 이무영 11294
        Beatles for Sale, Now on iTunes 비틀스 성원호 10276
        다시 만나는 영원한 팝의 전설 비틀스 비틀스 고영탁 13169
        비틀스 팬들의 필독도서 출간! 비틀스 고영탁 10753
        비틀스의 끝없는 환생 비틀스 임진모 12366
        Paul in the USSR! 비틀스 윤석진 9065
        비틀스의 미공개 테이프 발견! 비틀스 김소연 8881
        뉴 밀레니엄에도 1등 그룹 비틀스 비틀스 임진모 7365
        비틀스의 찬란한 영광 - 스물 일곱 넘버원 곡 비틀스 임진모 8126
        새 천년에도 계속될 비틀스 열기 비틀스 임진모 7539
        비틀스는 살아있다. 비틀스 임진모 7606
        비틀스신화 다시 살아났다 비틀스 임진모 8265
      • 관련 앨범 리뷰
      • Egypt Station 폴 매카트니 박수진 2018 7202
        Postcards From Paradise 링고 스타 이기찬 2015 4939
        New 폴 매카트니 신현태 2013 9053
        Kisses On The Bottom 폴 매카트니 신현태 2012 8951
        Paul McCartney's Ocean's Kingdom 폴 매카트니 IZM 2011
        Y Not 링고 스타 소승근 2010 7744
        Good Evening New York City 폴 매카트니 IZM 2009
        Memory Almost Full 폴 매카트니 IZM 2007
        Photograph: The Very Best Of Ringo Starr 링고 스타 고영탁 2007 8399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Remastering] 조지 해리슨 고영탁 2007 11927
        Ecce Cor Meum 폴 매카트니 IZM 2006
        Chaos And Creation In The Backyard 폴 매카트니 소승근 2005 9250
        Back in the World: Live 폴 매카트니 IZM 2003
        Brainwashed 조지 해리슨 이기찬 2002 5991
        Back in the U.S. 폴 매카트니 IZM 2002
        Driving Rain 폴 매카트니 배순탁 2002 9452
        Liverpool Sound Collage 폴 매카트니 IZM 2000
        Run Devil Run 폴 매카트니 IZM 1999
        Flaming Pie 폴 매카트니 IZM 1997
        Lennon Legend: The Very Best Of John Lennon 존 레논 IZM 1997
        Paul Is Live 폴 매카트니 IZM 1993
        Off the Ground 폴 매카트니 IZM 1993
        Live In Japan (George Harrison) 조지 해리슨 IZM 1992
        Liverpool Oratorio 폴 매카트니 IZM 1991
        Unplugged (The Official Bootleg) 폴 매카트니 IZM 1991
        Tripping the Live Fantastic 폴 매카트니 IZM 1990
        Flowers in the Dirt 폴 매카트니 IZM 1989
        Choba B CCCP 폴 매카트니 IZM 1988
        Cloud Nine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87 11693
        Press to Play 폴 매카트니 IZM 1986
        Give My Regards to Broad Street 폴 매카트니 IZM 1984
        Pipes of Peace 폴 매카트니 IZM 1983
        Tug of War 폴 매카트니 IZM 1982
        Gone Troppo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82 9487
        The John Lennon Collection 존 레논 IZM 1982
        Stop And Smell The Roses 링고 스타 이기찬 1981 4290
        Somewhere In England 조지 해리슨 소승근 1981 10095
        Double Fantasy 존 레논 이기찬 1980 6311
        McCartney II 폴 매카트니 IZM 1980
        Back to the Egg 폴 매카트니 IZM 1979
        George Harrison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9 10001
        London Town 폴 매카트니 IZM 1978
        Thrillington 폴 매카트니 IZM 1977
        Wings Over America 폴 매카트니 IZM 1976
        Wings at the Speed of Sound 폴 매카트니 IZM 1976
        33⅓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6 9568
        The Best Of George Harrison 조지 해리슨 소승근 1976 10825
        Rock ‘n’ Roll 존 레논 이기찬 1975 5076
        Venus and Mars 폴 매카트니 IZM 1975
        Extra Texture(Read All About It)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5 9612
        Walls And Bridges 존 레논 이기찬 1974 5401
        Dark Horse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4 10466
        Mind Games 존 레논 이기찬 1973 4975
        Ringo 링고 스타 이기찬 1973 5019
        Band on the Run 폴 매카트니 IZM 1973
        Red Rose Speedway 폴 매카트니 IZM 1973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3 9941
        Sometime In New York City 존 레논 이기찬 1972 4785
        Concert For Bangla Desh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2 9649
        Ram 폴 매카트니 이기찬 1971 6074
        Wild Life 폴 매카트니 IZM 1971
        Imagine   존 레논 윤석진 1971 12948
        McCartney 폴 매카트니 이기찬 1970 6303
        Plastic Ono Band   존 레논 임진모 1970 9876
        All Things Must Pass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0 11649
        Electronic Sounds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69 9882
        Wonderwall Music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68 10967
      • 관련 싱글 리뷰
      • Come on to me 폴 매카트니 이택용 2018 4070
        We're on the road again 링고 스타 이택용 2017 3087
        New 폴 매카트니 이종민 2013 8090
        Cut me some slack 폴 매카트니, 데이브 그롤, 크리스 노보셀릭 신현태 2013 11420
      • 최근 업데이트
      • Album
        피프티 피프티
        The Fifty
        • [Feature] R.I.P. 비비안 웨스트우드(1941-2022)
        • [Single] Moonlight sunrise
        • [Single] Love from the other side
        • [Single] Pop out (Feat. 슈퍼비)
        • [Single] Cotton candy
        • [Album] Every Loser
        • [Album] 아바타: 물의 길(Avatar: The Way Of Water)
        • [Album] Indigo
        • [Album] 이름의 장: Temptation
        • [Album] The Fifty
        • [Album] Retrospect
        • [Album] 찰나 (刹那)
        • [Single] Flowers
        • [Single] 환상
        • [Single] Vibe (Feat. 지민 of BTS)
      • 인기 콘텐츠
      • "2022 올해의 가요 앨범"

        "2022 올해의 가요 싱글"

        "2022 올해의 팝 앨범"

        "2022 올해의 팝 싱글"

        "[연말결산번외편] 2022 에디터스 초이스(Editors' Choice)"






      • Editors' Choice
      • Slur
        코나
        강조되고 반복되는 소리는 우리도 놀라게 해요.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 클라우드] EP. 24 : 국내외 음악계 뉴스 5 (뉴진스 'OMG' 뮤비 논란, 이영지 쇼미 우승, VMC 해체, 코첼라 라인업 공개, 컴백 아티스트)
        • [뮤직 클라우드] EP. 23 : 염동교의 영화음악 / 노래방 힛뜨송 wit...
        • [뮤직 클라우드] EP. 22 : 2023년이 기대되는 뮤지션 그리고 카니예...
        • [뮤직 클라우드] EP. 21 : 2022년 연말결산 Part 2_국내/해외...
        • [뮤직 클라우드] EP. 20 : 2022년 연말결산 Part 1_국내/해외...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