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Feature    고영탁의 조지 해리슨 이야기
      • 비틀스의 영혼, 그리고 정신
      • DATE : 2010/03   |   HIT : 10766
      • by 고영탁
      • 1969년 초 조지 해리슨은 비틀스라는 커다란 관계 속에서 크게 고통 받고 있었다. 다큐멘터리 영화 < 렛잇비 > 촬영장에서 폴 매카트니와의 불화, 또 매니저 선임과 재정 관련한 애플사의 문제까지. 이런 골칫거리들을 뒤로 하고 해리슨은 봄이 오는 길목의 어느 날 잉글랜드 남부에 있는 에릭 클랩턴의 집에 갔다. 엄청난 좌절을 겪은 스튜디오를 떠나 야외로 나오니 밖은 따뜻한 햇살이 비치고 있었다. 그때 그의 마음속에 무언가가 뜨겁게 타올랐다. 그리고는 바로 그 장소, 클랩튼의 정원에서 자연에게 경배를 바치는 'Here comes the sun'을 작곡했다. 'Something'에 이어 < 애비 로드 >에 두 번째로 실린 조지의 걸작이다.

        “'Here comes the sun'은 애플사가 점점 학교 같이 되어가던 시절에 쓴 곡입니다. 우리는 날마다 애플사에 출근해서 사업가처럼 일해야 했습니다. '여기 서명하시고' '저기에도 서명하세요.' 마치 영국의 겨울이 영원히 계속될 것만 같았어요. 봄이 올 즈음이 되면 누구나 그럴 겁니다. 그렇게 나는 어느 하루 애플사를 잠시 비우기로 했습니다. 그리고는 에릭 클랩턴의 집에 놀러갔죠. 그건 구원이자 너무나 신나는 일이었습니다. 회사에 나가서 그 바보 같은 회계사들을 만나지 않아도 됐으니까요. 그런 다음 나는 에릭의 어쿠스틱 기타를 가지고 정원을 걷다가 'Here comes the sun'을 만들었습니다.” 조지 해리슨, 자서전 < I Me Mine >

        경쾌한 통기타 소리가 듣기 좋은 'Here comes the sun'은 뛰어난 서정성과 멜로디 감각을 보여주는 조지 해리슨의 최대 명곡 중 하나다. 노랫말은 겨울은 길고 추웠지만 결국 따뜻한 햇살에 얼음은 녹고 사람들의 얼굴에 웃음이 되찾아온다는 내용이다. 힘든 시기를 이겨내는 의미의 매우 긍정적인 곡으로, '떠오르는 태양'을 신(神)에 빗대 영적인 기쁨을 표현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이었지만 신이 다가와서 그에게 괜찮다 말해줬다는 것. 음악학자 사이먼 렝(Simon Leng)은 저서 <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 The Music of George Harrison >에서 'Here comes the sun'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Here comes the sun'에서 해리슨은 처음으로 자연을 영적 은유로서 사용했다. 이 음악의 산뜻한 분위기는 계절의 변화 때문이 아니라 영적인 계시에서 얻은 아티스트의 내적 자각 덕분이다. 이 지점부터 해리슨은 자신의 내면여행이 청중들에게 더 다가갈 수 있도록 이 자연의 상징들을 자주 쓴다.”

        1969년 7월 7일, 조지 해리슨과 폴 매카트니, 링고 스타가 13번째 녹음 만에 'Here comes the sun'의 리듬 트랙을 완성했다. 존 레논은 교통사고를 당한 직후라 유일하게 이 곡에 참여하지 않았다. 16일에는 박수소리와 하모늄이 오버더빙되고 8월 6일 해리슨이 여러 대의 기타연주를 덧붙였다. 그리고 8월 15일 비올라, 첼로, 바이올린, 더블 베이스, 피콜로, 플루트, 알토 플루트, 클라리넷 등의 오케스트라가 세션에 동원됐으며 그로부터 4일 뒤인 8월 19일 조지 해리슨이 무그 신시사이저 연주를 녹음한 것을 끝으로 노래가 완성되었다. 'Here comes the sun'은 나중 2006년 비틀스의 < 러브 > 앨범에 변형된 'The inner light'('Within you without you' 리듬 포함)와 함께 실렸다.

        'Here comes the sun' 외에도 비틀스는 1969년 7월부터 8월 말까지 두 달 동안 스튜디오에 모여 앨범 작업을 했다. 교통사고에서 회복한 존 레논이 합류해 7월 9일부터 이들은 < 리볼버 > 이후 비틀스 네 사람이 만들어내는 최고의 팀워크를 보여주었다. 그렇게 밴드가 함께 해서 나온 작품이 'You never give me your money' 'Sun king'/'Mean Mr. Mustard' 'Polythene Pam'/'She came in through the bathroom window' 'Golden slumbers'/'Carry that weight' 'The end' 'Her Majesty'로 이어지는 < 애비 로드 > 뒷면이었다. 정말 이보다 더 훌륭할 수 없는 환상적인 메들리였다.

        1969년 8월 1일부터는 비틀스 사상 최상의 하모니를 선사하는 'Because'를 레코딩했다.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이 탄생시킨 3부 화음이 무척 아름답다. 해리슨은 이 곡에서 하모니 보컬 외에 무그 신시사이저를 녹음했다. 그리고 마침내 1969년 9월 26일 비틀스는 < 애비 로드 >를 출시했다. 언제 들어도 즐겁고 기분 좋은 이 걸작은 마지막으로 녹음된 비틀스 앨범이다. 해체 직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절정의 기량을 발휘하고 있다. 강력한 로큰롤과 사랑스러운 발라드, 팝 오케스트라가 골고루 섞여 있는 감성적이고 근사한 음반이며, 수록된 노래 하나하나가 모두 불후의 명작들이다.

        한편 1969년 8월 22일 조지 해리슨의 도움으로 애플레코드에서 '하레 크리슈나 만트라'를 발매한 런던 라다-크리슈나 템플의 크리슈나 신도들은 자신들의 영적 스승인 프라부파다를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스승을 모실 장소를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때 존 레논이 그들을 도왔다. 레논은 본인이 이번여름에 구입한 티텐허스트 파크 맨션에 신자들이 와서 머물도록 했다. 마침 새 집의 수리를 해야 했던 존 레논은 신도들에게 일손을 보태준다면 숙소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샤마순다르는 그들의 구루데바 역시 같이 묵을 수 있도록 허락해달라고 말했고 레논은 그 요청을 흔쾌히 받아들였다.

        존 레논의 호의로 각자 흩여져 살던 런던의 크리슈나 신자 15명이 레논의 집으로 한 데 모였다. 새 아내 요코 오노와 지내려고 새롭게 사들인 존의 티텐허스트 집은 총 거대한 저택 하나와 여러 개의 작은 건물들로 구성된 76에이커(약 9만3천 평)의 크기에 대저택이었다(나중에 링고 스타의 소유가 된다). 레논 부부가 메인 빌딩을 썼고 프라부파다의 제자들은 100미터 가량 떨어진 그 근처 4개의 별채로 구성된 하인용 숙소를 사용했다.

        크리슈나 신도들은 그 숙소에 머물며 수리작업을 해나갔다. 저택의 벽과 바닥의 나무를 뜯어내고 새로운 나무 벽과 흑과 백의 대리석 바닥으로 교체했다. 또 자신들의 스승을 위해서는 낡은 챔버뮤직 홀 하나를 개조해서 그곳에 제단을 쌓아 신(deity)을 모시고 사원으로 꾸몄다. 나중에 프라부파다는 이 '템플'에서 일주일에 서너 번씩 대중들을 위한 강연을 펼쳤다.

        1969년 9월 11일 마침내 프라부파다가 신의 사랑을 전하러 런던에 왔다. 프라부파다는 공항서부터 티텐허스트 맨션까지 존 레논이 제공한 흰색 롤스로이스 리무진을 타고 편안한 여행을 즐겼다. 프라부파다를 기다려온 조지 해리슨도 포르쉐를 타고 티텐허스트에 도착했다. 이번에는 늘 함께 했던 아내 패티 없이 혼자였다. 문 앞에서 만난 조지와 존, 요코는 프라부파다를 보러 별채로 이동했다. 프라부파다는 조지 해리슨을 보자 자신의 목에 걸고 있던 화환을 그에게 전해줬다. 꽃다발을 받아 목에 건 해리슨은 “고맙습니다. 하레 크리슈나”라며 감사의 뜻을 표했고 프라부파다는 “이 화환은 크리슈나의 축복입니다.”라고 신의 가호를 빌어주었다. 그것이 해리슨과 프라부파다의 첫 번째 만남이었다.

        이 자리에서 프라부파다는 존 레논과 조지 해리슨, 요코 오노에게 약 50분 동안 크리슈나와 '크리슈나 의식(意識)', < 바가바드 기타 >에 대해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그리고는 그들에게 만약 이러한 철학이 마음에 든다면 이해해보도록 노력해보고 그 다음 받아들여보라고 제안했다. 그 뒤로는 20여 분간 요코와 존을 중심으로 명상과 만트라(진언, 주문) 등에 대한 질문과 프라부파다의 답변이 이어졌다. 그 당시 대화를 조금만 우리말로 옮겨본다. 실제 녹취파일은 아래 링크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http://krishna.org/george-harrison-john-lennon-and-yoko-ono-from-the-beatles-talk-with-srila-prabhupada-mp3-audio

        프라부파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어떤 철학을 따르시는지요?

        존 레논: 따르는 철학이요?

        요코 오노: 우리는 어떠한 것도 따르지 않아요. 우리는 우리일 뿐이에요.

        조지 해리슨: 우리는 명상을 해왔습니다. 아니면 저 혼자 해왔다고 해야 할까요. 저는 명상, 만트라 메디테이션을 해오고 있습니다.

        프라부파다: 하레 크리슈나 만트라 또한 만트라입니다.

        존 레논: 하지만 노래는 아니지요.

        조지 해리슨: 아니, 찬팅(Chanting)입니다.

        존 레논: 우리는 마하리시에게 만트라를 받았어요. 각자 하나씩요.

        프라부파다: 마하라시의 만트라는 잘 알려진 것이 아닌가요?

        조지 해리슨: 아니에요. 소리 내어 외우지 않았어요.

        존 레논: 네, 아닙니다. 아주 비밀스러운 것이지요. (웃음)

        프라부파다: 어떤 만트라가 그토록 힘이 있다면 왜 그처럼 비밀스럽게 있어야 합니까? 만트라는 당연히 널리 알려져야 합니다. 이 시대의 사람들은 크게 고통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차이타니아 마하프라부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이 하레 크리슈나 만트라를 큰 소리로 구송하십시오. 누구나 다 들을 수 있도록 소리 내어 외우세요. 심지어 새들과 짐승들까지도 들을 수 있도록. 그리고 그들이 해방되도록.“ 그게 다입니다.

        요코 오노: '하레 크리슈나 만트라'가 그렇게 강력하고 효과적인 만트라라면 그밖에 또 다른 것들을 부를 이유가 없을 것 같은데요? 가령 당신께서 말씀하신 노래들이라든지 다른 만트라들 말이지요. 그렇다면 다른 노래나 만트라를 암송하는 의미는 무엇인지요?

        프라부파다: 아니, 이러저러한 만트라를 노래해도 됩니다. 하지만 하레 크리슈나 만트라는 특별히 이 시대에 추천하는 주문(呪文)입니다. 물론 다른 베딕 만트라들도 권위가 있고 암송해도 좋습니다. 그러나 하레 크리슈나 만트라 찬팅(chanting)은 지금 시대에 꼭 필요한 진언(眞言)입니다. 이는 < 브라흐만다 푸라나 >, < 칼리-산타라나 우파니샤드 >, < 아그니 푸라나 > 등 여러 베딕 문헌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들 외에도 차이타니아 마하프라부는 이 만트라를 전했습니다. 하레 크리슈나 하레 크리슈나 크리슈나 크리슈나….

        이야기를 다 마친 프라부파다는 존과 조지, 요코에게 신에게 먼저 바친 음식 '프라사담'을 나누어주고 모두 함께 그 성스런 음식을 먹었다. 그 뒤로 조지 해리슨은 박티요가의 정신적 스승으로서 프라부파다를 자주 찾으며 그와 좋은 관계를 맺었다. 조지 해리슨은 1982년 자신의 절친한 친구이자 크리슈나 신도인 무쿤다 고스와미와의 인터뷰에서 프라부파다와의 첫 만남을 이렇게 회고했다. “프라부파다를 처음 봤을 때는 나는 그를 과소평가했습니다. 그때는 그 사실을 깨닫지 못했어요. 하지만 이제 알 것 같습니다. 프라부파다 덕분에 하레 크리슈나 만트라가 지난 16년 동안에 그렇게 널리 알려질 수 있었다는 것을요.”

        그 무렵 비틀스는 서서히 종말에 다다르고 있었다. 존 레논은 플라스틱 오노 밴드를 결성해 1969년 9월에는 캐나다 토론토에서 데뷔 콘서트까지 열었다. 그리곤 곧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이름으로 'Cold Turkey'란 곡을 녹음했다. 또 링고 스타는 프로듀서 조지 마틴과 함께 1969년 10월 27일 솔로 앨범 < 센티멘털 저니 > 작업에 착수했고 배우로서 영화 < 더 매직 크리스천 > 촬영도 시작했다. 비틀스보다는 하레 크리슈나 신도들과 보다 많이 어울려 지내던 조지 해리슨은 빌리 프레스턴과 같이 1969년 12월 그가 좋아했던 딜레이니 앤 보니 밴드(Delaney and Bonnie Band)의 유럽투어에 참여했다. 반면 폴 매카트니는 아내 린다와 함께 스코틀랜드 북서부 킨타이어 뮬(Mull of Kintyre)의 농장에 가서 시간을 보냈다.

        비틀스 멤버 모두는 성장했고 이제 변화와 자신들 각자가 원하는 삶을 찾아 떠날 때였다. 오랜 시간에 걸쳐서 다들 떠나고 싶어 했다. 밴드에서 자유로워지길 바랐고 해방을 원했다. 이들이 계속 같이 있기에 비틀스라는 공간은 너무 좁고 답답했다. 링고 스타와 조지 해리슨은 벌써 한 차례 그룹을 떠난 적이 있었다. 시간이 가면서 존 레논 역시 공공연히 비틀스를 떠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하지만 폴 매카트니와 앨런 클라인이 앨범 < 렛잇비 >가 나올 때까지만 공표하지 말아달라고 레논을 말렸다. 그런데 막상 끝까지 비틀스를 사수했던 매카트니가 1970년 4월 10일 자신의 솔로 앨범 < 매카트니 > 출시와 더불어 비틀스의 해산을 슬쩍 흘렸다. 그는 이날 < 데일리 미러 >와의 서면 인터뷰를 통해 비틀스에서 탈퇴한다고 선언했다. 결국 파티는 끝났다.

        이렇게 비틀스의 일대기는 막을 내렸다. 어찌됐든 조지 해리슨은 마침내 자신의 음악을 마음껏 펼쳐 보일 수 있는 자유를 얻었다. 그에게 비틀스는 분명히 놀라운 경험이었으나 그만 독립해서 다른 삶을 살고 싶었다. 자신만의 날개를 펴야했다. 조용한 비틀? 투명인간?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만 기억하는 XXX 세상? 실은 그렇지 않다.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가 비틀스의 알파와 오메가였다면 조지 해리슨은 비틀스의 영혼이자 정신이었다. 이제 그 거대 그룹에서 벗어난 솔로 아티스트 조지 해리슨의 시대가 개막한다.
      • 2010/03 고영탁(taakizm@gmail.com)
      • 앨범 리뷰
      •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Remastering] 조지 해리슨 고영탁 2007 12005
        Brainwashed 조지 해리슨 이기찬 2002 6098
        Live In Japan (George Harrison) 조지 해리슨 IZM 1992
        Cloud Nine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87 11815
        Gone Troppo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82 9555
        Somewhere In England 조지 해리슨 소승근 1981 10211
        George Harrison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9 10073
        33⅓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6 9663
        The Best Of George Harrison 조지 해리슨 소승근 1976 10900
        Extra Texture(Read All About It)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5 9678
        Dark Horse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4 10577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3 10049
        Concert For Bangla Desh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2 9720
        All Things Must Pass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0 11748
        Electronic Sounds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69 9950
        Wonderwall Music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68 11077
      • 아티클
      • [무비즘] 조지 해리슨: 물질 세계에서의 삶 조지 해리슨 염동교 2022 2575
        조지 해리슨 20주기 추모 콘서트 조지 해리슨 IZM 3460
        조지 해리슨 10주기 추모 콘서트 조지 해리슨 안재필 11647
        조지 해리슨 사망 10주기 기념 평전 조지 해리슨 김獨 13989
        핸드메이드 필름과 영화 제작 조지 해리슨 고영탁 75577
        다크 스위트 레이디 조지 해리슨 고영탁 14521
        동서양 화합의 장, 다크호스 투어 조지 해리슨 고영탁 11487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조지 해리슨 고영탁 13075
        I Am Missing You 조지 해리슨 고영탁 10556
        바이 바이 러브 조지 해리슨 고영탁 12625
        리빙 인 더 머터리얼 월드 조지 해리슨 고영탁 10920
        크리슈나 북 Krsna Book 조지 해리슨 고영탁 12109
        지상최대의 감동, ‘콘서트 포 방글라데시’ 조지 해리슨 고영탁 13007
        아침노을은 오전 내내 계속 되지 않고 조지 해리슨 고영탁 9774
        3인자에서 1인자로 - All Things Must Pass 조지 해리슨 고영탁 11468
        새로운 안식처 프라이어 파크(Friar Park) 조지 해리슨 고영탁 12323
        비틀스의 영혼, 그리고 정신 조지 해리슨 고영탁 10766
        ‘Something’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조지 해리슨 고영탁 13577
        겟 백(Get Back) 프로젝트 조지 해리슨 고영탁 10316
        조지, 만트라 앨범을 내다 조지 해리슨 고영탁 10561
        스와미 프라부파다 조지 해리슨 고영탁 13096
        깊어진 내면, 깊어진 음악 조지 해리슨 고영탁 16612
        비틀스, 리시케시에 가다! 조지 해리슨 고영탁 12593
        마하리시 마헤시 요기와 초월명상 조지 해리슨 고영탁 26003
        6주간의 인도순례와 ‘Within you without you’ 조지 해리슨 고영탁 11365
        시타르, 라비 샹카르, 인도 조지 해리슨 고영탁 14030
        조지 해리슨이 남겨둔 마지막 노래 조지 해리슨 김獨 9576
        신(神)의 곁으로 영원히 떠난 조용한 비틀, 그를 추모하며 조지 해리슨 안재필 9289
      • 관련 앨범 리뷰
      • On Air - Live At The BBC Volume 2   비틀스 임진모 2013 11738
        Love 비틀스 임진모 2006 13513
        Let It Be.... Naked 비틀스 임진모 2003 13368
        The Beatles One 비틀스 임진모 2000 13802
        The Beatles/1962-1966   비틀스 임진모 1973 14753
        Let It Be 비틀스 이기찬 1970 10373
        Abbey Road   비틀스 임진모 1969 15720
        Yellow Submarine 비틀스 IZM 1969
        The Beatles [White Album]   비틀스 임진모 1968 16966
        Magical Mystery Tour 비틀스 IZM 1967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비틀스 임진모 1966 20760
        Revolver 비틀스 IZM 1966
        Rubber Soul   비틀스 임진모 1965 14334
        Help! 비틀스 IZM 1965
        A Hard Day’s Night 비틀스 IZM 1964
        Please Please Me   비틀스 임진모 1963 14163
        With The Beatles 비틀스 IZM 1963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트레이드 엘
        I be like (Feat. 쏠)
        • [Single] I be like (Feat. 쏠)
        • [Single] Karma
        • [Single] Death
        • [Single] Water (Feat. 키스 에이프)
        • [Single] No reason
        • [Feature] Fifty와 Fifty가 만나 드디어 100이 됐다
        • [Library] 김광석 다시 부르기 Ⅱ
        • [Album] 김광석 다시 부르기 Ⅱ
        • [Album] Assemble
        • [Album] Desire, I Want To Turn Into You
        • [Single] Some things don't change
        • [Single] Miracle
        • [Single] Expectations
        • [Single] Freshman
        • [Single] Young, dumb, stupid
      • 인기 콘텐츠
      • "열정의 청춘 로커, 팬들의 마음에 도킹하다!"

        이승윤

        "이즘이 선정한 뉴 잭 스윙 16선"

        "Fifty와 Fifty가 만나 드디어 100이 됐다"

        피프티 피프티(FIFTY FIFTY)

        "R.I.P. 비비안 웨스트우드(1941-2022)"

        "타이타닉(Titanic, 1997)"






      • Editors' Choice
      • Mélusine
        세실 맥로린 살반트
        프랑스 설화에 빗대 정체성을 실험하는 예술가. 재즈, 샹송, 아프로 음악의 혼합을 통해 아름다운 혼종으로 거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클라우드] EP. 31 : [플레이리스트] 요새 듣는 음악(엔믹스, 황민현, 100 겍스, 바비 콜드웰)
        • [뮤직 클라우드] EP. 30 : 2020년 이후 당신이 기억해야 할 (숨겨...
        • [뮤직 클라우드] EP. 29 : 밴드 열전! 자우림 & 크랜베리스
        • [뮤직 클라우드] EP. 28 : 2023 국/내외 뮤직 페스티벌 여기 어때...
        • [뮤직 클라우드] EP. 27 : 한성현의 영화음악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