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Feature    고영탁의 조지 해리슨 이야기
      • 크리슈나 북 Krsna Book
      • DATE : 2010/06   |   HIT : 12109
      • by 고영탁
      • 크리슈나에 대한 조지 해리슨의 관심과 헌신은 스릴라 프라부파다와의 유대를 통해 더 깊어졌다. 이들은 1969년 9월 존 레논의 티텐허스트 자택에서 처음 만난 뒤, 그해 연말까지 세 차례 더 만남을 가졌다.

        “프라부파다를 만나는 일은 언제나 즐거웠었습니다. 가끔 저는 그 분을 불시에 찾아가곤 했습니다. 원래 갈 생각은 없었지만 어쩐지 꼭 가야할 것만 같았죠. 그럴 때마다 늘 매우 좋은 느낌을 갖고 가곤 했습니다. 그 분께서 제게 개인적으로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정말 반가운 일이었지요.” (조지 해리슨)

        조지는 스릴라 프라부파다를 영적 스승처럼 따랐으며 프라부파다는 조지를 '하리의 아들 Hari's son', 또 '스리맨 Sriman'이라 칭송했다. '하리'와 '스리'는 크리슈나의 다른 이름이었다. 그 후로 조지는 1970년 4월, 산스크리트어 찬송 앨범 < 라다 크리슈나 템플 >을 제작, 애플 레코드를 통해 발매했다. 이어 그해 11월에는 코러스 부분에 '하레 크리슈나 만트라'를 삽입한 싱글 '마이 스위트 로드'를 출시했다.

        또 그에 앞선 1970년 1월에는 당시 스릴라 프라부파다가 쓴 책의 초판 비용을 대기도 했다. 책 제목은 < 크리슈나 - 최고의 인격신 Krsna,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 (이하 < 크리슈나 북 >). < 크리슈나 북 >은 인도 베다문학의 정점인 < 스리마드 바가바탐 Śrīmad Bhāgavatam >, 다른 말로 < 바가바타푸라나 Bhāgavatapurāna >의 10번째 편을 프라부파다가 영문으로 번역하고 해설한 책이다.

        특별히 이 10편은 5,000년 전 인도에 출현한 크리슈나의 출생부터 어린시절, 청년기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10번째 칸토에서 유년기의 크리슈나는 친구들과 함께 브린다반에서 소를 돌보다가 우연히 악의 화신들을 만나 그들을 죽이게 된다. 이어 어느 보름날 밤 연인 라다, 그리고 브린다반의 소치는 소녀들인 고피(Gopis)들과 같이 사랑의 춤, 라사 릴라를 춘다.

        그런데 당시 스릴라 프라부파다는 이 책의 원고를 완성했지만 출판한 자금이 부족했다. < 크리슈나 북 >은 아름다운 전면 컬러 삽화 54컷이 포함되어 있었고, 초판 5천부를 찍는 데는 정확히 1만9천 달러가 필요했다. 고민 끝에 프라부파다는 제자인 샤마순다르에게 조지에게 가서 책을 낼 수 있도록 도움을 부탁해보라 말했다. 그러나 샤마순다르는 조지의 절친한 친구이기도 해서 돈 문제로 그의 마음을 불편하게 만들고 싶지 않았다. 도저히 내키지 않았던 샤마순다르는 감히 용기를 내서 스승에게 직언했다.

        “스승님, 조지에 대해서는 저희가 매우 조심스러워야합니다. 결코 조지에게 그 어떤 것도 부탁해서는 안 됩니다. 저희 쪽에서 조지에게 무엇을 줄지언정 그에게 무언가를 받아서는 안 됩니다. 그가 무얼 준다면 그것은 그 스스로가 저희에게 제공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스릴라 프라부파다는 제자가 무슨 말을 하는지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 크리슈나 북 >은 서구 독자들에게 크리슈나의 진정한 매력을 알릴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고, 또한 조지가 진정으로 크리슈나를 섬긴다면 그 영적인 봉사를 기꺼이 해줄 것이라고 믿었다. 그래서 프라부파다는 망설이는 샤마순다르에게 말했다.

        “조지에게 그게 내 개인적인 부탁이라고 일러라. 크리슈나께서 그에게 가서 말할 수 있도록 네게 도움을 줄 것이다.”

        인도에서 구루, 즉 영적 스승은 신의 대리인이다. 따라서 구루는 신의 권위가 있으며 구루의 말씀은 신의 말씀과도 같다. 사마순다르는 결국 스승의 명을 따랐다. 그 다음날 밤 샤마순다르는 조지를 찾아가 말했다.

        “조지, 언젠가 한번 말한 적이 있는데, < 크리슈나 북 >이라고 프라부파다께서 쓰셨다는 책 기억하나요? 잘 알려진대로 이제 어디서나 크리슈나의 이름을 들을 수 있게 됐습니다. 그렇지만 크리슈나의 어린시절이나 그가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몰라요. < 크리슈나 북 >은 바로 그러한 내용을 담은 책입니다. 프라부파다께서는 당신에게 부탁을 좀 드리라고 말씀하셨어요. 그 분께서는 < 크리슈나 북 >을 출간하는 데 당신이 도움을 주었으면 하십니다.”

        그 말을 듣고 잠시 멈칫했던 조지는 곧바로 환한 웃음과 함께 샤마순다르의 요청을 수락했다. 크리슈나를 좋아하고 스릴라 프라부파다를 존경했기 때문이다. 프라부파다를 통해 크리슈나를 알게 된 그는 이번 프라부파다의 < 크리슈나 북 >도 세상 사람들에게 크리슈나를 알리는 훌륭한 기회가 될 거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조지는 주저하지 않고 출판비용 1만9천 달러를 기부했다. 그는 또 < 크리슈나 북 >의 책머리에 추천사까지 썼다. 이 추천의 글에는 크리슈나를 사랑하는 조지의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다음은 그가 쓴 < 크리슈나 북 > 추천사의 전문이다.

        “모든 사람은 크리슈나를 찾고 있습니다. 비록 자신이 크리슈나를 찾고 있다는 것을 모른다 하더라도 실제로는 그렇습니다. 크리슈나는 신이시며 존재하는 모든 것의 근원이시며 전부터 있어왔고 지금도 있고 앞으로도 있을 모든 것들의 원인이십니다. 신께 한계란 없듯이 그분에게는 많은 이름이 있습니다. 알라-부처-여호와-라마: 모두가 크리슈나이시며 모두가 하나이십니다.

        신은 추상적이지 않습니다. 신은 비인격적, 인격적 측면을 모두 갖고 있습니다. 최고이고 영원하며, 더없이 행복하고 지식으로 가득 한 그 분의 특성에서 말이지요. 단 한 방울의 물도 바닷물과 똑같은 특징을 보유하고 있듯이, 우리 의식 역시 신 의식의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물질적 에너지(물리적 육체, 감각 만족, 물질 소유, 자아 등)에 따른 식별이나 집착을 통해서 우리의 진정한 초월적 의식은 오염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더러운 거울처럼 순수한 이미지를 나타낼 수 없게 됐습니다.

        여러 생명들과 더불어 일시적인 것과의 유대는 계속 자라납니다. 뼈, 가죽, 살로 된 이 영구적이지 않은 육체가 진정한 우리 자신이라고 오인 받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 일시적 조건을 변경 불가능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일시적이지 않고 영구적인 신의 의식 상태가 모든 영혼들을 회복시킨다는 사실은 어느 시대에나 위대한 성자를 통해 살아있는 증거로 남아있습니다. 각각의 영혼은 잠재적으로 신성합니다. 크리슈나께서는 < 바가바드 기타 >를 통해 말씀하셨습니다. “요가 수행을 꾸준히 하며 자신을 다스리는 수행자는 모든 세속적 오염에서 벗어나 주님을 위한 초월적 사랑의 봉헌을 하며 그 가운데 최상의 경지의 행복을 달성하느니라.” (6장 28절)

        요가(신을 깨닫는 과학적 방법)는 우리 의식을 정화하는 과정입니다. 또 더 이상 오염되지 않고 완벽함과 완전한 지식, 더 없는 행복의 상태에 이르는 과정입니다.

        만약 신이 계시다면 그 분을 보고 싶습니다. 증거 없이 무언가를 믿는다는 것은 무의미한 일입니다. 크리슈나 의식과 명상은 우리가 실제로 신의 가르침을 얻을 수 있는 방법들입니다. 신을 보세요. 그 분을 들어보세요. 그 분과 함께 놀이를 해보세요. 말도 안 되는 소리처럼 들릴지 모르지만 그 분은 정말 그곳에, 당신과 함께 계십니다.

        라자 요가, 즈나나 요가(지혜의 요가), 하타 요가, 크리야 요가, 카르마 요가(행위의 요가), 박티 요가(헌신의 요가) 등 각각의 권위자들에 의해 널리 알려진 많은 요가의 단계가 있습니다.

        스릴라 프라부파다께서는 박티 요가 수행자는 헌신의 길을 가야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신도들은 각자의 생각과 말과 행동에서, 신의 거룩한 이름을 찬송하는 것으로 신의 의식(意識)에 이를 수 있습니다. 하레 크리슈나 하레 크리슈나 크리슈나 크리슈나 하레 하레. 저는 여러분께 이 책 < 크리슈나 북 >을 기회 삼아 크리슈나 의식의 세계에 입문해보시길 정중히 부탁합니다. 또한 요가(통합)의 자기 해방 과정을 통해 당신의 신과 만날 약속을 하시기를, 그리고 평화에 기회를 주시길 부탁합니다.

        당신이 필요한 모든 것은 크리슈나를 사랑하는 일입니다.
        하리 볼 - 조지 해리슨 1970년 3월 31일“


        이와 같은 조지의 깊은 영적 봉사에 스릴라 프라부파다는 서한을 통해 사의(謝意)를 표했다.

        “친애하는 조지에게, 부디 제 축복의 기도를 받으십시오. 크리슈나 의식 운동을 전파하도록 귀중한 도움을 주신 점 깊이 감사드립니다.” (스릴라 프라부파다, 1970년 2월 16일, 조지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

        뿐만 아니라 그는 < 크리슈나 북 > 저자서문을 통해서도 조지에게 고마움을 전했다.

        “스리맨(Sriman) 조지 해리슨에게 진심으로 감사를 표합니다. 이제부터 하레 크리슈나를 찬송하는 조지는 이 책의 출판비용인 1만9천 달러 전액을 기부해주었습니다. 크리슈나께서 이 멋진 사람에게 크리슈나 의식 속에서 더 큰 진보를 주실 겁니다.” (스릴라 프라부파다, < 크리슈나 북 > 저자서문 중에서)

        또한 스릴라 프라부파다는 훗날 조지의 성품과 그의 신앙을 높이 평가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스리맨 조지 해리슨은 < 크리슈나 북 > 출간비용 1만9천 달러를 기부하는, 아주 특별한 봉사를 했습니다. 런던에 있을 때 저는 조지를 네 번 만났습니다. 그는 매우 헌신적이었습니다. 조지는 자신의 부유한 위치를 결코 자랑으로 여기지 않았습니다. 그는 일급 뮤지션으로서의 명성이 있으며 세상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가운데 한 명으로 존경 받습니다. 하지만 조지는 결코 자신을 부풀리지 않았습니다. 아주 겸손하고 온화했으며 정중하고 독실했습니다. 그래서 틀림없이 그 모든 성품과 크리슈나를 향한 조지의 봉사는 본인이 크리슈나 의식에서 진전을 이루도록 도울 것입니다. 이와 같이 저는 조지가 비록 정식으로 입문한 저의 제자는 아니지만 여전히 여러 방식으로 저희를 도울 거라고 봅니다.” (프라부파다, 1970년 2월 8일 바가반에게 보내는 편지)

        조지의 도움으로 < 크리슈나 북 >은 1970년 5월 출간되었다. 일본 다이니폰사에서 인쇄된 < 크리슈나 북 >은 각각 400페이지짜리 책 두 권으로 나뉘어 나왔으며 70장의 컬러삽화가 담겼다. 표지는 라다와 크리슈나가 서로를 감싸 안고 있는 아름다운 그림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훗날 1982년 하레 크리슈나 신도이자 조지의 가까운 친구인 무쿤다 고스와미가 그에게 당시의 심정을 물었다.

        “< 크리슈나 북 >의 첫 출간 비용을 기부하고 또 그 책의 서문을 썼을 때 어떤 기분이었나요?”

        그리고 조지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

        “저는 그저 그것이 제 일의 일부라고 느꼈습니다. 아시겠지만 제가 세계 어딜 가든지 (하레 크리슈나) 신도들을 볼 때마다 저는 언제나 ”하레 크리슈나!“ 하고 인사합니다. 그러면 그 분들은 저를 보고 늘 반가워합니다. 무척 다정한 관계죠. 개인적으로 저를 알든, 모르든 간에 그 분들은 저를 친숙하게 느낍니다. 그리고 실제로도 그 분들은 저와 친근합니다.” (조지 해리슨, 무쿤다 고스와미와의 인터뷰, 1982)
      • 2010/06 고영탁(taakizm@gmail.com)
      • 앨범 리뷰
      •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Remastering] 조지 해리슨 고영탁 2007 12005
        Brainwashed 조지 해리슨 이기찬 2002 6098
        Live In Japan (George Harrison) 조지 해리슨 IZM 1992
        Cloud Nine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87 11815
        Gone Troppo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82 9555
        Somewhere In England 조지 해리슨 소승근 1981 10211
        George Harrison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9 10073
        33⅓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6 9663
        The Best Of George Harrison 조지 해리슨 소승근 1976 10900
        Extra Texture(Read All About It)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5 9678
        Dark Horse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4 10577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3 10050
        Concert For Bangla Desh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2 9720
        All Things Must Pass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70 11748
        Electronic Sounds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69 9950
        Wonderwall Music 조지 해리슨 안재필 1968 11078
      • 아티클
      • [무비즘] 조지 해리슨: 물질 세계에서의 삶 조지 해리슨 염동교 2022 2575
        조지 해리슨 20주기 추모 콘서트 조지 해리슨 IZM 3460
        조지 해리슨 10주기 추모 콘서트 조지 해리슨 안재필 11648
        조지 해리슨 사망 10주기 기념 평전 조지 해리슨 김獨 13989
        핸드메이드 필름과 영화 제작 조지 해리슨 고영탁 75577
        다크 스위트 레이디 조지 해리슨 고영탁 14521
        동서양 화합의 장, 다크호스 투어 조지 해리슨 고영탁 11488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조지 해리슨 고영탁 13075
        I Am Missing You 조지 해리슨 고영탁 10557
        바이 바이 러브 조지 해리슨 고영탁 12626
        리빙 인 더 머터리얼 월드 조지 해리슨 고영탁 10920
        크리슈나 북 Krsna Book 조지 해리슨 고영탁 12109
        지상최대의 감동, ‘콘서트 포 방글라데시’ 조지 해리슨 고영탁 13007
        아침노을은 오전 내내 계속 되지 않고 조지 해리슨 고영탁 9774
        3인자에서 1인자로 - All Things Must Pass 조지 해리슨 고영탁 11469
        새로운 안식처 프라이어 파크(Friar Park) 조지 해리슨 고영탁 12323
        비틀스의 영혼, 그리고 정신 조지 해리슨 고영탁 10767
        ‘Something’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조지 해리슨 고영탁 13577
        겟 백(Get Back) 프로젝트 조지 해리슨 고영탁 10316
        조지, 만트라 앨범을 내다 조지 해리슨 고영탁 10561
        스와미 프라부파다 조지 해리슨 고영탁 13096
        깊어진 내면, 깊어진 음악 조지 해리슨 고영탁 16612
        비틀스, 리시케시에 가다! 조지 해리슨 고영탁 12593
        마하리시 마헤시 요기와 초월명상 조지 해리슨 고영탁 26004
        6주간의 인도순례와 ‘Within you without you’ 조지 해리슨 고영탁 11365
        시타르, 라비 샹카르, 인도 조지 해리슨 고영탁 14031
        조지 해리슨이 남겨둔 마지막 노래 조지 해리슨 김獨 9576
        신(神)의 곁으로 영원히 떠난 조용한 비틀, 그를 추모하며 조지 해리슨 안재필 9289
      • 관련 앨범 리뷰
      • On Air - Live At The BBC Volume 2   비틀스 임진모 2013 11738
        Love 비틀스 임진모 2006 13513
        Let It Be.... Naked 비틀스 임진모 2003 13368
        The Beatles One 비틀스 임진모 2000 13802
        The Beatles/1962-1966   비틀스 임진모 1973 14754
        Let It Be 비틀스 이기찬 1970 10373
        Abbey Road   비틀스 임진모 1969 15720
        Yellow Submarine 비틀스 IZM 1969
        The Beatles [White Album]   비틀스 임진모 1968 16966
        Magical Mystery Tour 비틀스 IZM 1967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비틀스 임진모 1966 20761
        Revolver 비틀스 IZM 1966
        Rubber Soul   비틀스 임진모 1965 14334
        Help! 비틀스 IZM 1965
        A Hard Day’s Night 비틀스 IZM 1964
        Please Please Me   비틀스 임진모 1963 14163
        With The Beatles 비틀스 IZM 1963
      • 최근 업데이트
      • Album
        김광석
        김광석 다시 부르기 Ⅱ
        • [Single] I be like (Feat. 쏠)
        • [Single] Karma
        • [Single] Death
        • [Single] Water (Feat. 키스 에이프)
        • [Single] No reason
        • [Feature] Fifty와 Fifty가 만나 드디어 100이 됐다
        • [Library] 김광석 다시 부르기 Ⅱ
        • [Album] 김광석 다시 부르기 Ⅱ
        • [Album] Assemble
        • [Album] Desire, I Want To Turn Into You
        • [Single] Some things don't change
        • [Single] Miracle
        • [Single] Expectations
        • [Single] Freshman
        • [Single] Young, dumb, stupid
      • 인기 콘텐츠
      • "열정의 청춘 로커, 팬들의 마음에 도킹하다!"

        이승윤

        "이즘이 선정한 뉴 잭 스윙 16선"

        "Fifty와 Fifty가 만나 드디어 100이 됐다"

        피프티 피프티(FIFTY FIFTY)

        "R.I.P. 비비안 웨스트우드(1941-2022)"

        "타이타닉(Titanic, 1997)"






      • Editors' Choice
      • 10,000 Gecs
        원헌드레드 겍스
        올 여름 락페는 이들의 누메탈 사운드와 함께.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클라우드] EP. 31 : [플레이리스트] 요새 듣는 음악(엔믹스, 황민현, 100 겍스, 바비 콜드웰)
        • [뮤직 클라우드] EP. 30 : 2020년 이후 당신이 기억해야 할 (숨겨...
        • [뮤직 클라우드] EP. 29 : 밴드 열전! 자우림 & 크랜베리스
        • [뮤직 클라우드] EP. 28 : 2023 국/내외 뮤직 페스티벌 여기 어때...
        • [뮤직 클라우드] EP. 27 : 한성현의 영화음악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