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Feature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유투, 왜 위대한가?”
        U2의 < 360° At The Rose Bowl > DVD를 보고
      • DATE : 2010/10   |   HIT : 18898
      • by 임진모

      • 유투(U2)는 '모든 것을 가진' 밴드다. 음악가를 재단하는 두 척도, 이른바 예술성과 대중성의 측면에서 그들은 활동 30년 동안 단 한 번도 흔들린 적이 없을 만큼 완벽한 성과를 거두었다. 완성도 높은 음악을 만들었고 동시에 막대한 대중들의 호응을 얻었다. 지금까지 낸 12장의 정규 앨범을 포함한 그들의 총 앨범 판매량은 세계적으로 무려 1억5천만 장을 기록하고 있다.

        “모든 것을 가진 밴드”
        미국 이외의 아티스트와 밴드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인색한 그래미상도 지금까지 그들에게는 22개의 트로피를 수여했다. 이 숫자는 당연하게도 그래미 역사상 밴드로서는 최다 수상 기록이다.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앞으로 다시는 없을 사건으로) 2000년에 발표한 앨범 < All That You Can't Leave Behind >에 수록된 2곡 'Beautiful day'와 'Walk on'으로 2000년과 20001년 그래미의 '올해의 레코드'부문을 연속 수상하는 경이적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그들은 외형적 성과는 공연 관객동원 기록과 수입 면에서 정점을 찍는다. 그들은 가는 곳마다 인산인해의 인파를 불러들인다. 공연 장소도 실내 아레나 아니면 아웃도어 스타디움 같은 대형공연장이다. 지난해 미국 캘리포니아 주 파사데나의 유명한 미식 축구경기장 로즈 보울(Rose Bowl)에서 거행된 <360°> 콘서트에는 무려 9만7천명의 관객이 입장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지난해부터 이어져오고 있는 (지금도 하고 있는) 월드 투어 <360° 투어>는 이전 두 번의 월드 투어 < Elevation 투어 >와 < Vertigo 투어 >의 수입실적을 다시 한 번 갱신할 것으로 보인다. CD 감소 시대에도 그들은 대박 콘서트퍼레이드가 있기에 끄떡없을 것이다.

        그들이 만들어낸 앨범은 거의가 평단 선정 명반들이다. 그들을 영웅에서 슈퍼스타로 상승시켜준 1987년의 < Joshua Tree >를 비롯해 그 이전의 < War >(1983), < The Unforgettable Fire >(1984) 이후의 < Achtung Baby >(1991), < Zooropa >(1993)는 무조건 명반리스트에 오른다.

        새 천년 이후의 앨범 < All That You Can`t Leave Behind >와 < How to Dismantle an Atomic Bomb >(2004년) 그리고 지난해 발표한 < No Line On The Horizon >도 신예 밴드들도 얻지 못한 고평을 받았다. 그들은 평가에 있어서도 슬럼프가 없다. < U2 360° At The Rose Bowl >는 바로 신보 < No Line On The Horizon >을 위한 월드 투어의 일환이었고 그 방점을 찍은 공연이었다.

        “모든 것을 갖춘 밴드”
        유투는 '모든 것을 가진' 밴드이지만 동시에 '모든 것을 갖춘' 밴드이기도 하다. 성공을 위한 욕망만이 있는 존재가 아니라 지금의 성공을 가져 오기 위해 부단히 공력을 다져왔다는 얘기다. 보노(Bono)는 카리스마 보컬의 전형이지만 아주 리얼한, 공감을 부르는 창법의 소유자다. 한때 그의 연주를 듣고 더 후의 피트 타운센드가 연주를 그만두고 싶었다는 기타리스트 디 에지(The Edge)는 스테레오 앰프를 이용한 딜레이 주법으로 기타사운드의 획을 그었다.

        바로 이 점에서 개인적으로 디 에지의 기타사운드는 '20세기의 음악발명품'이라고 생각한다. 그의 낭랑한, 징글쟁글 식의 딜레이 연주는 단번에 유투의 음악을 연결시켜주고 하지 않는가. 보노와 디 에지만이 아니라 베이스 아담 클레이튼, 드럼 래리 뮬렌 주니어 또한 4인의 하모니 구축에 놀라운 안정감을 만들어준다. 학교 동창생으로 작곡도 넷이 모여 하는 '네발 달린 테이블'이라고 하니 그 연주의 일체감이란 두말 할 필요가 없다.

        유투를 논할 때 그들의 정치 사회적 주의(Cause)가 오늘날의 유투 이미지와 실제를 결정한 요소임을 모르는 사람들은 없다. 그들은 지금도 우리가 사는 세상의 부조리와 반(反)인권을 고발하며 한 결 같이 평화를 위한 메시지를 설파한다.

        그들의 정치적 지향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들의 고매한 대의(大義)는 보노와 그룹으로 하여금 '음악가 중 가장 정치사회적 영향력을 가진 인물'로 승격시켜준 동력으로 작용했다. 그들은 실력과 지향을 갖췄기에 응당 세계 최고의 대우와 사랑을 누리고, 살아있는 전설의 위상에 올라있는 것이다.

        “왜 유투 콘서트인가를 말해주는 공연영상”
        로즈 보울 무대는 외형만으로도 입이 벌어지게 만든다. 크럴(Crawl)이라고 붙인 장대한 네 개의 다리 형상의 세트와 관객들이 360도 어느 각도에서도 볼 수 있도록 구상한 스테이지는 탄성을 유발하게 한다. 유투 입장에서 세트 리스트는 고민할 게 없을 것이다. 워낙 히트곡이 많기 때문이다.

        유투는 먼저 신보의 수록곡들인 'Get on your boots'와 'Magnificent'를 시작으로 해서 'Moment of surrender'로 대미를 장식했다. < No Line On The Horizon >을 알리기 위한 월드 투어임을 말해준다. 역시 신보에 수록된 앨범과 동명 타이틀곡 그리고 'I'll go crazy if I don't go crazy tonight', 'Unknown caller'도 레퍼토리화하고 있다. 이상한 것은 아직 익숙하지 않은 신곡임에도 단 한 번에 친화력을 느낀다는 사실. 블루스를 하든, 일렉트로닉 음악을 실험하든 그들의 정체성을 놓치지 않고 있다는 것의 증명이다.

        유투 공연에서 중요한 것은 클라이맥스로 달려가는 진행의 쾌감이다. 아무래도 시그니처 송인 'Sunday bloody Sunday'와 'MLK(마틴 루더 킹 목사)'부터 'Walk on'과 'One'까지가 공연의 하이라이트가 아닐까 한다. 여기서 보노의 다분히 종교적인 그러면서 그림을 그리는 것 같은 명품 보컬과 디 에지의 투명한 딜레이 사운드가 활활 타오른다. 노래에 맞추는 관객들의 일체화된, 그래서 너무나 아름다운 동작, 표정, 환호성을 보라. 그 이후의 곡들 'Where the streets have no name', 'Ultraviolet(Light my way' 그리고 결정타인 'With or without you'는 완전 관객들에게 헤게모니가 넘어간다.

        유투의 공연은 실로 '콘서트가치 체험의 완성'이다. 그들의 음악을 알든 모르든 현장에 가면 주변과 어울리며 단숨에 공동체 의식을 만끽한다. 유투가 'One'을 노래할 때만이 하나가 되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무대영상과 노래제목 'One'을 연결 지으며 노래를 시작하는 콘서트 기획은 아무나 할 수 없는, 실로 압권의 대목이다.

        빌보드 1위곡인 'I still haven't found what I'm looking for'와 이후 관객들과 팝 명곡 'Stand by me'를 합창하고 < All That You Can`t Leave Behind >의 명곡인 'Stuck in a moment you can't get out of'를 디 에지의 기타만으로 어쿠스틱 감을 부각해 노래하는 전반부 장면도 감동이 아닐 수 없다.

        실로 유투의 30년 궤적을 훑을 수 있는, 그러면서도 지금의 음악적 현황도 파악할 수 있는 베스트 앤 나우(Best and now) 콘서트 필름이다. 가끔 비쳐주는 관객들의 다이내믹 커뮤니티만으로도 '왜 유투 콘서트인가'를 웅변한다. 지난해 10월25일 이 공연이 있었던 밤에 파사데나 로즈 보울 경기장의 열기가 어땠는지도 고스란히 전해진다.

        하루 빨리 유투가 우리나라에 와서 'One'을 노래하고 'Sunday bloody Sunday'를 열창하는(아니 관객들과 같이 열창하는) 감격을 공유하고 싶다. 이번 영상필름은 그날을 위한 워밍업이요, 예행연습이다. 공연이 이렇게 찬란할 수가 없다.
      • 2010/10 임진모(jjinmoo@izm.co.kr)
      • 앨범 리뷰
      • Songs Of Experience 유투 소승근 2017 5761
        Songs Of Innocence 유투 이수호 2014 9020
        No Line On The Horizon 유투 소승근 2009 13958
        How To Dismantle An Atomic Bomb 유투 배순탁 2004 11829
        Best of 1990-2000 유투 안재필 2002 9944
        All That You Can`t Leave Behind   유투 임진모 2000 12941
        All That You Can`t Leave Behind 유투 안재필 2000 9900
        Pop 유투 배순탁 1997 9799
        Zooropa 유투 IZM 1993
        Achtung Baby   유투 배순탁 1991 12364
        Rattle And Hum 유투 소승근 1988 9412
        The Joshua Tree   유투 임진모 1987 15412
        Wide Awake In America(Live) 유투 IZM 1985
        The Unforgettable Fire 유투 소승근 1984 8878
        War 유투 배순탁 1983 10050
        Under A Blood Red Sky(Live) 유투 IZM 1983
        October 유투 IZM 1981
        Boy 유투 IZM 1980
      • 싱글 리뷰
      • You're the best thing about me 유투 이택용 2017 4043
        Invisible 유투 이수호 2014 7386
        Get on your boots 유투 이대화 2009 9643
      • 아티클
      • 유투 내한공연 “공연 예술의 정점을 목격하다” 유투 김도헌 5407
        '지상 최대의 콘서트’ 유투 내한 지침서 15곡 유투 IZM 10166
        U2가 바라본 세상 (2): Wanderer in Zooropa 유투 윤영훈 5361
        U2가 바라본 세상 (1): In God's Country 유투 윤영훈 7153
        유투 ‘I still haven't found what I'm looking for’ 유투 이무영 14717
        “유투, 왜 위대한가?”
        U2의 < 360° At The Rose Bowl > DVD를 보고
        유투 임진모 18898
        [열전 (5)]U2의 디 에지(The Edge) 유투 유병열 33110
        U2,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다! 유투 김獨 9744
        CommentIZM! - U2 ‘Vertigo’ 유투 엄재덕 9518
        행방불명된 U2의 신곡 유투 이지연 9291
        U2, “내년을 기대하라!” 유투 김獨 8638
        U2, 11번째 앨범 착수 유투 윤석진 8364
        보노, “저 또 왔어요” 유투 김소연 9630
        만델라의 SOS 수락한 보노! 유투 김소연 8492
        세계 최고의 로큰롤 밴드 U2 유투 안재필 9662
        돌아온 “U2” 음반-콘서트 인기몰이 유투 안재필 8002
        U2 - 2002년 그래미 전망 유투 고영탁 8146
        돌아온 U2 유투 임진모 8694
        록밴드 U2 “Sweetest Thing” 선보여 유투 임진모 7756
        록그룹 U2 세계순회공연 신기록 행진 유투 임진모 9476
        U2 급속 수면 부상 유투 임진모 8208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롤링 스톤스
        Angry
        • [Single] Angry
        • [Single] Let’s dance
        • [Single] Sage
        • [Single] 별 떨어진다 (I do)
        • [Album] But Here We Are
        • [Album] Playing Robots Into Heaven
        • [Album] The Death Of Randy Fitzsimmons
        • [Interview] 라쿠나 인터뷰
        • [Album] The Ballad Of Darren
        • [Album] Unhealthy (Deluxe)
        • [Single] Get a guitar
        • [Single] Cat & mouse
        • [Single] 홍대 R&B
        • [Single] M.O.M.
        • [Single] Danse macabre
      • 인기 콘텐츠
      • "올리비아 로드리고와 새드 걸 팝, 팝은 어떻게 슬퍼졌는가"

        올리비아 로드리고(Olivia Rodrigo)

        "IZM 필자가 사랑하는 뮤직비디오 (해외편)"

        "IZM 필자가 사랑하는 뮤직비디오 (국내편)"

        "2023 펜타포트 베스트 7"

        "다니엘 시저의 음악세계"

        다니엘 시저(Daniel Caesar)





      • Editors' Choice
      • Grateful
        NSW 윤
        적어도 19살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완숙한 '외국 힙합 때깔'과 트렌드 감각.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 클라우드] EP. 53 : [임터뷰] “2010년대 한국의 클럽, DJ 그리고 EDM?!”, 신간 <댄스 뮤직 아카이브> with 이대화 음악 저널리스트
        • [뮤직 클라우드] EP. 52 : [플레이리스트] 요새 듣는 음악(전람회, ...
        • [뮤직 클라우드] EP. 51 : [신보리뷰] 있지, 전소미, 스테이씨, 트...
        • [뮤직 클라우드] EP 50 : [임뮤클] "동그랗게 원을 그려, 초심의 힘...
        • [뮤직 클라우드] EP 49 : [탁상음론] 뉴진스 with 정다열 필자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