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Feature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여왕 50년
      • DATE : 2010/10   |   HIT : 16665
      • by 임진모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Barbra Streisand)는 대기록의 여왕이다. 찬란한 위용의 그 위대한 기록들은 아무도 따를 수가 없다. 먼저 그는 음반, 영화, 뮤지컬 3분야를 정복했다는 증거로서 그래미상, 오스카상, 토니상을 모두 수상한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또 미국 음반산업협회(RIAA)가 집계한 역대 최고 음반판매량의 톱10 아티스트 가운데 여성 가수로는 유일하게 순위에 들었으며 로큰롤이 아닌 분야의 가수 중 유일하다는 것도 빛나는 궤적이다.

        바브라는 음반만 내면 히트를 기록했다. 역시 RIAA 집계로 여가수 가운데 그는 역사상 가장 많은 빌보드 톱10 앨범을 기록했다. 1963년부터 무려 31장이 히트의 기준인 10위 안에 랭크되었다. 입이 벌어질 경이로운 성과다. 이것은 바브라의 신보가 나왔다 하면 상당수 미국인들이 그 앨범을 구매했다는 얘기다. 거의 편애 수준인 셈이다.

        그중에서도 우리가 가장 기억해야 할 대기록은 2009년 앨범 < Love Is The Answer >에 이르러 방점을 찍는다. 1942년생으로 우리 나이 예순 여덟이라는 말년의 앨범이었음에도 이 앨범은 당당 빌보드 앨범차트 정상을 호령했다. 이 쾌거로 바브라는 1960년대(1964년 < People > 1위), 1970년대(1974년 < The Way We Were > 1위), 1980년대(1980년 < Guilty >, 1985년 < Broadway Album > 1위), 1990년대(1993년 < Back To Broadway >, 1997년 < Higher Ground > 1위) 에 이어 2000년대에도 넘버원 앨범을 보유할 수 있게 되었다. 다섯 번의 10년(Decade)을 정복한 이 찬란한 기록은 대중가수 누구도 넘보지 못한 사상 최초라는 점에서 감탄을 부른다.

        무엇이 바브라를 우리 시대가 가장 사랑한 '뮤직 퀸'으로 등극시킨 걸까하는 물음은 우문(愚問)일 것이다. 결론 하면 그는 너무도 노래를 잘한다. 한마디로 '반세기가 보증한 싱잉 퀸'이다. 메조소프라노(아니면 콘트랄토)의 음역으로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는 2옥타브 이상을 능수능란하게 흠결 없이 비행한다.

        한두 음 위 아래로 더 넓게 볼 수도 있지만 1옥타브 미(E)에서 2옥타브 솔(G)까지는 실로 완벽하다. 정확한 음의 구사에다가 홀릴 듯한 미성, 빼어난 호흡, 비트감각 그리고 노래에 대한 장악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더욱이 바브라를 돋보이게 해준 특별한 재능은 세월에 따라 그 음역과 파워가 거의 손상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곧 출시될 앨범 < The Ultimate Collection >에서 그 경이적 불변(不變)을 여지없이 알려주는 대목이 있다. 15번째 트랙 'People'은 뮤지컬 <퍼니 걸>에 삽입된 곡으로 1964년 빌보드 싱글차트 5위에 오른 출세작이다. 1963년 12월에 레코딩한 이 곡에 이어 다음 열여섯 번째 트랙 'Smile'은 2003년에 발표한 앨범 < The Movie Album >의 첫 수록곡이다(1936년 찰리 채플린 영화 <모던 타임즈>를 통해 소개되었고 찰리 채플린이 직접 썼다).

        두 곡의 시차는 무려 40년에 이른다. 하지만 파워에 있어 미세한 차이가 있을 뿐 듣는 사람에게 시원함을 주는 판타지 가창은 조금도 변함이 없다. 그토록 긴 세월이 흘렀어도 여전히 한창 젊었을 때의 그 가창을 그래도 재현하고 있는 것이다.

        < The Ultimate Collection > 앨범은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의 히트곡 콜렉션이 아니다. 그랬다면 그를 기억하는데 필수인 1970년 히트작인 'Stoney end'(빌보드 6위)나 1977년의 'My heart belongs to me'(4위), 1979년 영화 <메인 이벤트>의 삽입곡인 'The main event/Fight'(3위) 그리고 1996년 골드 싱글인 브라이언 애덤스와의 듀엣 송 'I finally found someone'이 빠지지 않았을 것이다.

        오히려 앨범은 히트차트 성적과 무관하게 앨범과 싱글을 망라해 바브라 이력의 정점의 순간에 포커스를 맞추었다. 바브라 하면 떠오르는 빅히트 넘버들, 예를 들면 'People', 'The way we were'(1위), 영화 <스타탄생(A star is born)>의 러브 테마 'Evergreen(Love theme from'(1위), 닐 다이아몬드와 호흡을 고른 1979년의 블록버스터 'You don't bring me flowers'(1위) 그리고 생애 최고의 히트 모멘트인 1980년의 'Woman in love'가 당연히 수록되었지만 앨범의 주요 트랙 그리고 영화와 뮤지컬 쪽의 대표곡도 대거 포함시켰다.

        뮤지컬로, 영화로 대성공한 <퍼니 걸>에서 'Funny girl' 아닌 'Don't rain on my parade'를 골랐고 영화 <옌틀(Yentl)>에서도 싱글로 나온 'The way he makes me feel'말고 기성세대가 대표적으로 선호하는 곡 'Papa, can you hear me?'를 택했다. 뮤지컬 레퍼토리로는 걸작 < The Broadway Album >에서 스테판 손드하임(Stephen Sondheim)의 명작 'Send in the clowns', 스테판 손드하임과 레너드 번스타인이 엮어낸 명품 레퍼토리 'Somewhere' 그리고 1993년 < The Broadway Alum >의 후속편이라고 할 < Back To Broadway >의 'As we never said goodbye'가 포함되었다. 싱글차트 성적은 평범했지만 영원히 잊지 못할 바브라 가창의 절정 <캐츠>의 'Memory'도 들어갔다.

        그의 반세기 활동을 더듬어 볼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최근 노래에 비중을 높인 것도 앨범의 미덕이다. 셀린 디온과 함께 디바 세계의 환상을 제공했던 1997년의 'Tell him', 바브라가 개인적으로 아끼는 곡으로 알려진 1999년의 'I've dreamed of you', 비지스의 배리 깁(Barry Gibb)과 꾸려낸 1980년 대박 < Guilty > 발표 25주년을 맞아 2005년에 만든 후속작품 < Guilty Pleasures >에 수록된 'Stranger in a strange land'(역시 배리 깁의 동물적 팝 본능과 바브라의 명품 가창이 결합된 팝의 걸작이다) 등은 후반기 곡들이다. 지난해 < Love Is The Answer >의 'In the wee small hours of the morning'이 가장 최신의 레퍼토리로 한 트랙을 장식하고 있다.

        장구한 50년의 노래 세월을 훑을 수 있도록 아마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가 직접 선곡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연대순으로 편집하지 않은 것도 젊었을 때와 중년 그리고 지금의 노년을 굳이 염두에 두지 않고 청취하라는 주문인 것 같다. 아닌 게 아니라 1960년대 노래와 요즘의 노래가 별 차이가 없다.

        앨범은 한마디로 히트 아닌 베스트 컬렉션이며 그 선곡은 '베스트 오브 베스트'가 아닐 수 없다. 왜 그녀가 음반, 영화, 뮤지컬의 삼국통일 위업을 확인할 수 있는 앨범인 동시에 그 이유가 뭔지를 알 수 있는 앨범이다. 족히 두 세대는 바뀌었을 반세기가 지나도록 팬들이 그 곁에 아직 수두룩하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바브라는 진정한 대중가수다. 젊었을 때 강렬한 록을 들었던 사람들도 나이가 들면 바브라를 찾게 된다는 점을 전제하면 앞으로도 대중들이 그의 곁을 떠날 것 같지는 않다.
      • 2010/10 임진모(jjinmoo@izm.co.kr)
      • 앨범 리뷰
      • Partners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이기선 2014 3191
        A Love Like Ours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99
        Higher Ground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97
        Mirror Has Two Faces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96
        Streisand Sings Harold Arlen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93
        Back to Broadway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93
        Prince of Tides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91
        Till I Loved You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88
        The Broadway Album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85
        Emotion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84
        Yentl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83
        Memories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81
        Guilty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80
        The Main Event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79
        Wet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79
        Songbird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78
        Streisand Superman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77
        A Star Is Born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76
        Classical Barbra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76
        Funny Lady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75
        The Way We Were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74
        ButterFly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74
        Live Concert at the Forum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72
        Barbra Joan Streisand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71
        Stoney End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71
        The Owl and the Pussycat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70
        What About Today?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69
        A Happening in Central Park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68
        A Christmas Album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67
        Simply Streisand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67
        Je M‘appelle Barbra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66
        Color Me Barbra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66
        My Name Is Barbra, Two...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65
        My Name Is Barbra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65
        The Third Album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64
        People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64
        The Second Barbra Streisand Album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63
        The Barbra Streisand Album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63
        Pins and Needles [Original Cast Recording]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IZM 1962
      • 싱글 리뷰
      • Here's to life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성원호 2009 6456
      • 아티클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여왕 50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임진모 16665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롤링 스톤스
        Angry
        • [Single] Angry
        • [Single] Let’s dance
        • [Single] Sage
        • [Single] 별 떨어진다 (I do)
        • [Album] But Here We Are
        • [Album] Playing Robots Into Heaven
        • [Album] The Death Of Randy Fitzsimmons
        • [Interview] 라쿠나 인터뷰
        • [Album] The Ballad Of Darren
        • [Album] Unhealthy (Deluxe)
        • [Single] Get a guitar
        • [Single] Cat & mouse
        • [Single] 홍대 R&B
        • [Single] M.O.M.
        • [Single] Danse macabre
      • 인기 콘텐츠
      • "올리비아 로드리고와 새드 걸 팝, 팝은 어떻게 슬퍼졌는가"

        올리비아 로드리고(Olivia Rodrigo)

        "IZM 필자가 사랑하는 뮤직비디오 (해외편)"

        "IZM 필자가 사랑하는 뮤직비디오 (국내편)"

        "2023 펜타포트 베스트 7"

        "다니엘 시저의 음악세계"

        다니엘 시저(Daniel Caesar)





      • Editors' Choice
      • 더 찐한 핑크 앨범
        자메즈
        감성 힙합으로만 포장하기에는 아까운 진심, 쑥스럽지만 뭐 어때!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 클라우드] EP. 53 : [임터뷰] “2010년대 한국의 클럽, DJ 그리고 EDM?!”, 신간 <댄스 뮤직 아카이브> with 이대화 음악 저널리스트
        • [뮤직 클라우드] EP. 52 : [플레이리스트] 요새 듣는 음악(전람회, ...
        • [뮤직 클라우드] EP. 51 : [신보리뷰] 있지, 전소미, 스테이씨, 트...
        • [뮤직 클라우드] EP 50 : [임뮤클] "동그랗게 원을 그려, 초심의 힘...
        • [뮤직 클라우드] EP 49 : [탁상음론] 뉴진스 with 정다열 필자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