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Feature    이run 저run 스크랩!!
      • [스크랩 3]어디에도 없는 소년, 가득 살고 있는 생의 프롤로그 <노웨어 보이>
      • DATE : 2011/01   |   HIT : 10877
      • by 이가영
      • 신화적인 인물들은 위대한 작품 속에서 그리움으로 살아 숨쉰다. 아이러니하게도 지독한 결함이나 내면에 오래된 상흔을 지닌 존재일수록 그리움은 짙다. 비극으로 희극을 갈구한 극작가 유진 오닐과 페미니즘의 상징 실비아 플라스, 신의 발 바슬라프 니진스키, 블론드의 화신 마릴린 먼로, 기형에 탐닉한 다이안 아버스•••. 비범한 예술가들이 아린 심상으로 맺힌다. 그들은 아픈 영혼을 끌어안고 해방구를 찾아 예술의 세계로 도약했고 고통을 걸작으로 승화시켰다.

        대중음악사에서 불멸의 아이콘으로 자리한 '존 레논' 역시 고통의 비상을 감내한 영혼이다. 무구한 창백함이 서린 인상, 여림과 쇠약의 기운을 뿜으며 고결한 멜로디로 남은 존 레논이 우리 곁을 떠난 지 벌써 30년을 넘겼다. 그가 살아있다면 70세가 되는 해, 그 끝자락에서 각별한 영화 한편을 만났다.

        존 레논이 음악에 처음 눈뜨는 시기를 주목한 영화 <존 레논 비긴즈-노웨어 보이 Nowhere Boy>는 '리버풀의 반항아' 존 레논만으로는 제어할 수 없는 여운을 남긴다. 우리는 이 영화에서 반항아의 한 시절을 보는 데 그치지 않고 '반항아는 왜 반항하는가'를 유심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이 탐색은 완성된 뮤지션 존 레논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발원점으로 인도한다. 양친의 부재로 깊은 생채기가 난 소년 존이 이모 미미의 집을 배경으로 겪는 시절의 성장통을 따라 가다 보면 존 레논의 전 일생을 스크린에 투영하게 된다.

        냉소적인 이모 미미와 달리 자상했던 이모부 조지가 죽고 나자, 존이 엄마를 보는 사건에서부터 시작되는 영화는 2차 세계대전이 막을 내린 후인 50년대를 기점으로 한다. 가까이 살고 있던 엄마를 존이 찾아갔을 때 영국의 항구도시 리버풀에는 스트리밍 제이 호킨스, 엘비스 프레슬리, 버디 홀리를 비롯한 미국의 로큰롤이 상륙했다. 존은 스크린에 비친 엘비스를 보고 단번에 빠져들어 그를 흉내내기 시작한다.
        밀물과 썰물처럼 떠나가는 것과 찾아오는 것을 받아들이며 순서를 정하지 못한 채 혼란 속에 서 있던 청년 존은 포마드 기름으로 옆머리를 빗어 넘기고 집을 나서자마자 이모 미미의 규율을 깨부순다. 자신을 둘러싼 충격들을 완화시키는 그만의 방법이었을까, 심한 근시를 앓으면서도 안경을 벗어버리고 세상을 보는 그의 행동은 그야말로 '눈에 뵈는 것 없는' 무법자적 일탈이다.

        이 영화의 큰 줄기는 존 레논 한 사람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를 보기 전에 육중한 무게감으로 스크린을 지배하는 것은 여성들이다. 방황하는 한 청년을 압도하는 갈등의 통로에 거부할 수 없는 두 여성이 팽팽하게 대치하고 있다. 관객은 '엄마와 이모'라는 주인공의 관점에서 더 나아가 '자매'라는 시선으로 바라볼 때 영화는 또 한번 극적이다.


        줄리아는 지구상의 엄마라는 존재가 가진 모성애의 극치를 보여준다. 한 순간 놔버린 자식이 일생의 우울증을 지배하고, 재회하는 순간부턴 모든 행위와 감정을 아들에게 쏟아 부으면서 자신은 무(無)가 되고 자식의 분신이 되길 원한다. 들뜬 걸음으로 다가와 볼을 부벼 대고, 키가 한자나 더 자란 아들의 옆에 누워 축음기의 음악을 흥얼거리는 엄마, 리버풀의 구전 가요 '매기 매이(Maggie May)'를 부르며 밴조를 가르쳐주는 엄마의 자유분방함은 무법자인 존도 당황할 정도다.
        미미는 그 반대편에 우뚝 서 있다. 그녀 역시 존을 끔찍이 사랑한다. 줄리아의 방식이 어디로 튈지 모르는 경박함이라면 미미의 방식은 목을 죄는 느낌이다. 사회적 틀에 갇혀 응결된 상태의 그 애정은 표독스럽고 차디차다. 점잔 빼는 당시 시민사회 중산층의 의식을 철저히 고수하면서 존을 올바른 청년으로 키우려는 그녀의 책임 의식은 동생인 줄리아의 열기에 강력하게 맞선다.
        영화에서 존이 두 사람을 한꺼번에 밀치고 나가버린 후 자매를 비추는 카메라의 눈은 극명하다. 줄리아가 상실감을 온 몸으로 느끼며 주저앉을 때 그들을 가로막은 벽 너머에서 미미는 입을 가리고 오래 쌓인 독을 토해내듯 몰래 운다. 이 두 여성의 세상에 대한 인식과 표현방식은 그 사이에서 위태롭게 줄타기 하던 존의 정서에 지울 수 없는 혼란으로 남아 평생 그의 행태를 결정짓는다. 살아 생전 자신의 음악과 대중 앞에서 몰아(沒我)의 상태로 나아가면서 떠돌다 잠적하곤 했던 존 레논의 모습에서 알 수 있다. 그가 위인이면서도 기인으로 비춰지는 근원은 먼 곳에 있지 않다.

        심약한 자아의 정서적인 배경을 필두로, 영화는 대중음악사에 획을 그은 한 뮤지션의 결정적인 순간을 담는다. <노웨어 보이>는 존이 음악을 만나는 첫 순간에 엘비스 프레슬리의 충격을 싣고, 그보다 더 위대한 순간인 폴 맥카트니와의 만남도 놓치지 않는다.
        폴이 존을 만났을 땐 이미 유방암을 앓던 엄마를 잃은 후였고 그 자리에 자신만의 음악세계가 자리한 시기였다. 월튼 빌리지 축제의 야외무대 아래에서 무시당한 폴은 존에게 에디 코크런(Eddie Cochran)의 '트웬티 플라잇 록(Twenty Flight Rock)'을 들려준다. 존이 엄마의 밴조코드에서 벗어나는 순간이다. 흔들리는 정체성 때문에 음악을 도피처로 삼았던 존에게 폴은 기타코드를 가르치며, 음반사에게 휘둘리지 않으려면 곡을 직접 써야 한다고 맥랑한 충고까지 던진다. 존은 두 살 어리지만 낙천적이며 끈기 있게 따라붙는 폴에게 기타를 배우면서 밴드의 음악을 제대로 알아가기 시작한다. 비틀즈가 세상에 나오기 이전에 '레논&맥카트니'는 싱어송라이터 콤비였다는 것을 영화는 입증한다.

        정서가 판이하게 다른 둘의 만남을 지켜보며 그들을 꼭 닮은 두 개의 곡이 뇌리에 스쳐갔다. '폴의 페니 레인(Penny Lane)은 힘차고 달콤하며, 존의 스트로베리 필드(Strawberry Fields Forever)는•••.' 영화에서 존이 절친한 친구인 피트와 가로질러 가는 공원은 그들을 풍성한 그늘로 감싸지 않는다. 듬성듬성 뿌리 박힌 나무들 사이로 들판은 촘촘히 드러나있다.
        마더 콤플렉스에서 야기된 정체성의 혼란으로 존이 일찍이 앓은 병은 페니 레인 교차로에선 버스 위로 날고 두 발은 스트로베리 필드를 밟게 되는 트라우마였다. 완벽한 비틀즈가 되어서도 멤버들과 한결같이 융화되기에는 너무 황량한 필드가 그의 내면에 자리한 것이다. '노웨어 보이'가 지나다니는 길에 깔려있는 복선만으로도 비틀즈의 시한폭탄 같은 존재가 존 레논일 수밖에 없고, 비틀즈가 해체를 예약한 밴드였단 사실을 담담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영화는 존의 정서를 테마로 당대에 꽃핀 음악들을 불러낸다. 존 레논이 처음 만든 곡 '헬로 리틀 걸(Hello Little Girl)'도 현재진행형으로 들을 수 있다. 특히 스튜디오에서 그들의 밴드가 '인 스파잇 오브 올 더 데인저(In Spite Of All The Danger)'를 연주하는 후반부의 장면은 비틀즈의 탄생 서막을 예고하는 순간이면서, 자신들의 인생을 똘똘 뭉쳐 개척하는 '밴드'의 가치가 엿보이는 아름답고 숭고한 장면이기도 하다.

        함부르크의 언더그라운드로 떠나는 청년 존 레논의 진짜 스토리는 이모의 집을 떠나며 영화가 끝나는 순간에 시작된다. 영화 <노웨어 보이>는 한 불완전한 청춘의 예측불허 인생을 헤아리는 시작점, 프롤로그다. 세기를 뛰어넘어 고결하게 남은 자아의 첫 발을 쫓는 이 영화에서 어떤 무리의 이름 같은 건 수면 아래 있다. 비틀즈란 찬란한 이름조차도.

        영화의 여운을 가지고 돌아가 그의 노래 '마더(Mother)'를 끝까지 들어보라. 화가 나면 친한 사람들을 전부 거칠게 밀어내고 부모에게도 안녕이라고 수 차례 되뇌던 그였지만, 노래의 마지막에서,

        Mama don't go
        Daddy come home


        남는 것은 결국 기다림이다. 자신의 결핍이 어느 지점에서 시작됐는지 알고 있지만 자력으로는 채울 수 없는 무력감이 멜로디 위를 떠다닌다.

        노래와 함께 평생 떠나고 돌아오기를 반복한 불온한 영혼은 이제 우리에게 애잔한 그리움으로 남았다. 다코타 하우스 앞에서 쓰러진 그의 육신은 영영 떠나갔지만 세기를 뛰어넘어 우리 곁을 맴돌고 있는 노웨어 보이, 오늘도 전 세계에 가득 살고 있는 생, 존 레논이다.
      • 2011/01 이가영(tamura80@hanmail.net)
      • 앨범 리뷰
      • Lennon Legend: The Very Best Of John Lennon 존 레논 IZM 1997
        The John Lennon Collection 존 레논 IZM 1982
        Double Fantasy 존 레논 이기찬 1980 5706
        Rock ‘n’ Roll 존 레논 이기찬 1975 4708
        Walls And Bridges 존 레논 이기찬 1974 4897
        Mind Games 존 레논 이기찬 1973 4543
        Sometime In New York City 존 레논 이기찬 1972 4495
        Imagine   존 레논 윤석진 1971 12582
        Plastic Ono Band   존 레논 임진모 1970 9527
      • 아티클
      • 더 나은 세상을 상상하다: 이매진 존레논 展 존 레논 조해람 4650
        존 레넌 ‘Imagine’ 존 레논 이무영 18030
        [스크랩 3]어디에도 없는 소년, 가득 살고 있는 생의 프롤로그 <노웨어 보이> 존 레논 이가영 10877
        『존 레논 - In His Life』 존 블래니 지음 존 레논 IZM 10098
        존 레논 탄생 70년, 사망 30년 존 레논 임진모 28598
        존 레넌,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가수 5위 존 레논 김獨 18651
        레논의 가사, 고가에 낙찰! 존 레논 김獨 8611
        오노 요코 기자회견 존 레논 임진모 9272
        존 레논의 보금자리 공개! 존 레논 김소연 8856
        비틀스와 롤링 스톤스의 만남? 존 레논 윤석진 10442
        존과 요코의 노래 존 레논 임진모 8385
        죽음과 함께 사라진 전설의 록가수들 ‘부활’ 존 레논 임진모 9385
        도난 당한 존 레논과 오노 요코의 누드사진 존 레논 임진모 11499
      • 관련 앨범 리뷰
      • On Air - Live At The BBC Volume 2   비틀스 임진모 2013 10964
        Love 비틀스 임진모 2006 13083
        Let It Be.... Naked 비틀스 임진모 2003 12790
        The Beatles One 비틀스 임진모 2000 13294
        The Beatles/1962-1966   비틀스 임진모 1973 13929
        Let It Be 비틀스 이기찬 1970 9706
        Abbey Road   비틀스 임진모 1969 15094
        Yellow Submarine 비틀스 IZM 1969
        The Beatles [White Album]   비틀스 임진모 1968 16137
        Magical Mystery Tour 비틀스 IZM 1967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비틀스 임진모 1966 19938
        Revolver 비틀스 IZM 1966
        Rubber Soul   비틀스 임진모 1965 13759
        Help! 비틀스 IZM 1965
        A Hard Day’s Night 비틀스 IZM 1964
        Please Please Me   비틀스 임진모 1963 13426
        With The Beatles 비틀스 IZM 1963
      • 최근 업데이트
      • Feature
        요정 올리비아 뉴튼 존, 날개를 달다
        • [Feature] 여성 싱어송라이터 16인/16곡 (2)
        • [Feature] 여성 싱어송라이터 16인/16곡 (1)
        • [Single] I won't
        • [Single] 이브닝 (Feat. 빅 나티)
        • [Single] You.F.O
        • [Single] BRB
        • [Feature] [무비즘] 올리비아 로드리고 : 네가 있는 집으로
        • [Interview] 성훈 인터뷰
        • [Album] Jack In The Box
        • [Feature] 요정 올리비아 뉴튼 존, 날개를 달다
        • [Feature] [무비즘] 리스펙트
        • [Interview] [IZM이즘x문화도시 부평] #25 오헬렌
        • [Album] Geekyland
        • [Single] Attention
        • [Single] Degradation rules (Feat. Tony Iommi)
      • 인기 콘텐츠
      • "[김도헌의 실감, 절감, 공감] 유희열 표절 의혹, 신뢰를 회복하려면"

        "마침내 되찾은 서울의 열기, 제14회 서울 재즈 페스티벌"

        "[무비즘] 로켓맨"

        엘튼 존(Elton John)

        "R.I.P. 반겔리스, 소리의 모험가를 떠나보내며"

        "[한국대중음악의 재발견] 정훈희의 '안개'"






      • Editors' Choice
      • From The New World
        알란 파슨스
        여전한 고감도 사운드와 향수를 자극하는 선율.
      • 팟 캐스트더보기
        • [그때 음악] 5화 저항의 역사를 담은 음악 : 소수자, 여성 그리고 By 박수진 필자(사라 맥라클란, 비키니 킬, 스파이스 걸스, 뉴진스)
        • [뮤직 클라우드] EP. 08 : 2022 펜타포트 요일별로 쪼개봅니다!(타...
        • [뮤직 클라우드] EP. 07 : 상반기 결산 part2_국내편 (한정인, ...
        • [뮤직 클라우드] EP. 06 : 상반기 결산 part1_해외편 (로스 비초...
        • [요즘 음악] 3화 '하우스와 팬데믹' 그리고 '비욘세 & 찰리 XCX의 유...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