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Feature    유병열의 기타리스트 열전
      • [열전 (12)]에릭 클랩튼(Eric Clapton)
      • DATE : 2011/02   |   HIT : 18390
      • by 유병열
      • 더 이상 무슨 설명이 필요하겠는가. 마니아든 일반 대중이든, 그를 알든 모르든 그의 음악은 이미 많은 사람을 중독 시켰고 여전히 장르와 상관없이 사랑받고 있는 걸 안다. 그가 기타리스트인건 몰라도 '원더풀 투나잇', '레일라', '티어스 인 헤븐', '체인지 더 월드' 같은 노래는 지구촌 사람들 상당수가 안다는 것이다.

        에릭 클랩튼은 현존하는 블루스 기타리스트 중에 최고의 인기를 누리는 동시에 '기타의 신'이라는 칭호가 말해주듯 최고의 찬사를 받는 기타리스트이다. 연주를 하고 노래를 하는 무대 위 그의 모습을 보면 모든 것이 하나라는 느낌을 받는다. '닮아간다, 그의 음악과 그의 기타와 그의 모습이....'라는 생각. 이게 에릭 클랩튼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지점이 아닐까.

        블루스 음악이라는 게 우리나라에선 참으로 성공하기 어려운 음악이다. 흔히들 가장 시장성이 없고 배고픈 음악이라고 표현하는 걸 보면 그렇다. (어떻게 보면 신중현선생님 이후에 밴드 음악의 연결고리가 끊어졌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에릭 클랩튼은 팝적인 성향의 히트곡들로 일반사람들까지도 그의 음악에 빠져들게 하는 놀라운 장점을 지닌 뮤지션이다. 내한공연을 가진 해외 기타리스트 중에 최초로 전석 매진을 기록한 걸 보라. 사실 그는 부모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할머니의 손에 의해 자랐다. 그래서 늘 고독하고 외로움이 많았다. 마약. 술, 여자관계 등으로 늘 고통 속에 빠져있던 그를 지금도 건재하게 만든 것은 그가 사랑하고 의지하는 음악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 역경과 시련 때문에 그의 기타소리에 '깊이'가 배어나는 게 아닐까. 보컬로 보자면 특별한 테크닉은 없고 성량도 결코 풍부하지 않다. 그저 본인이 본인의 스타일에 가장 잘 맞는 곡을 직접 만들어 소화하기에 그 목소리가 감성적 조화를 선사하는 것이다. 송라이터이기에 갖는 혜택이다.

        그는 정통 블루스 연주자이지만 음악의 창작에 있어서는 다른 장르의 느낌들도 많이 사용했다. 솔직히 '원더풀 투나잇'도 팝적인 성향이 섞여있는 블루스로 생각되고, '티어스 인 헤븐'의 경우는 완전 팝이라 생각된다. 물론 그의 끈적끈적한 기타가 노래 사이사이에 적셔주면 에릭 클랩튼만의 선율이 예쁜 블루스 곡으로 재현되지만...

        대가들이 그렇듯 그 또한 실험적인 걸 즐긴다. 블루스에 기본을 두되 레게 비트적인 리듬도, 조금은 재즈적인 요소도, 팝적인 요소도 그때그때 곡의 느낌을 살리는 스타일에서 그의 오픈 마인드를 읽을 수 있다. 그의 주법에는 슬로우 핸드(slowhand)라는 별명이 붙어있다. 그냥 느린 손이 아니라 기타 네크에 붙어 다니면서 빠른 진행을 연주해도 손의 움직임이 느리게 느껴지는데서 생긴 그만의 닉네임이다.

        그가 주도한 데릭 앤 더 도미노스(Derek & The Dominos)의 멤버로 활동했을 당시 발표한 명곡 '레일라(Layla)'에서 그의 격정적인 기타연주는 지금도 최고의 연주로 칭송 받는다. 곡 도입부에 격정적으로 튀어나오는 기타리프는 그도 초창기에는 굉장한 록 스타일의 기타연주자였던걸 알 수 있다. 후반부, 피아노 솔로로 반전되는 분위기의 구성은 결코 그가 한 가지 장르에 머물러 있지 않다는 걸 말해준다.

        밴드 크림(Cream) 등을 거치던 초창기 시절에는 그 또한 록적인 느낌이 강했고 테크닉 또한 거침없었지만 지금은 블루스 뮤지션으로서 완전 이미지가 굳혀졌다. 나이가 들면서 '블루스 레전드' 비 비 킹(B. B. King)과 공연하고 오늘의 그를 만든 '델타 블루스의 영웅' 로버트 존슨(Robert Johnson) 곡을 재해석한 앨범을 내는 등의 활동 때문에 더 그랬을 것이다. 정통 흑인 블루스 뮤지션이 인정하는 백인 블루스 뮤지션이 에릭 클랩튼이다.

        1992년에 발표, 그래미상 6개 부문을 휩쓴 '티어스 인 헤븐(Tears in heaven)'은 다섯 살짜리 아들 코너의 아파트 실족사의 슬픔을 가슴에 묻어 곡 전체에 애절함이 흐른다. 첫 기타라인부터 어쿠스틱기타의 울림을 전방에 내세운 편곡도 그렇고 편안한 팝적인 코드진행과 리듬악기 편성을 극대화해서 슬픈 가사 내용과 선율을 잘 뒷받침해주고 있다.

        에릭 클랩튼은 쓸데없이 화성적으로나 테크닉적으로 복잡하거나 화려하거나 하는 스타일을 추구하진 않는다. 대가들이 그렇듯 가장 중요한 멜로디를 뒷받침해주면서 편안하게 들리는 연주와 편곡을 중시하는 타입이다. 초창기 때부터 그는 늘 펜더 스트라토캐스터 기타를 쓰고 있다. (지금은 에릭 클랩튼 본인의 시그니처 또한 많이 사용하긴 하지만)

        우리가 즐겨듣는 '원더풀 투나잇(Wonderful tonight)'의 애절한 기타소리도 바로 펜더 기타소리이다. 그의 연주는 블루스 연주자 대부분이 그렇듯 거의 펜타토닉 스케일이 기반이다. 자주 언급한 것처럼 펜타토닉 스케일이란 건 블루스의 기본이자 끝이기도 하다. 기타 이펙터의 최첨단 장비도 많이 사용하지도 않는다.

        그의 끈적거리면서 정확한 울림의 소리는 그의 정확한 양손 타이밍과 오른손 피킹에 의해서 만들어 진다. 기타소리 써스테인(sustain)은 철저하게 그의 손 밸런스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미세한 피킹 각도와 터치에 의해서 울려 퍼진다. 그는 어느 음 하나라도 대충 치는 게 없다. 정확하고 모든 음 하나하나가 꼭 의미가 들어있다.

        물론 그도 손버릇처럼 잘 쓰는 스타일의 플레이는 있지만 여기서 우리가 짚고 넘어갈 것은 대가들의 손버릇은 수십 년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만들어졌다는 점이다. 그래서 우연히 모르는 곡을 듣게 되더라도 '이건 누구 아닌가?'하게 되는 것이다.

        모르면 간첩이라고 해도 될 '원더풀 투나잇'이란 곡은 듣고 연주하기란, 오만하게 들리겠지만 정말 식은 죽 먹기다. 근데 막상 연주해보면 뭔가 찝찝한 게 '원더풀 투나잇'이다. 그만큼 에릭 클랩튼의 음악이란 게 듣기엔 감미롭고 편안하지만 직접 기타를 잡고 연주해보면 참으로 어설프게 느껴진다는 말이다.

        솔로 연주 시 조금 늦게 밀려나오는 백 그루브 감이 그의 기타연주의 특징 중의 하나고 철저하게 노래와 주고받는 앙상블의 능력 또한 그의 탁월한 곡 해석력이라고 할 수 있다. '코케인(Cocaine)'이나 '레이 다운 샐리(Lay down Sally)' 같은 곡에서의 리듬을 끌고 가는 능력 또한 그의 그루브 감이 얼마나 자연스러운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모든 테크닉들이 하모니를 이뤄야지만 그 같은 느낌 좋고 감칠 맛 나는 선율이 나오는 법이다. 그가 '기타의 신'인 것은 '조화의 신'이라는 말과도 같다.

        최고의 테크닉은 빨리치는 것보다, 이펙터를 이용한 최첨단 소리를 잘 만들어내는 것보다, 하나의 자연적인 소리가 연주자의 마음에서 얼마나 소리로 전달되는가에 달려있다고 생각한다. 바로 이런 면에서 에릭 클랩튼이 최고의 연주자라는 칭송을 받는 것일 게다. 위대한 뮤지션인 동시에 한명의 인간이란 생각이 드는 게 그 아닌가. 에릭 클랩튼의 연주는 손동작, 기술, 장비가 아니라 실로 사람 그 자체다.

        말하자면 연주와 자신이 동격을 이룬다고 할까. 앞서 한 말을 다시 한 번 한다. '닮아간다, 그의 음악과 그의 기타와 그의 모습이....' 그가 곧 내한공연을 갖는다. 이번이 세 번째지만 또 봐야할 것 같다. 1945년생으로 이젠 할아버지의 나이가 됐지만 앞으로도 오랫동안 그가 무대에서 연주하는 것을 보기를 희망한다. 나도 그렇게 나이 먹어도 무대에서 기타치고 싶으니까. 그는 모든 기타리스트의 롤 모델이자 로망이다.

        기타리스트 유병열 : 前 윤도현 밴드의 기타리스트, 현재 그룹 비갠 후의 기타리스트로 활동 중
        대표작 : 1999년 윤도현 밴드 < 한국 록 다시 부르기 >
        최근작 : 2009년 비갠 후 < City Life >
      • 2011/02 유병열(gtyou@hanmail.net)
      • 앨범 리뷰
      • Old Sock 에릭 클랩튼 신현태 2013 6278
        Play the Blues: Live from Jazz At Lincoln Center 에릭 클랩튼 IZM 2011
        Clapton 에릭 클랩튼 IZM 2010
        Live from Madison Square Garden 에릭 클랩튼 IZM 2009
        The Road To Escondido 에릭 클랩튼 임진모 2006 8314
        Back Home 에릭 클랩튼 임진모 2005 7988
        Me And Mr. Johnson 에릭 클랩튼 임진모 2004 6794
        One More Car, One More Rider 에릭 클랩튼 안재필 2002 6553
        Reptile 에릭 클랩튼 임진모 2001 6697
        Riding With The King 에릭 클랩튼 안재필 2000 6403
        Pilgrim 에릭 클랩튼 임진모 1998 6341
        Retail Therapy 에릭 클랩튼 안재필 1997 5831
        From The Cradle 에릭 클랩튼 안재필 1994 6204
        Unplugged   에릭 클랩튼 임진모 1992 7330
        Unplugged 에릭 클랩튼 안재필 1992 6460
        24 Nights 에릭 클랩튼 IZM 1991
        Journeyman 에릭 클랩튼 IZM 1989
        August 에릭 클랩튼 IZM 1986
        Behind The Sun 에릭 클랩튼 IZM 1985
        Backtracking 에릭 클랩튼 IZM 1984
        Money And Cigarettes 에릭 클랩튼 신현태 1983 5302
        Money And Cigarettes 에릭 클랩튼 IZM 1983
        Time Pieces 에릭 클랩튼 IZM 1982
        Just One Night 에릭 클랩튼 IZM 1980
        Backless 에릭 클랩튼 신현태 1978 5762
        Slowhand   에릭 클랩튼 안재필 1977 6627
        Slow Hand 에릭 클랩튼 임진모 1977 7357
        No Reason To Cry 에릭 클랩튼 신현태 1976 5878
        There's One In Every Crowd 에릭 클랩튼 신현태 1975 5429
        E.C. Was Here 에릭 클랩튼 IZM 1975
        461 Ocean Boulevard   에릭 클랩튼 임진모 1974 9260
        461 Ocean Boulevard 에릭 클랩튼 안재필 1974 6102
        Eric Clapton 에릭 클랩튼 신현태 1970 7290
        Layla & Other Assorted Lovesongs 에릭 클랩튼 임진모 1970 7351
        Blind Faith 에릭 클랩튼 안재필 1969 6455
        Wheels Of Fire 에릭 클랩튼 IZM 1968
        Disraeli Gears (Eric Clapton) 에릭 클랩튼 IZM 1967
        Fresh Cream 에릭 클랩튼 IZM 1966
        Bluesbreakers With Eric Clapton 에릭 클랩튼 IZM 1965
        For Your Love 에릭 클랩튼 IZM 1965
        Five Live Yardbirds 에릭 클랩튼 IZM 1964
      • 싱글 리뷰
      • Can't let you do it 에릭 클랩튼 신현태 2016 3430
        Eric Clapton & J.J Cale ‘Sporting life blues 에릭 클랩튼 임진모 2006 8098
      • 아티클
      • 에릭 클랩튼 ‘Tears in heaven’ 에릭 클랩튼 이무영 15440
        [열전 (12)]에릭 클랩튼(Eric Clapton) 에릭 클랩튼 유병열 18390
        에릭 클랩튼(Eric Clapton), 북으로... 에릭 클랩튼 소승근 9587
        CommentIZM! - Eric Clapton ‘If I had possession over judgement day’ 에릭 클랩튼 엄재덕 7314
        ‘Tears in heaven'이여, 안녕! 에릭 클랩튼 이지연 7803
        에릭 클랩튼의 이상한 매니저 에릭 클랩튼 임진모 7245
        사랑은 그림자 속에서 빛을 발하나니 에릭 클랩튼 임진모 8434
        드디어 한국 찾는 ‘살아있는 록의 전설’ 에릭 클랩튼 임진모 6528
        ‘기타의 달인’ 영화음악에도 일가견 에릭 클랩튼 임진모 8008
        에릭 클랩튼 ‘보컬도 최정상’ 블루스 앨범 <요람에서>차트 1위 에릭 클랩튼 임진모 8232
        에릭 클랩튼, 사생활 불운 딛고 재기 에릭 클랩튼 임진모 7351
        기타영웅 에릭 클랩튼 - 살아있는 전설로 숭앙 에릭 클랩튼 임진모 6727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사이먼 도미닉
        Party forever
        • [Album] Mood Swings
        • [Album] Spaceman
        • [Album] CIRCLE
        • [Album] Life Support
        • [Interview] 이두헌 인터뷰
        • [Album] 고질라 vs. 콩(Godzilla vs. Kong)
        • [Feature] 왜 < 미나리 >인가!
        • [Single] Twin sister
        • [Single] Party forever
        • [Single] 낮달
        • [Single] 도레미파솔 (Feat. 창모)
        • [Single] 사랑을 하고 있어
        • [Album] I’m
        • [Album] Bambi
        • [Album] PAGE
      • 인기 콘텐츠
      • "LP의 화려한 부활 그 아래 불안감"

        "방탄소년단과 브레이브걸스의 평행이론"

        "제 63회 그래미 시상식 결산 편"

        "제 63회 그래미 시상식 노미네이트 편"

        "여성, ‘힙합에서 살아남기’ 혹은 ‘힙합으로 살아남기’"

        메간 더 스탈리온(Megan Thee Stallion)





      • Editors' Choice
      • 김일성이 죽던 해
        천용성
        [김도헌] 김일성이 죽던 해도, 김정일이 죽던 해도, 우리는 계속 살아갔고 음악을 들었다.
      • 팟 캐스트더보기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8회 2부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