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Feature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록을 안방에 심은 송골매
      • DATE : 2012/02   |   HIT : 24587
      • by 임진모
      • 서울 홍대의 클럽이나 공연장에서는 인디 밴드들의 약진을 발견할 수 있지만 아직 지난해 '나가수'나 '케이팝'과 같은 현상의 단계는 아니다. 젊은이들이나 주류의 대안 음악을 갈망하는 층에서만 관심을 모은다. 인디 음악의 주종이 록임을 감안할 때 이 말은 록이 현재 맘껏 피어난 상황은 아니라는 뜻이다.

        인디 밴드가 설령 주류 미디어인 TV에 출연해도 아이돌 댄스그룹이나 가창력을 내세운 발라드 가수만큼 빠르게 대중적 화제를 흡수하지는 못한다. 여전히 대한민국 음악 판은 댄스와 발라드 틀 속에서 구동한다. 록은 잘 보이지 않는다. 록을 하는 팀이 있더라도 본격적인 수준이라기보다는 흉내 내는 정도에 불과한 게 현실이다.

        과거에는 어떠했는가. 한마디로 1980년대는 록의 시대였다. 아마도 개성과 자기표현을 중시하는 록이 펄펄 살아있었기에 1980년대가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로 규정되는지도 모른다. 조용필, 윤수일, 김수철 등 당대를 대표하는 가수들부터 그 시절에는 각각 밴드 '위대한 탄생', '윤수일밴드', '작은 거인'과 함께 록을 주요 콘텐츠로 하는 밴드음악을 했다. 비록 그 시대에 들어와 이전의 폭발적인 사운드에서 서정적인 음악으로 기조가 달라지긴 했지만 3인조 형제 록밴드 '산울림'도 위풍당당했다. 대학가에선 쉴 새 없이 록밴드가 나왔다.

        록은 주류에서 포효했다. 이 시기의 많은 록밴드 가운데 단연 손꼽히는 팀이 '송골매'일 것이다. 배철수와 구창모가 이끈 송골매는 공연무대나 야간업소에서도 맹활약했지만 TV에도 자주 모습을 비췄다. 당시 TV의 음악은 완전히 기성가수들의 것이었다. 10대와 20대들은 쉽게 텔레비전에 나올 수 없었다.

        배철수는 이렇게 설명한다. “송골매는 그런 풍토를 뚫고 TV에서 젊은이들의 정서를 대변했고 록으로 가장 대중적으로 팬들에게 다가선 그룹이다!” 이 얘기는 송골매와 같은 록밴드의 분발로 당시 TV 시청자들은 그 음악을 굳이 록이라고 목청 높여 말하지 않았을 뿐 일상적으로 록을 접했다는 말이다. 일반인들이 가장 자연스레 록을 많이 들었던 시절이 바로 1980년대였다.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록의 존재감에 의해 1980년대 중후반에는 '들국화', '부활', '시나위', '백두산'과 같은 언더그라운드 록밴드도 출현하기에 이른다.

        송골매는 1978년 < TBC 해변가요제 >에 참가한 배철수 주도의 항공대 캠퍼스 밴드 '활주로'를 모태로 한다. 당시 멤버는 배철수, 이봉환, 지덕엽, 이응수였고 1980년에 「세상만사」가 수록된 첫 앨범을 발표해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멤버들의 군대문제로 활동을 중단할 수밖에 없게 되자 배철수는 좀 더 큰 그림을 그리게 된다.

        <해변가요제>에서 탁월한 연주력을 발휘해 자신의 활주로를 놀라게 했던 '블랙 테트라'(이들의 곡 '구름과 나'는 빅히트했다)가 생각났고 그들과 함께 음악을 해야겠다는 구상이었다. 그리하여 블랙 테트라의 멤버인 구창모, 김정선, 오승동이 합류하게 되었다. 당시 배철수의 판단과 결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음악적 열정에 충만했던 그는 노래 잘하는 구창모와 발군의 연주솜씨를 자랑한 김정선과 오승동, 그들의 빼어난 실력이 절실했다.

        그는 구창모에게 함께 해보자는 제의를 하기 위해 구창모가 있었던 오색약수터라는 암자를 찾아 산에 오르는 열의까지 보였다. 조금 과장하면 유비가 제갈량을 찾기 위한 '삼고초려' 격이랄까. 리더 자리를 구창모와 나누어야 했지만 오로지 그의 관심사는 좋은 연주의 음악이었다. 구창모 역시 음악 욕심은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았다. 마침내 배철수와 구창모의 의기투합이 성사되었다.

        구창모는 당장 1982년 신년에 발표한 송골매 2집에서 능력을 뽐냈다. 송골매의 대표작이자 지금도 노래방의 애창 레퍼토리인 '어쩌다 마주친 그대'는 바로 구창모 작곡이다. 기타와 베이스로 구성한 이 곡의 전주 리프는 요즘 밴드들도 벤치마킹하는 '리프의 명작'으로 평가 받는다. 올해는 '어쩌다 마주친 그대'가 히트 3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배철수가 부른 '그대는, 나는'도 사랑받아 배철수의 위상은 여전했지만 그룹의 저울추는 이때부터 '모두 다 사랑하리' 등 주요 곡을 부른 구창모로 기울었다. 김수철이 써준 이 곡으로 송골매는 록 밴드로는 드물게 < MBC 서울국제가요제 >에 출전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처음 본 순간', '빗물', '한줄기 빛', '난 정말 모르겠네' 등 그룹의 히트 퍼레이드는 계속되었다. 송골매는 CF 모델로도 분했고 대학생 소재의 영화에도 출연하는 등 청춘의 아이콘으로 솟아올랐다. 하지만 순항하던 그룹은 4집을 끝으로 구창모의 탈퇴라는 쇼크를 당하면서 좌초의 위기를 맞는다. 솔로의 가능성을 높게 점친 제작자들의 끝없는 섭외로 구창모가 솔로독립에 나선 것이다.

        솔로 구창모는 '희나리', '아픔만큼 성숙해지고', '문을 열어' 등을 연속 히트시키며 당대 최고의 가수로 부상했다. 배철수는 팀을 추슬러 같은 해 '하늘나라 우리 님'으로 가요 톱10의 정상에 오르는 등 위신을 지켰지만 그것으로 전성기는 끝이었다. 6집부터 9집까지의 앨범은 모두 흥행에 실패했다. 1990년에 발표한 9집에서 '모여라'가 잠시 화제를 모았을 뿐이다. 배철수가 그해 MBC 라디오의 디스크자키로 변신하면서 사실상 송골매는 역사 속으로 들어갔다.

        송골매를 회고하면서 젊은이들의 힘찬 연주와 개성을 내세운 음악, 그 로큰롤이 주류 미디어에서 힘쓰지 못하는 요즘의 현실이 개탄스럽다. 록이 부재하다는 것은 역으로 현재의 주류 음악이 가수마다 그룹마다 개성적이지 못하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올해는 인디 밴드를 비롯해 록 음악이 분전하는 한해가 되기를 기대한다. 록의 활기는 다름 아닌 청년문화의 외침이기 때문이다.
      • 2012/02 임진모(jjinmoo@izm.co.kr)
      • 앨범 리뷰
      • 모여라 송골매 IZM 1990
        외로운 들꽃 송골매 IZM 1988
        새가 되어 날으리 송골매 IZM 1987
        오해 송골매 IZM 1986
        사랑이야기(배철수 독집 앨범) 송골매 IZM 1985
        하늘 나라 우리 님 송골매 IZM 1985
        난 정말 모르겠네 송골매 IZM 1984
        처음 본 순간 송골매 IZM 1983
        송골매 2집   송골매 윤석진 1982 11645
        어쩌다 마주친 그대 송골매 IZM 1981
        송골매 1집 송골매 이수호 1979 11371
      • 아티클
      • 록을 안방에 심은 송골매 송골매 임진모 24587
        DJ가 말하는 나의 삶, 나의 음악 : 2회 (배철수) 송골매 임진모 10634
        송골매 트리뷰트 송골매 임진모 5791
        배철수 인터뷰 송골매 지운 18875
      • 관련 앨범 리뷰
      • Kju;zik, 서라벌 구창모 IZM 1989
        愛, 서라벌 구창모 IZM 1989
        베스트, 미지음 구창모 IZM 1987
        感, YBM 구창모 IZM 1987
        飛, 한밭기획/지구 구창모 IZM 1986
        發, 해선기획/지구 구창모 IZM 1985
      • 최근 업데이트
      • Album
        푸 파이터스
        But Here We Are
        • [Single] Angry
        • [Single] Let’s dance
        • [Single] Sage
        • [Single] 별 떨어진다 (I do)
        • [Album] But Here We Are
        • [Album] Playing Robots Into Heaven
        • [Album] The Death Of Randy Fitzsimmons
        • [Interview] 라쿠나 인터뷰
        • [Album] The Ballad Of Darren
        • [Album] Unhealthy (Deluxe)
        • [Single] Get a guitar
        • [Single] Cat & mouse
        • [Single] 홍대 R&B
        • [Single] M.O.M.
        • [Single] Danse macabre
      • 인기 콘텐츠
      • "올리비아 로드리고와 새드 걸 팝, 팝은 어떻게 슬퍼졌는가"

        올리비아 로드리고(Olivia Rodrigo)

        "IZM 필자가 사랑하는 뮤직비디오 (해외편)"

        "IZM 필자가 사랑하는 뮤직비디오 (국내편)"

        "2023 펜타포트 베스트 7"

        "다니엘 시저의 음악세계"

        다니엘 시저(Daniel Caesar)





      • Editors' Choice
      • Happy Music
        슈퍼샤이
        톰 미쉬 기타에 생명을 불어 넣었던 명곡의 재주조.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 클라우드] EP. 53 : [임터뷰] “2010년대 한국의 클럽, DJ 그리고 EDM?!”, 신간 <댄스 뮤직 아카이브> with 이대화 음악 저널리스트
        • [뮤직 클라우드] EP. 52 : [플레이리스트] 요새 듣는 음악(전람회, ...
        • [뮤직 클라우드] EP. 51 : [신보리뷰] 있지, 전소미, 스테이씨, 트...
        • [뮤직 클라우드] EP 50 : [임뮤클] "동그랗게 원을 그려, 초심의 힘...
        • [뮤직 클라우드] EP 49 : [탁상음론] 뉴진스 with 정다열 필자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