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Feature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서태지 20년
      • DATE : 2012/03   |   HIT : 20965
      • by 임진모
      • 지금으로부터 딱 20년 전인 1992년 3월, 대중음악 판은 돌이켜보면 일촉즉발의 상황이었지만 당시를 살아가던 음악관계자들에게는 뭔가 터질 것 같은 분위기는 아니었다. 늘 그랬듯 스타들은 즐비했다. 밴드 '부활' 출신의 이승철, '무한궤도'에서 나온 신해철 그리고 이승환과 신승훈이 젊은이들의 환호와 갈채를 받기 시작했다.

        가수 지망생들은 세상을 떠난 지 얼마 되지 않은 김현식 같은 인물을 꿈꾸었고 작곡가들은 유재하가 되기를 열망했다. 대학생들은 김광석, 정태춘, 노찾사의 포크나 민중음악을 찾았다. 조용필은 여전히 '가왕'이었고 이선희는 여가수 대표였다. '트윈폴리오'와 나훈아의 앨범은 스테디셀러 품목으로 늘 레코드가게에 배치되어 구매자를 기다렸다. 모든 게 무난히 흘러가고 있었다.

        차라리 그때 대중적 화제 측면에서 떠들썩했던 특기할 가수는 이 땅의 인물이 아니라 미국에서 온 아이돌 그룹 뉴 키즈 온 더 블록(New Kids On The Block)이었다. 1992년 2월에 있었던 이들의 내한공연에서 수십 명이 다치고 급기야 한명의 학생이 깔려 사망하는 참극이 빚어지자 갑작스레 '청소년문화'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했다.

        외국의 댄스그룹에 열광한 10대들에 대한 언론의 시각은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얼마 후 한 신문에서는 '뉴 키즈 참극 벌써 잊었나?'하는 개탄조의 기사가 게재되기도 했다. 하지만 '뉴 키즈 사태'에 몰매를 맞은 그 청소년들은 곧바로 자신들의 열혈과 집단 히스테리를 폭발시켜줄 새 아이콘을 맞았다. 상처가 채 아물지 않은 '뉴 키즈 사태' 정확히 한 달 후인 3월, 잠시 후 돌풍을 몰고 올 서태지와 아이들의 1집이 나온 것이다.

        마치 목마르게 기다렸다는 듯 학생들은 빠르게 그리고 집단적으로 새 영웅에게 숭배마인드를 옮기기 시작했고 마침내 폭발한 5월쯤에는 단호하게 하나의 고정된 소속감으로 자진해 전열을 짰다. 서태지와 아이들이 나오기 전, 사실 음악가들이 댄스음악의 파괴력이나 랩을 인지하지 못했던 것은 아니다. 또한 그 무렵 산울림의 김창완은 “댄스든 뭐든 3인조 그룹이 솟아오를 분위기”라고 관측한 바 있다.

        신해철은 방금 전에 터뜨린 히트곡 '안녕'에서 랩을 시도했다. 다만 그게 영어였다는 점에서 과감함은 선을 넘지 못했다. 아닌 게 아니라 지껄이듯 빠르게 토해내는 래핑은 미국에서는 대박일지 몰라도 한국에서는 좀 거북하다는 정서가 지배적이었다. “우리말로 랩 하기는 방정맞은 거 아닌가?” “그건 미국 애들 얘기지!”

        포크, 발라드, 록, 민중가요가 대세인 현실에서 우리말 랩에 대한 도전은 감행되지 않고 있었다. 서태지와 아이들이 그걸 했다. 누구보다 더 과감하고 용의주도한 서태지가. '난 알아요/ 이 밤이 흐르고 흐르면/ 누군가가 나를 떠나버려야 한다는/ 그 사실을 그 이유를/ 이제는 나도 알 수가 알 수가 있어요..' 단 한 곡으로 대중음악계 아니 사회 전체가 갓 나온 신인에게 굴복했다.

        '난 알아요'가 던진 쇼크와 센세이션은 변화에 대한 갈망과 맞물려 증폭되었다. 우리말로 랩을 한 게 어떤 점에서는 음악을 포함한 사회 전반의 엄숙과 점잖음에 대한 비틀기 수준이었다. 적어도 틴에이저들에게 현상(現狀)은 지루하고 단조로웠다. 이제 30대가 되었을 당시 10대 청소년들은 우리말 랩, 곡 구성, 의상, 회오리 춤 등 서태지가 모든 면에 치밀하게 구성한 '파격'에 속속 포섭되었다.

        젊은이들이 빠져가는 만큼 기성세대의 당혹감도 그에 비례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종잡을 수가 없었다. 서태지의 음악은 전혀 청취 경험이 없는, 느닷없는 성질의 것이었다. 변화에의 적응 속도가 더딘 어른들은 정도의 차가 있었을 뿐 대체로 서태지와 아이들에 대한 적개심을 공유했다. “서태지가 나오고부터 가요를 안 들었어!” 세대의 갈등과 대결 구도가 스멀거리기 시작했다.

        젊은 세대가 에너지 공급원인 서태지는 불리할 게 없었다. 대중음악 바람과 시장의 주인은 청춘 아닌가. 1993년 '하여가'를 거쳐 1994년에 그는 한 발 더 나아가 강력한 록으로 채색한 3집 앨범으로 또 한 차례 격변의 기치를 들어올린다. 2년 전 '난 알아요'가 음악적 광풍이었다면 이번에는 사회적 쓰나미였다.

        '발해를 꿈꾸며', '교실이데아', '내 맘이야' 같은 현실적, 도발적, 저항적 메시지의 강한 노래는 교실은 물론 사회 전체를 발칵 뒤집어놓았다. '매일아침 일곱 시 삼십분까지/ 우릴 조그만 교실로 몰아넣고/ 전국 구백만의 아이들의 머릿속에/ 모두 똑같은 것만 집어넣고 있어/.. 됐어(됐어) 이젠 됐어(됐어) 이제 그런 가르침은 됐어/ 그걸로 족해(족해)...'

        이 새로운 젊음의 공격적인 사고를 평자들은 'X세대의 저항의식'이라고 명명했다. 아마 주류의 스타 가운데 기성질서와 가치에 대한 대공세의 깃발을 휘날린 뮤지션은 서태지가 처음이었을 것이다. 사회성이 덧붙여진 결과로 서태지의 존재감은 단순한 음악가에서 한마디 한마디가 X세대에게 계시인 '사회적 리더'로 폭등했다. '10대 대통령', '문화대통령', '대한민국 음악역사 바로세우기'라는 당대의 요란한 수식들이 증거한다.

        서태지 음악과 위상에 대한 논란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서태지 20년이 알려주는 것은 아티스트의 실험과 도전이야말로 대중예술을, 때로는 사회를 새로운 지평으로 안내해주는 동력이라는 사실이다. 담대하게 덤벼야 바뀐다. 케이팝의 해외공략과 인디의 분발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 음악계는 서태지의 키워드인 도발정신이 보이지 않는다.

        없는 게 아니라 가려진 것이겠지만 그런 미디어와 관습이 낳은 불평등 못지않게 우리 음악계가 상업성과 인기에 묶여있다는 논리도 결코 허술하지만은 않다. 서태지가 필요하다는 말은 팬들에게는 재림의 바람이겠지만 음악계로서는 변화를 향한 타는 목마름의 표현이다.
      • 2012/03 임진모(jjinmoo@izm.co.kr)
      • 앨범 리뷰
      • Quiet Night 서태지 김반야 2014 14206
        The Great 2008 Seotaiji Symphony 서태지 정동균 2009 18877
        Live Tour Zero 04 서태지 이대화 2004 14735
        7th Issue 서태지 배순탁 2004 29700
        Seotaiji 6th Album Re-recording And Etpfest Live 서태지 이경준 2003 13703
        Feel The Soul(Japan single) 서태지 IZM 2001
        태지의 화(話) - Live Album 2000-2001 서태지 IZM 2001
        태지 서태지 임진모 2000 16871
        서태지 서태지 임진모 1998 14977
      • 싱글 리뷰
      • Christmalo.win 서태지 김반야 2014 19593
        소격동 (Feat. 아이유) 서태지 이수호 2014 15525
        Replica 서태지 IZM 2009 21553
        Juliet 서태지 이대화 2009 18336
        Bermuda triangle 서태지 윤지훈 2008 17360
        Moai 서태지 IZM 2008 28478
        '07 교실이데아 서태지 윤지훈 2007 12089
        [Singles In Week] 2007년 12월 셋째 주 서태지 임진모 2007 12995
      • 아티클
      • 서태지 20년 서태지 임진모 20965
        [팬이 쓰는 ‘서태지 역사’ 3편]
        “나를 역주행하게 한 서태지, 어렸어도 그를 알았다!!”
        서태지 성지선 12286
        [팬이 쓰는 ‘서태지 역사’ 2편]
        “그 찬란한 명반, 명곡의 퍼레이드!”
        서태지 이민구 12797
        [팬이 쓰는 ‘서태지 역사’ 1편]
        서태지, 도대체 이 아저씨는 누굴까
        서태지 이수현 12881
        서태지, 상반기 음반 판매 1위 서태지 주선규 11338
        라이브 투어로 7집 마무리하는 서태지 서태지 이민희 8864
        서태지는 콘의 무대로! 서태지 김소연 9474
        서태지, 신곡맞소? 서태지 임진모 15355
        고감도 안테나 서태지의 새 실험 서태지 임진모 11349
      • 관련 앨범 리뷰
      • Good Bye(Best) 서태지와 아이들 IZM 1996
        시대유감(Single) 서태지와 아이들 IZM 1996
        Ⅳ   서태지와 아이들 조아름 1995 13007
        Ⅳ(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와 아이들 임진모 1995 11705
        95 다른 하늘이 열리고(Live) 서태지와 아이들 IZM 1995
        Ⅲ 서태지와 아이들 임진모 1994 11729
        Ⅱ   서태지와 아이들 이경준 1993 15976
        Ⅱ 서태지와 아이들 임진모 1993 11893
        93 마지막 축제(Live) 서태지와 아이들 IZM 1993
        난 알아요 서태지와 아이들 지운 1992 18226
        Techno mix & Live 서태지와 아이들 IZM 1992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이채연
        Let’s dance
        • [Single] Angry
        • [Single] Let’s dance
        • [Single] Sage
        • [Single] 별 떨어진다 (I do)
        • [Album] But Here We Are
        • [Album] Playing Robots Into Heaven
        • [Album] The Death Of Randy Fitzsimmons
        • [Interview] 라쿠나 인터뷰
        • [Album] The Ballad Of Darren
        • [Album] Unhealthy (Deluxe)
        • [Single] Get a guitar
        • [Single] Cat & mouse
        • [Single] 홍대 R&B
        • [Single] M.O.M.
        • [Single] Danse macabre
      • 인기 콘텐츠
      • "올리비아 로드리고와 새드 걸 팝, 팝은 어떻게 슬퍼졌는가"

        올리비아 로드리고(Olivia Rodrigo)

        "IZM 필자가 사랑하는 뮤직비디오 (해외편)"

        "IZM 필자가 사랑하는 뮤직비디오 (국내편)"

        "2023 펜타포트 베스트 7"

        "다니엘 시저의 음악세계"

        다니엘 시저(Daniel Caesar)





      • Editors' Choice
      • Ar
        애디슨 레이
        세계 4위 틱톡 거물, 찰리 XCX의 신고전주의를 탐하다.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 클라우드] EP. 53 : [임터뷰] “2010년대 한국의 클럽, DJ 그리고 EDM?!”, 신간 <댄스 뮤직 아카이브> with 이대화 음악 저널리스트
        • [뮤직 클라우드] EP. 52 : [플레이리스트] 요새 듣는 음악(전람회, ...
        • [뮤직 클라우드] EP. 51 : [신보리뷰] 있지, 전소미, 스테이씨, 트...
        • [뮤직 클라우드] EP 50 : [임뮤클] "동그랗게 원을 그려, 초심의 힘...
        • [뮤직 클라우드] EP 49 : [탁상음론] 뉴진스 with 정다열 필자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