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Feature    이무영의 名曲 속의 영어
      • 존 레넌 ‘Imagine’
      • DATE : 2012/09   |   HIT : 17861
      • by 이무영
      • “천국이 없다고 생각해봐요. 해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아요. 우리 밑에 지옥도 없고, 우리 위에는 하늘만 있다고 생각해요. 모든 사람들이 오늘만을 생각하며 산다고 생각해봐요.”

        존 레넌(John Lennon)의 'Imagine'은 얼핏 듣기에 참 부드러운 노래 같다. 하지만 잘 뜯어보면 팝 역사상 'Imagine'만큼 발칙하며 불온한 사상으로 똘똘 뭉친 노래는 찾기 힘들다. 창조주의 존재와 자본주의를 부정하고, 무정부의 세상을 주장하는 이런 무시무시한 노래에 다수가 열광했다는 사실은 참 이해하기 어렵다. 지난 1971년 'Imagine'은 빌보드 팝 싱글차트 3위, 영국 싱글차트 1위에 올랐다.

        'Imagine'이 상업적 성공을 거둔 이유는 아마도 체제전복적인 노랫말과 달리 은은한 멜로디에 실린 희망적 분위기가 사람들을 헷갈리게 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한다. 레넌 자신도 'Imagine'의 노랫말에 대한 보수주의자들의 저항에 대비키 위해 설탕을 좀 쳤다고 고백한 바 있다.

        무신론과 아나키즘, 그리고 사회주의의 낙원을 갈망하는 'Imagine'. 그렇다면 과연 레넌은 이 노래 속에 실린 낙원과도 같은 세상이 언젠가 꼭 도래할 것이라고 믿었을까. 만약 그런 세상이 가능하다면, 어떤 방법으로 이룰 수 있다고 생각했을까.

        몽상가 레넌은 모든 신앙과 체제, 그리고 물질만능주의가 사라질 때 유토피아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상사람 모두가 하나의 나라, 하나의 세상, 하나의 인류라고 믿었다. (John Lennon believed that we are all one country, one world, one people.) 그것이 그의 신앙이었다.

        비틀스(Beatles) 시절부터 말랑말랑한 음악을 하려는 폴 매카트니와 항상 부딪혔던 레넌은 솔로로 독립한 후엔 급진적 세계관을 담은 노래들을 꾸준히 내놓았다. “권력을 사람들에게 돌려주라.”는 'Power to the people'과 '노동자 계급 찬가'인 'Working class hero', 그리고 'Imagine' 등이 바로 그런 노래들이었다.

        레넌은 음악으로 좌파사상을 펼치는 데 그치지 않고, 정치적으로 민감한 이슈들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거침없이 토해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여러 차례 곤경에 처하기도 했다.

        레넌은 기본적으로 무신론자였고, 아나키스트였으며 반 자본주의자였다. 그는 천국과 지옥의 존재를 전하는 종교나 인간을 통제하는 모든 체제는 인류에게 불행을 가져다주는 악으로 규정했다. 그는 죽이거나 죽일 필요가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모든 종교와 국가가 붕괴돼야 한다고 믿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소유와 욕심, 그리고 배고픔이 없는 세상을 꿈꾸었다.

        레넌은 자신과 같은 생각을 지닌 사람들이 힘을 합할 때 진정한 의미의 유토피아가 건설된다고 생각했다. 참으로 아름다운, 하지만 부질없는, 결코 이루어질 수 없는 꿈이었다.

        그의 꿈과 이상은 현실과 너무도 달랐다. 비틀스 시절 그는 “우리가 예수보다 더 유명하다.”고 말했다가 큰 곤욕을 치렀다. 음악활동을 지속하기 위해 그는 결국 대중 앞에 무릎을 꿇고 사과했다. 현실에서 그는 결코 신을 이길 수 없었다.

        또한 그는 미국 정부와의 투쟁에서도 무기력감을 느껴야만 했다. 추방되지 않기 위해 그는 자신이 그토록 비난했던 미국의 영주권을 얻으려고 발버둥 칠 수밖에 없는 평범한 인간이었다. 마음속으로는 아나키즘의 세상을 꿈꾸었지만, 현실의 벽을 넘어설 수 없었던, 어쩔 수없이 자본주의 사회의 땅을 밟고 살아야만 했던 필부였을 뿐이다.

        그가 세상을 떠난 지도 벌써 30년 이상의 세월이 흘렀다. 하지만 제도화된 종교의 힘은 아직도 강력하며, 각자 세력을 키우기 위해 전쟁과 대립을 거듭하고 있다. 그리고 소유가 최대의 미덕인 자본주의는 사회주의를 상대로 KO승을 거두었고, 그 위력은 더욱 더 막강해져가고 있다.

        하지만 오늘도 10억이 넘는 사람들이 고픈 배를 움켜쥐고 잠자리에 든다. 과연 그들에게 레넌이 꿈꾸었던 유토피아는 무슨 의미가 있을까. 그리고 그들에게 더 이상 두렵지 않으며 배고프지 않은 세상은 언제나 찾아올 것인가.

        레넌은 아내 요코 오노의 책 < Grapefruit >(1964년)에 실린 'Cloud piece'란 제목의 짧은 시에서 'Imagine'의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그 시는 다음과 같다. “Imagine the clouds dripping. Dig a hole in your garden to put them in.”(흠뻑 젖어 떨어지는 구름을 봐요. 당신의 정원에 구멍을 파고, 거기에 집어넣어요.)

        존이 이 시에서 무슨 영감을 얻었다는 건진 잘 모르겠다.



        Imagine there's no heaven
        It's easy if you try
        No hell below us
        Above us only sky
        Imagine all the people
        Living for today


        천국이 없다고 생각해봐요
        해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아요
        우리 밑에 지옥도 없고
        우리 위에 하늘만 있다고
        모든 사람들이
        오늘만을 생각하며 산다고 생각해봐요


        Imagine there's no countries
        It isn't hard to do
        Nothing to kill or die for
        And no religion too
        Imagine all the people
        Living life in peace


        이 세상에 국가가 하나도 없다고 생각해봐요
        해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아요
        죽일 이유도 죽일 필요도 없고
        종교도 없다고
        모든 사람들이
        평화롭게 산다고 생각해봐요


        You, you may say I'm a dreamer
        But I'm not the only one
        I hope some day you'll join us
        And the world will be as one


        당신은 날 몽상가라 하겠지요
        하지만 나 혼자만이 아니에요
        언젠가 당신도 우리와 함께하길 소망해요
        그러면 이 세상은 하나가 되겠지요


        Imagine no possessions
        I wonder if you can
        No need for greed or hunger
        A brotherhood of man
        Imagine all the people
        Sharing all the world


        소유가 없다고 생각해봐요
        당신은 그럴 수 있나요
        욕심도 필요 없고 배고픔도 없는
        인류애만이 있다고
        모든 사람들이
        모든 걸 나누며 사는 세상을 생각해봐요


        You, you may say I'm a dreamer
        But I'm not the only one
        I hope some day you'll join us
        And the world will be as one


        당신은 날 몽상가라 하겠지요
        하지만 나 혼자만이 아니에요
        언젠가 당신도 우리와 함께하길 소망해요
        그러면 이 세상은 하나가 되겠지요




        레넌은 'no country'와 'no religion', 'no possession' 등 세 가지로 자신이 소망하는 '무정부', '무종교', '반자본주의'의 세상을 설파하고 있다. 그리고 그런 세상이 함께 노력하면 쉽게 얻어질 수 있다(It's easy if you try)고 주장한다. 위 세 단어 종 'possession'(소유)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자.

        레넌이 말하는 'no possession'(무소유)은 소유 자체를 부정하는 게 아니라, 그 어느 누구도 소유에 대한 주장(claim)을 내세우지 않은 채 나누며 살아가는 것을 뜻한다. '소유하다'는 뜻의 동사 'possess'에서 파생한 'possession'은 '법적으로 인정되는 소유'와 '(마약류 등의) 불법적 소유', '소유물'이나 '소지품', '(나라, 혹은 땅 등을) 차지함', 심지어 '(악령 등에) 사로잡힘', '홀림' 등을 뜻하기도 한다. 각기 다른 경우의 예를 들어 보자.
        1. No one can't take possession of the property, until the signing of contract is completed. (계약체결이 완료되기 전까지, 누구도 그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을 갖지 못한다.)
        2. Tony was arrested for heroin possession last night. (어젯밤 토니는 헤로인 소지혐의로 체포됐다.)
        3. The possession of a driver's licence is required for driving. (운전하기 위해선 면허를 소지해야 한다.)
        4. We lost the game because I lost the possession of the ball before the buzzer. (종료 벨 직전 내가 볼을 놓침으로 우리 팀이 패배했다.)
        5. Anyone can be a victim of evil possession. (누구든 악령의 홀림에 빠질 수 있다.)

        'Imagine'은 '...을 상상하다', '마음속으로 그리다' 등을 의미하는 동사다. 그런데 이 노래의 경우처럼 문장 맨 앞의 동사를 쓰일 때는 '...을 좀 생각해보게' 정도의 강한 주장의 의미가 포함된다. 다른 동사들도 문장의 맨 앞에 등장할 때는 '주장'이나 '명령'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밖에 나가 놀아라.”라고 한다면 “Go out and play.”, “신에게 기도해.”라고 하려면 “Pray to God.”이라고 말하면 된다.

        자주 쓰는 말로 “Can you imagine!”이 있다. “진짜야!”, “정말이야!”라고 말할 때 사용하면 된다.

        이 노래에서 천국(heaven)이 없다고 생각하라는 건, 결국 지옥(hell)도 없다는 얘기다. '종교'란 멍에만 걷어내어도 인류가 훨씬 더 행복해질 것이라는 염원이 담긴 말이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천국은 'the Kingdom of Heaven'이라고 하는 게 정확하다. '지상낙원'은 'a heaven on earth'이다.

        'Heaven'이 들어간 표현 중에 'made in heaven'이란 표현이 있다. '하늘이 정한'이란 말이다. 'A match made in heaven'은 '하늘이 정해준 배필', 즉 '천생연분을 뜻한다. 꿈인지 생시인지 모를 정도로 기분 좋은 일이 있을 때 자주 쓰는 표현 하나를 살펴보자. “I feel like I've died and gone to heaven.” (죽어서 하늘나라에 간 기분이다.)

        'Hell'은 거의 모든 면에서 부정적인 뜻으로 쓰인다. “What the he11?”은 “알게 뭐야?”란 의미로 “I don't care.”나 “It doesn't matter.”와 흡사하다. 물음표가 빠지면, 그냥 “에이 씨이...” 정도의 의미로 쓰인다고 보면 된다.

        “What the hell are you doing?”(너 지금 뭐하는 거야?)은 상대방의 행동이 이해가 되지 않거나 맘에 들지 않을 때, “What the hell are you talking about.”(너 지금 뭐라고 지껄이는 거야?)은 상대방의 말이 이해가 되지 않거나 맘에 들지 않을 때 쓴다.

        매우 강하게 부정할 때 “Hell, no!”라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표현을 쓰면 품위나 예의가 없어 보인다. 정말 상대방을 기분 나쁘게 하는 표현으로는 “Go to hell!”(꺼져버려!)이 있다. 이 말을 할 경우 상대방으로부터 주먹이 날아올 수도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소동을 일으키다', 또는 '거의 이성을 잃을 정도 상태로 화를 내거나 항의하다'는 의미로 자주 쓰이는 표현은 'raise hell'이다. 요즘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있는 주폭들의 만행에 대해서도 이 표현을 쓸 수 있다. 예를 하나 들어보자.
        “He raises hell whenever he's drunk.”(술이 취할 때마다 그는 난동을 부린다.)

        마지막으로 무언가를 강조하기 위해 'hell' 앞에 'like'나 'as'를 넣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보면.
        1. My younger brother has been studying like hell to pass the exam. (내 동생은 시험에 붙기 위해 그동안 죽어라 공부했다.)
        2. It's hot as hell today. (오늘 날씨가 매우 덥다.)
      • 2012/09 이무영(antonsong@naver.com)
      • 앨범 리뷰
      • Lennon Legend: The Very Best Of John Lennon 존 레논 IZM 1997
        The John Lennon Collection 존 레논 IZM 1982
        Double Fantasy 존 레논 이기찬 1980 5478
        Rock ‘n’ Roll 존 레논 이기찬 1975 4623
        Walls And Bridges 존 레논 이기찬 1974 4592
        Mind Games 존 레논 이기찬 1973 4433
        Sometime In New York City 존 레논 이기찬 1972 4411
        Imagine   존 레논 윤석진 1971 12484
        Plastic Ono Band   존 레논 임진모 1970 9434
      • 아티클
      • 더 나은 세상을 상상하다: 이매진 존레논 展 존 레논 조해람 4445
        존 레넌 ‘Imagine’ 존 레논 이무영 17861
        [스크랩 3]어디에도 없는 소년, 가득 살고 있는 생의 프롤로그 <노웨어 보이> 존 레논 이가영 10803
        『존 레논 - In His Life』 존 블래니 지음 존 레논 IZM 10029
        존 레논 탄생 70년, 사망 30년 존 레논 임진모 28454
        존 레넌,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가수 5위 존 레논 김獨 18537
        레논의 가사, 고가에 낙찰! 존 레논 김獨 8523
        오노 요코 기자회견 존 레논 임진모 9167
        존 레논의 보금자리 공개! 존 레논 김소연 8792
        비틀스와 롤링 스톤스의 만남? 존 레논 윤석진 10348
        존과 요코의 노래 존 레논 임진모 8323
        죽음과 함께 사라진 전설의 록가수들 ‘부활’ 존 레논 임진모 9321
        도난 당한 존 레논과 오노 요코의 누드사진 존 레논 임진모 11387
      • 관련 앨범 리뷰
      • On Air - Live At The BBC Volume 2   비틀스 임진모 2013 10713
        Love 비틀스 임진모 2006 12974
        Let It Be.... Naked 비틀스 임진모 2003 12632
        The Beatles One 비틀스 임진모 2000 13151
        The Beatles/1962-1966   비틀스 임진모 1973 13684
        Let It Be 비틀스 이기찬 1970 9595
        Abbey Road   비틀스 임진모 1969 14911
        Yellow Submarine 비틀스 IZM 1969
        The Beatles [White Album]   비틀스 임진모 1968 15930
        Magical Mystery Tour 비틀스 IZM 1967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비틀스 임진모 1966 19695
        Revolver 비틀스 IZM 1966
        Rubber Soul   비틀스 임진모 1965 13641
        Help! 비틀스 IZM 1965
        A Hard Day’s Night 비틀스 IZM 1964
        Please Please Me   비틀스 임진모 1963 13085
        With The Beatles 비틀스 IZM 1963
      • 최근 업데이트
      • Album
        에피톤 프로젝트
        기착寄着
        • [Album] We
        • [Feature] 아치의 노래, 정태춘
        • [Single] Falling from the sky
        • [Single] Cash in cash out (Feat. 21 새비지,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
        • [Single] 고백하는 취한밤에
        • [Single] Yet to come
        • [Album] Joy
        • [Feature] 사운드 오브 뮤직(The Sound Of Music, 1965)
        • [Album] 기착寄着
        • [Single] Lost
        • [Single] Dream like me
        • [Single] 가지마(Stay) (Feat. 트웰브)
        • [Single] Blur
        • [Feature] 고통의 전쟁, 사랑의 전쟁가요!
        • [Album] Im Hero
      • 인기 콘텐츠
      • "당신을 위한 프로그레시브 록 입문곡 10선"

        "차트 역주행 특집 VOL 3. IZM 필자들이 뽑은 '역주행 되기를 바라는 곡'"

        "아이돌 역사를 빛낸 노랫말 명작 1부"

        "EDM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1)"

        "뉴트로 특집 VOL.2 : 12곡으로 살펴본 뉴트로"






      • Editors' Choice
      • Ego
        피에르 블랑쉐
        시대에 의한, DJ를 위한, 리스너를 향한 고차원적 멜로딕 테크노.
      • 팟 캐스트더보기
        • [요즘 음악] 1회 ‘걸크러쉬’ 콘셉트, 그 맥락의 변화와 눈 여겨볼 노래 3곡 By 정수민 필자
        • [뮤직 클라우드] EP. 3 : 내 인생의 음악 with 장준환 편집장
        • [뮤직 클라우드] EP. 2 : 내 인생의 음악 with 임동엽 필자
        • [뮤직 클라우드] EP. 1 : 내 인생의 음악 with 염동교 필자
        • [뮤직 클라우드] EP. 0 : 프롤로그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