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싸이의 이야기를 향해 범지구적으로 급증한 관심은 자연스레 인물탐구로 초점이 맞춰졌다. 연예 주간지 <피플>부터 음악 잡지 <롤링스톤>까지 여러 해외 매체들은 갑작스레 방문한 그를 심층탐구하며 궁금증을 해소한다. '강남스타일'의 한국어 가사와 인터뷰에서 당당히 뱉어내는 한국어를 듣는 타국인들 입장에선 이해관계를 위해 먼저 그를 아는 것이 당연하다.
|
그는 대중친화적인 타이틀곡 선택과 예능 프로그램 출현으로 폭넓은 공유의 장을 만들고 공연장과 앨범의 으슥한 곳에 숨겨둔 음악들로 진정한 본색을 표출한다. 바로 본성과 대중의 요구를 절충한 그만의 합일점인 것이다. 이 같은 변화양상과 더불어 아무런 이해와 정보 없이 코믹한 말춤에 매료되어 그를 찾는 유튜브 뷰어들을 생각해 본다면 우리가 가져야 할 의문은 바로 이런 것이다. '왜 지금까지 성공하지 못한 것이 이번엔 가능했을까?'
우선 '강남스타일'은 음악적으로 팝 음악계의 트렌드를 답습하고 있다. 그의 음악에 고스란히 녹아든 LMFAO의 'Party rock anthem' 골격과 클럽에서 모두 쉽게 출 수 있는 셔플의 단순한 댄스 강조가 이를 증명해준다. 여기에 2012년 미국 음악시장의 상반기를 중장기간, 점조직적으로 점령한 고티에('Somebody that I used to know'), 칼리 래 젭슨('Call me maybe') 등의 음악에 댄서블함이 부재했다는 사실도 그에게 유리하게 작용되었다. 말 춤이 셔플의 흥겨운 바운스를 연장시키며 여전히 춤추기를 원한 사람들에게 만족감을 준 것이다.
|
그러나 몇 년 전부터 탄탄히 구축된 마니아성의 K-Pop 팬들에게도 싸이의 음악은 충격적이었다. 그동안 상품적으로 잘 꾸며진 아이돌만을 보던 그들에게 싸이의 존재는 신선함으로 작용되었기 때문이다. 바로 이것이 '강남스타일'의 최대 키포인트이다. 싸이는 애초부터 자신을 수출용으로 상품화하려는 의도를 담지 않았다.
그의 음악은 '소녀시대', '원더걸스'로 대표되는 K-Pop 둘레 안에 소속되지 않았으며 판매자의 상술 또한 개입이 없었다. 두 번의 브릿팝의 침공으로 만들어진 미국의 예민함은 이 부분에서 허물어졌다. 멋져 보이려는 허욕 대신 무표정한 얼굴과 유쾌한 춤사위가 만든 우스꽝스러운 모습이 마니아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한 비결인 것이다.
|
'강남스타일'의 성공요인엔 싸이의 개성과 음악성도 분명 작용했지만 절묘한 타이밍도 크게 존재한다. 하지만 우연은 아니다. 과정의 인과관계를 하나씩 곱씹어 볼수록 이는 필연이라는 확답을 내릴 수 있다. 그렇게 사실상의 개척자 위상에 오른 그의 발자취는 하나의 해답본이 되어 K-Pop 전략의 전환을 야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