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정민재의 Top Artist : Hot&Cool · 김반야의 Yes, I`m A Witch · 이택용의 What`s Going On?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Feature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록의 완성자 레드 제플린
      • DATE : 2012/12   |   HIT : 28065
      • by 임진모
      • 록 하면 떠오르는 전설의 인물은 누구인가. 비틀스가 있고, 롤링 스톤스가 있고, 핑크 플로이드도 있지만 록의 헤비 파워를 과시했고 예술적 금자탑을 이룩한 밴드라면 많은 팬들은 압도적으로 레드 제플린(Led Zeppelin)을 손꼽는다. 전설적인 DJ 전영혁씨는 지금도 널리 회자되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록은 비틀스로 시작해서 레드 제플린으로 완성된다!”

        이유도 만천하가 안다. 무엇보다 네 멤버 로버트 플랜트(보컬), 지미 페이지(기타), 존 폴 존스(베이스, 건반), 존 보냄(드럼)의 출중한 실력 때문이다. 과거 밴드 '송골매'를 이끈 라디오 DJ 배철수는 레드 제플린을 가리켜 “그룹 네 멤버의 역량이 워낙 뛰어나 뒤에 나온 전 세계 음악인들이 연주력을 쌓는데 결정적이었던 밴드”라고 설명한다. “우리 송골매도 레드 제플린의 완벽한 연주와 노래를 듣고 그들처럼 세련된 음악을 하겠다는 꿈을 키웠다!”

        아닌 게 아니라 당대든 후대든 밴드의 기타리스트들은 지미 페이지를 자신들의 스승으로 삼았고, 보컬은 무조건 로버트 플랜트처럼 불러야 했다. 베이스 연주자들은 존 폴 존스 되기를 꿈꾸었고, 드럼 스틱을 잡은 사람들은 존 보냄처럼 중량감 넘친 연주를 절절히 원했다. 기타 베이스 드럼 노래 모두 그들로부터 가르침을 받은 것이다. 각 파트의 연주자 넷 모두가 '록 연주의 길잡이', 이를테면 후대 음악가들에게 '역할 모델'이 된 셈이다.

        국내 헤비메탈의 시작으로 평가받는 그룹 '시나위'에서 노래하다가 나중 국내 최고 인기가수가 된 김종서는 레드 제플린을 '나를 음악으로 인도한 뮤지션'으로 규정한다. 현재도 '시나위'를 이끌고 있으며 서바이벌 프로그램 '탑밴드'의 심사위원인 신대철은 “명곡 'Stairway to heaven'으로 레드 제플린은 하드록 음악계의 비틀스와 같은 존재임을 증명했다”고 찬사를 보낸다.

        따라가려고 해도 수많은 록 지망생들은 역부족, 재능결핍을 절감했다. 재미와 겉멋은 곧 포기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얼마 전 멤버인 로버트 플랜트의 실토로도 이 점을 넌지시 확인할 수 있다. “레드 제플린의 일원이 된다는 건 하룻밤의 파티에 참여하는 정도의 종류가 아닙니다. 재킷이나 걸치듯이 하는 그런 게 아니란 말입니다. 레드 제플린은 진정으로 헌신하고 깊게 빠져들어야 하는 곳이었지요!” 멤버들에게는 헌신과 몰입이었을지 몰라도 지망생들한테는 그에 앞서 천부적 재능과 기량으로 인식되었을 것이다.

        한번 'Stairway to heaven'을 들어보자. 마치 짧은 교향곡을 연상시키는 이 곡에서 네 멤버들은 노래 최고에다 기타 잘 치고 베이스 안정되고 드럼이 클라이맥스에서 불을 뿜는 천재적 역량을 발휘한다. 한번 들어도 잊지 못하고 아무리 오래 들어도 물리지 않는, 감동의 아리아가 따로 없다. 수년전 드라마 <천국의 계단>은 이 곡에서 제목을 따왔고 결국은 이 곡의 연주를 배경음악으로 사용하기까지 했다.

        그들의 음악은 언제나 정점이었다. 20세기 록의 명작으로 남아있는 이 곡 하나로도 입증되지만 록 팬들은 'Babe, I'm gonna leave you', 'Whole lotta love', 'Immigrant song', 'Since I've been loving you', 'Rock and roll', 'Black dog', 'Over the hills and far away', 'Trampled under foot', 'Kashmir', 'In the evening', 'I'm gonna crawl' 등의 레드 제플린 골든 레퍼토리를 테이프가 닳도록, LP가 지글지글 소리가 날 정도로 반복해서 듣곤 했다.

        단지 그들의 연주가 중량감 있고 세련된 것을 넘어 빼어난 리듬감 그리고 특히 멜로디를 놓치지 않았기 때문에 비록 록 팬이 아니더라도 그들의 음악에 홀리고 만다. 한마디로 귀에 잘 들어온다. 심지어 지난 1974년 당시 제럴드 포드 미국대통령의 어린 두 딸은 TV <딕 카벳 쇼>에 출연해 “가장 좋아하는 가수는 레드 제플린”이라고 말해 떠들썩한 화제를 낳았다. 백악관에서도 레드 제플린의 헤비메탈이 울려 퍼진 셈이다.

        금속성의 강렬한 사운드를 말하는 이른바 헤비메탈은 레드 제플린이 그 사운드를 결정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하여 그들은 '헤비메탈의 형식미를 완성한 그룹'으로 평가받으며 그들이 활동당시 내놓은 9장의 앨범은 모조리 '헤비메탈의 교과서'로 남아 있다. 사실 지금도 강한 소리를 추구하는 젊은 밴드들은 잘하든 못하든 레드 제플린의 명곡들을 마치 당연한 통과의례인양 연주하고 노래한다.

        너무나 음악을 잘했기에, 음악지망생들이라면 무조건 그들을 챙겨야 했기에 그들의 앨범은 팔릴 수밖에 없었다. '역사상 가장 많은 앨범을 판 가수'는 대중음악에 문외한인 사람들도 아는 것처럼 비틀스와 엘비스 프레슬리다. 미국 음반협회(RIAA)는 2006년에 미국 내 판매량을 기준으로 비틀스가 1억6850만장으로 1위, 엘비스 프레슬리가 1억1650만장으로 2위라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럼 두 영웅 다음의 3번 타자는 누구인가. 이것은 예측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놀랍게도 그 주인공은 영국의 레드 제플린이었고 그들의 음반 총 판매고는 자그마치 1억750만장으로 집계되었다. 2위 엘비스와 별 차이가 나지 않는 어마어마한 수치의 기록. 그 유명한 밴드들인 이글스, 핑크 플로이드, 퀸, 아바, 롤링 스톤스 그리고 엘튼 존, 빌리 조엘, 마돈나가 모두 레드 제플린 앞에 무릎을 꿇는다. 이들의 누적 판매고는 9천만 장에도 못 미쳤다. 레드 제플린은 'Stairway to heaven'이 수록된 앨범 <Ⅳ>(원래 제목이 없으나 네 번째 앨범이라서 4집으로 불린다) 하나가 2200만장이라는 가공할 판매그래프를 그려냈다.

        헤비메탈로 등식화되고 있지만 레드 제플린은 결코 그런 스타일로만 일관하지 않는다. 이 대목이 중요하다. 블루스 냄새가 지배하는 가운데 'Going to California' 같은 포크, 'Kashmir'와 같은 인도 풍 음악도 있고 , 'Battle of evermore'는 컨트리 터치가 드러나고 'D'yer mak'er' 같은 곡은 의외로 레게음악이다. 장르를 가리지 않고 왕성한 식욕(?)을 보였다고 할까. 골수팬들은 그래서 “레드 제플린을 결코 헤비메탈 밴드가 아니다. 그들은 록의 모든 것을 다 표현해낸 그룹이다”라고 주장한다. 레드 제플린의 팬이 많고 지금도 세력이 막강한 것은 이러한 다양성도 큰 몫을 한다.

        얼마 전 레드 제플린은 모처럼 실황 앨범 < Celebration Day >를 출시했다. 1980년 해체됐다가 2007년 영국 런던에서 극적으로 잠시 재결합하면서 펼친 라이브 콘서트를 뒤늦게 음반으로 낸 것이다. 공연은 본인들이 소속되었던 애틀랜틱 레코드의 설립자로 2006년 사망한 아흐메트 어테군(Ahmet Ertegun)에 대한 헌정의 무대였다. 드럼은 1995년의 '명예의 전당'에 헌액될 때처럼 고 존 보냄의 아들 제이슨 보냄이 연주했다. 5년이 흘러서야 앨범을 낸 것에 대해 로버트 플랜트는 “공연 후 2년쯤이 지나 실황 영상을 봤는데 살짝 보고 도망갔다. 화려했던 과거보다 더 잘해야 한다는 책임감 때문에 부담이 많이 됐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레드 제플린에 대한 레드 제플린 멤버들의 헌신, 퀄리티와 완성도 제고를 향한 숭고한 자세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이것이야말로 뮤지션의 기본이다.

        또 하나 이게 있다. 레드 제플린은 1980년 드러머 존 보냄이 만성 알코올중독으로 사망하자 미련 없이 그룹을 해산했다. 1968년에 '뉴 야드버즈'라는 이름으로 시작한지 12년만의 일이었다. “우리의 귀중한 친구를 잃었고, 우리 스스로가 분리될 수 없는 사이를 절감하기에 우리는 현재 상태를 계속할 수 없다는 결정을 내렸다”면서. 존 보냄 없는 레드 제플린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앨범만 냈다하면 수천만장이 팔리는 인기 절정의 상황을 의식했다면 솔직히 드러머를 바꿔서라도 팀은 유지하고 싶은 마음이 한 구석에 있었을지 모른다.

        레코드회사도 그걸 원했을 게 틀림없고 또 딴 밴드들은 다들 그렇게 했다. 하지만 레드 제플린은 친구에 대한 우정을 끝끝내 지켰다. 상기한 것처럼 재결합 때마다 드럼 스틱은 제이슨 보냄이 잡지 않았던가. 록 팬들은 그들이 보여준 의리, 끈끈한 정 때문에도 레드 제플린에 목을 맨다. '한번 레드 제플린 팬은 영원한 레드 제플린 팬'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언젠가 로버트 플랜트는 이렇게 자랑했다. “우리는 결코 1등이 아니다. 하지만 어떤 2등 밴드보다 우리가 낫다!” 결국 자신들이 최고라는 이야기. 이 말을 하지만 허풍이라고 여기는 록 팬들은 거의 없다. 비틀스가 있지만 1970년대로 범주를 정한다면 부동의 1위는 레드 제플린이라고 굳게 믿는다.

        아마도 이렇게 결론내리는 게 합당할지 모르겠다. '그들은 비틀스가 꽃피운 록을 더 강하게 정교하게 세련되게 다듬었다!'고. 실제로 로큰롤 명예전당은 “그 이전 시대에 비틀스가 그렇듯 레드 제플린은 1970년대에 가장 영향력 있는 밴드”라고 기록하고 있다. 록의 완성형이기에 그들의 앨범은 해산한지 30년이 넘었어도 신세대의 손에 쥐어지며 다수대중의 청각을 사로잡는다. 레드 제플린이라는 밴드를 가진 것은 음악역사의, 그리고 실로 우리 뮤직라이프의 선물이다.
      • 2012/12 임진모(jjinmoo@izm.co.kr)
      • 앨범 리뷰
      • Celebration Days 레드 제플린 신현태 2012 5382
        Mothership- The Very Best Of Led Zeppelin 레드 제플린 임진모 2007 7381
        How The West Was Won 레드 제플린 김두완 2003 6517
        Latter Days: The Best Of Led Zeppelin, Vol. 2 레드 제플린 IZM 2000
        Early Days: The Best Of Led Zeppelin, Vol. 1 레드 제플린 IZM 1999
        BBC Sessions(Live) 레드 제플린 IZM 1997
        Coda 레드 제플린 한유선 1982 5709
        In Through The Out Door 레드 제플린 한유선 1979 7322
        The Song Remains The Same(Live) 레드 제플린 한유선 1976 5365
        Presence 레드 제플린 한유선 1976 5529
        Physical Graffiti 레드 제플린 한유선 1975 6300
        Houses Of The Holy 레드 제플린 한유선 1973 5821
        Led Zeppelin IV   레드 제플린 임진모 1971 7122
        Led Zeppelin IV 레드 제플린 한유선 1971 6360
        Led Zeppelin III 레드 제플린 한유선 1970 5858
        Led Zeppelin II 레드 제플린 한유선 1969 6387
        Led Zeppelin 레드 제플린 한유선 1969 6493
      • 아티클
      • 레드 제플린(Led Zeppelin) 리마스터링 청음회 레드 제플린 김도헌 4688
        레드 제플린 ‘Stairway to heaven’ 레드 제플린 이무영 30532
        록의 완성자 레드 제플린 레드 제플린 임진모 28065
        부활하는 레드 제플린의 전설 레드 제플린 임진모 6607
        레드 제플린 레드 제플린 한유선 4991
        Led Zeppelin 연대기 17 : 그리고 9월 25일 목요일, 레드 제플린 한유선 4974
        Led Zeppelin 연대기 16 : 1980년 레드 제플린 한유선 4241
        Led Zeppelin 연대기 15 : In Through The Out Door era(1979) 레드 제플린 한유선 4373
        Led Zeppelin 연대기 14 : Sessions(1978년) 레드 제플린 한유선 4217
        Led Zeppelin 연대기 13 : 투어의 절정 & 밴드의 해산설(1977년) 레드 제플린 한유선 4434
        Led Zeppelin 연대기 12 : Presence & The Song Remains The Same era 레드 제플린 한유선 4411
        Led Zeppelin 연대기 11 : 1975년 레드 제플린 한유선 4099
        Led Zeppelin 연대기 10 : Physical Graffiti era(1974년) 레드 제플린 한유선 4765
        Led Zeppelin 연대기 9 : House Of The Holy era(1973년) 레드 제플린 한유선 4780
        Led Zeppelin 연대기 8 : Led Zeppelin Ⅳ era(1972년) 레드 제플린 한유선 4490
        Led Zeppelin 연대기 7 : Led Zeppelin Ⅲ era(1971년) 레드 제플린 한유선 4311
        Led Zeppelin 연대기 6 : Led Zeppelin Ⅱ era(1970년) 레드 제플린 한유선 4450
        Led Zeppelin 연대기 5 : Led Zeppelin era(1969년) 레드 제플린 한유선 4511
        Led Zeppelin 연대기 4 : 납으로 된 비행선? 그 화려한 이륙 레드 제플린 한유선 4495
        Led Zeppelin 연대기 3 : 새로운 Yardbirds에서 Led Zeppelin으로 레드 제플린 한유선 4487
        Led Zeppelin 연대기 2 : 세션에서 야드버즈로... 레드 제플린 한유선 4711
        Led Zeppelin 연대기 1 : 탄생! 레드 제플린 한유선 5177
        90년대 팬에게 80년대 로커가 들려주는 70년대 록 레드 제플린 임진모 5837
      • 관련 앨범 리뷰
      • Birdland 야드버즈 배순탁 2003 4732
        Coverdale·Page 지미 페이지 안재필 1993 4833
        Little Games 야드버즈 IZM 1968
        Blow-Up 야드버즈 IZM 1967
        Roger the Engineer 야드버즈 IZM 1966
        For Your Love 야드버즈 IZM 1965
        Having a Rave-Up with the Yardbirds 야드버즈 IZM 1965
        Five Live Yardbirds 야드버즈 IZM 1964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씨엘씨
        No
        • [Album] THIRSTY
        • [Album] 살아숨셔 2
        • [Album] 마더바이브
        • [Album] WANT
        • [Feature] 아이돌인 당신, 행복하십니까. - 아라시의 활동중단으로 살펴본, 아이돌이라는 역할극의 이면
        • [News] [이즘IZM-빅퍼즐 뮤직 아카데미] ‘10주’로 풀어낸 팝의 모든 것, 시즌 2
        • [Feature] 제 61회 그래미 시상식 결산편
        • [Single] 2cm (Feat. 폴킴)
        • [Single] Special
        • [Single] No
        • [Feature] 댄스 영화 특집 - 우리가 사랑한 댄스 영화 11선
        • [Interview] 박창근 인터뷰
        • [Feature] 신화창조의 뮤지컬 <라이언 킹>
        • [Album] Assume Form
        • [Album] Weezer (Teal Album)
      • 인기 콘텐츠
      • "2018 올해의 제이팝 싱글"

        "제 61회 그래미 시상식 노미네이트 편"

        "2018 올해의 제이팝 앨범"

        "1990년대를 장식한 세기말 가요 뮤직비디오"

        "제 61회 그래미 시상식 결산편"






      • Editors' Choice
      • November
        썰
        [정유나] TDE 군단 켄드릭 라마, 스쿨보이 큐, 시저에 이어 주목되는 알앤비 가수
      • 팟 캐스트더보기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8회 2부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정민재의 Top Artist : Hot&Cool · 김반야의 Yes, I`m A Witch · 이택용의 What`s Going On?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