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정민재의 Top Artist : Hot&Cool · 이택용의 What`s Going On?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Library    명반
      • 시대를 빛낸 명반
        Ghost In The Machine
        1981
        폴리스(Police, The)
      • DATE : 2014/06   |   HIT : 2961
      • by 이수호
      • < Zenyatta Mondatta >가 예언했던 대로 폴리스의 사운드는 새 국면을 맞는다. 펑크가 뉴웨이브로 건너가던 한복판에 이들의 전반전이 위치했다면, 후반전은 뉴웨이브가 더 너른 사운드로 영역을 넓히는 과정 위에 자리했다. 대략 두 가지의 큰 사운드 형식이 음반을 관통한다. 뉴웨이브라는 어휘로도 통용되던 1980년 전후의 신스 팝과 혼(horn) 섹션이 크게 들어간 펑크 펑크(punk funk)가 그 주인공. 앨범에서 카스와 토킹 헤즈가 동시에 보이는 것도 괜한 기분 탓만은 아닐 테다. 상술한 밴드의 행보와 음악의 특성, 연관하는 밴드가 그렇듯 작품은 실험성 짙은 색채를 띠고 있다. 눈에 띄는 변화로는 먼저 건반 악기가 사운드 구성의 상층부에 올라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겠다. 기타와 베이스, 드럼으로 대부분의 질량을 채우던 이전의 편곡 방식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 지점이다. 더 넓힌 키보드의 활용 범위야 전작에서 예상했다 쳐도, 그 다음으로 언급할 혼 사운드의 두터운 사용은 어쩌면 의외로 다가올 수도 있다. 이번 음반에서 유독 펑크(funk)와 재즈의 색감이 짙게 묻어나는 것도 여기서 기인한다.

        이와 함께 비중 있게 주목해야할 또 하나의 요소는 앤디 서머스의 역할 전환이다. 주도해서 사운드를 이끌었던 초기와 달리 이번 작품에서 보이는 이 기타리스트의 연주는 건반 악기와 혼 섹션을 뒷받침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신스 팝 성향의 곡들에서는 돋보이지 않는 위치에서 사운드를 노출하는 절제미를 선사하며, 펑크(funk) 넘버들에서는 탁월하게 리듬 파트를 쌓아올리는 움직임을 보여준다. 앤디 서머스의 진가는 거의 모든 곡에서 드러난다. 개별 곡 단위에서의 연관 설명은 사족에 가깝다. 한편으로 스팅의 송라이팅과 스튜어트 코플랜드가 이끄는 리듬 연주는 전환기 속에서도 제 색깔을 잊지 않게끔 하는 역할을 한다. 그 기운이 상당수 옅어졌음에도 전반기에 보여준 레게 록의 형상은 곳곳에서 살아있다. 전자 음악을 향해 발을 뻗어가는 'Spirits in the material world'와 'Every little thing she does is magic'은 골자의 일부를 자신들의 초기 모델에 두고 있다. 훌륭한 혼합이다.

        허나, 할 말은 역시 'Invisible'이나 'Secret journey'와 같은 곡에서 더 많아진다. 호흡을 길게 가져가는 키보드 라인과 곳곳에 삽입된 신디사이저 사운드야 말로 실험 그 자체다. 폴리스의 새로운 장이 확실히 열린다. 'Spirits in the material world'의 인트로를 장식하는 전자음 역시 마찬가지다. 공격성 짙은 신스 팝 'Omegaman'과 작품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Darkness'도 동일한 맥락 위에 있다. 동시에, 혼 섹션이 결합한 펑크(funk) 사운드에서도 밴드는 상당한 소구를 자랑한다. 리듬감으로 흡인력을 뽑아내는 'Hungry for you'를 시작으로 저편에서 앤디 서머스의 기타가 끊임없이 울리는 'Demolition man', 색소폰에 시선을 집중시킨 'Too much information'이 연달아 재미를 끌어올린다. 레게 리듬을 더한 'Rehumanize yourself'와 'One world' 또한 같은 연장선상의 결과물로 봐야겠다. 음반을 가로지르는 신스 팝과 펑크(funk), 이 두 사운드는 폴리스의 경계선을 크게 넓힌다.

        앨범은 1980년대의 뉴웨이브 사운드를 그대로 담고 있다. 혹여 지금 1980년대의 팝 음악을 갈무리하고 있다면 이 작품을 반드시 대열에 합류시키시라. 당시를 깔끔히 정의할 음반 중 하나이니 말이다. 그만큼 < Ghost In The Machine >에는 당대의 흐름이 잘 녹아 있다. 앨범이 가진 의미다. 조금만 더 생각을 이어나가보자. 시대의 시금석처럼 작품이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은 밴드가 그 시대에 얼마나 발을 잘 맞추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 Ghost In The Machine >는 1980년대를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에 대한 스스로의 답변이다. 새로운 방식에 대한 수용 범위도 늘였고 실험 강도도 높였다. 변화하는 시대상을 훌륭히 담아냈다. 이것이 앨범이 가진 그 다음의 의미다.

        -수록곡-
        1. Spirits in the material world
        2. Every little thing she does is magic
        3. Invisible sun
        4. Hungry for you (J'aurais toujors faim de toi)
        5. Demolition man
        6. Too much information
        7. Rehumanize yourself
        8. One world (Not there)
        9. Omegaman
        10. Secret journey
        11. Darkness
      • 2014/06 이수호 (howard19@naver.com)
      • 앨범 리뷰
      • Live 폴리스 IZM 1985
        Synchronicity 폴리스 IZM 1983
        Ghost In The Machine   폴리스 이수호 1981 4569
        Zenyatta Mondatta   폴리스 이수호 1980 3959
        Reggatta De Blanc   폴리스 이수호 1979 3680
        Outlando d’Amour   폴리스 이수호 1978 3553
      • 아티클
      • 더 폴리스 ‘Every breath you take’ 폴리스 이무영 15229
      • 관련 앨범 리뷰
      • 57TH & 9TH 스팅 이수호 2016 2050
        Symphonicities 스팅 임진모 2010 7670
        If On A Winter’s Night... 스팅 임진모 2009 7569
        Sacred Love 스팅 김獨 2003 5817
        Brand New Day 스팅 김獨 1999 5492
        Mercury Falling 스팅 김獨 1996 5436
        Ten Summoner’s Tales 스팅 IZM 1993
        The Soul Cages 스팅 김獨 1991 5578
        Live in Newcastle 스팅 IZM 1991
        Peter and the Wolf 스팅 IZM 1991
        Nada Como el Sol ... 스팅 IZM 1988
        Nothing Like the Sun   스팅 임진모 1987 6368
        Bring on the Night 스팅 IZM 1986
        The Dream of the Blue Turtles 스팅 김獨 1985 5854
        Brimstone & Treacle - O.S.T 스팅 IZM 1982
      • 관련 싱글 리뷰
      • I can’t stop thinking about you 스팅 신현태 2016 2314
        Practical arrangement 스팅 윤은지 2013 4624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강다니엘
        Touchin’
        • [Single] 날 보러 와요 (Come see me)
        • [Single] 맵고짜고단거 (Feat. 페노메코)
        • [Single] Touchin’
        • [Interview] 블랙홀 인터뷰
        • [Single] Hip
        • [Single] 별의 노래 (Feat. 유진박)
        • [Single] 이 번호로 전화해줘
        • [Single] 늦은 밤 너의 집 앞 골목길에서
        • [Album] Magdalene
        • [Album] Departure
        • [Album] Seiren
        • [Feature] '지상 최대의 콘서트’ 유투 내한 지침서 15곡
        • [Interview] 이상은 인터뷰
        • [Album] Purpose
        • [Single] 5월의 밤





      • Editors' Choice
      • Happiness Begins
        조나스 브라더스
        [정효범] 각자의 길을 걷던 2000년대 소년들이 2019년의 팝을 장착하다.
      • 팟 캐스트더보기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8회 2부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정민재의 Top Artist : Hot&Cool · 이택용의 What`s Going On?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