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Feature    Live!
      • 폴 매카트니 내한공연 “신의 공연을 보았다!”
      • DATE : 2015/05   |   HIT : 16788
      • by 임진모

      • 해외 팝스타 내한공연 사상 어쩌면 가장 관객의 만족지수가 높았다고 해도 조금의 과언이 아닌 초특급 무대였다. 공연 시작부터 끝까지 객석의 합창, 함성, 찬사, 감탄 그리고 감격의 눈물이 내내 계속되었다. 관객의 폭발적 호응을 이끌어낸 으뜸요소는 말할 것도 없이 질적으로 뛰어나고 성심을 다한 폴 매카트니의 노래와 밴드의 연주였다. 2013년 11월에 있던 일본공연을 본 이즘 필자 신현태는 “일본 때보다 더 좋았다”고 했다.

        사실 관객들은 역사상 가장 성공한 가수인 폴 매카트니의 이름만으로도 충성을 예약한 상태였지만 대중을 신봉하는 위대한 아티스트가 보여준 겸손과 '성심성의'에 홀렸다. 한국 팬의 성향에 대한 배려도 없이, 딴 나라 공연과 하나도 다를 것 없이, 멘트도 없이 건조하게 하는 여느 팝스타 공연과는 달랐다. 딴 팝가수처럼 '감사합니다!' 같은 말 한마디 정도 챙기는 수준을 넘어서 '대박!', '고마워요!', '같이해요!', '다시 만나요!' 같은 여러 우리말을 미리 준비했다.

        방문국가의 공연 관련 정보를 나름 섬세하게 챙겼다는 사실 자체에 우리 관객들은 행복해 했다. 이번 공연의 하이라이트였던 'Hey Jude'의 나나나 합창 대목에서는, 이제는 서구 아티스트들에게 제법 알려진 그 유명한 '떼창'을 전해 들었는지 마룬 파이브가 내한공연에서 했듯 우리말로 '남자만', '여자만' 그리고 '다같이'라고 유도하며 객석의 흥을 절정으로 끌고 갔다.


        폴 매카트니는 곡 후반부에 그라운드 관객 전부가 '러브'와 '나나'가 새겨진 네모종이를 들며 합창하는 그 일체감에 깜짝 놀란 표정을 지었다. 잠실벌이 떠나갈 듯 떼창이 이어지자 '너무 소리가 커 귀가 먹었다'는 제스처를 취하기도 했다. 이 떼창 때문에 'Hey Jude'는 앙코르를 받아 두 차례 무대와 객석에 울려 퍼졌다. 아시아의 마지막 순서(leg)인 한국공연에서 “팬들이 최고로 환영을 해주었다(The Best Welcome Ever)”고 그가 SNS에 올린 글은 분명 예의 수준이 아니었다.

        70대 고령(1942년생)에도 불구하고 잇달아 귀여운 제스처를 선보여 공연에 온 손님들을 미소 짓게 한 것도 특기할 사항. 옆 자리에 앉은 젊은 여성들은 “노인 치고 귀여운 사람 처음 본다!”, “정말 사람 좋아 보인다!”며 “아저씨 최고!!”를 연발했다. 비틀스 시절부터 별명이 왜 매력남(The Charmer)이었는지 그 이유를 알만했다. (비틀스 때 존 레논은 냉소남 The Cynic, 조지 해리슨은 생각남 The Thinker, 링고 스타는 코믹남 The Comic 으로 통했다)

        단연 돋보였던 관객서비스 가운데 압권은 말할 필요도 없이 음악서비스였다. 참으로 레퍼토리가 풍부했다. 비틀스 명곡들인 'Eight days a week', 'Can't buy me love', 'I've just seen a face', 'Eleanor Rigby', 'Back in the USSR', 'Obladi oblada', 'Let it be' 그리고 포스트 비틀즈 작품 'Live and let die', 'Hi hi hi', 'Jet', 'Band on the run' 등 우리 팬들이 듣고 싶어 했던 곡들이 모조리 다 나왔다. 앙코르 포함해서 무려 39곡이나 되었다. 관객들은 “정말 노래 많이 한다!”며 기뻐했다. 지난해 건강문제로 공연이 취소되어 꼬박 1년을 참은 그들은 기다린 보람을 만끽했다.

        음악서비스는 감동이 넘쳐났다. “폴 매카트니만 온 게 아니라 비틀스도 왔다”는 표현 그대로였다. 사람들은 충분히 폴 매카트니의 솔로 시절 명곡을 들었고 동시에 '못 볼 것 같았던' 비틀스의 무대를 기적처럼 눈앞에서 목격했다. 존 레논과 함께 비틀스의 리더격 존재인 폴 매카트니가 불러주는 비틀스 넘버들을 라이브로 '내 생애에' 듣는다는 것에 관객들은 가슴이 뭉클해지고 눈시울이 뜨거워질 수밖에 없었다. 기성세대 관객들이 눈물을 훔치는 모습은 폴 매카트니 공연에서 흔히 목격되는 광경이다.


        그는 관객들이 비틀스 시절의 곡을 더 원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심지어 자신이 노래하지 않고 동료 존 레논이 명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에서 부른 'Being for the benefit of Mr Kite!'(2013년 공연에 추가된 레퍼토리)와 우크렐레를 연주하며 조지 해리슨의 명작 'Something'도 불렀다. 이 곡을 부르고나서는 “이렇게 훌륭한 곡을 만들어준 조지에게 감사한다!”고 말했다. 비틀스 때 존 레논과 절반을 나눠 불렀던 곡 'We can work it out'를 폴의 목소리로 다 듣는 것 또한 각별했다.

        비틀스를 사랑하는 사람들을 만족시켜주려는, 관객을 위한 엔터테이너로서의, 인간으로서의 봉사가 아닐 수 없다. 전처인 린다 매카트니를 위한 노래 'Maybe I'm amazed'를 부르고, 존 레논에게 바치는 'Here today'를 노래하고 그리고 조지 해리슨을 위해 'Something'을 부른 것도 자신과 함께 음악 생(生)을 같이 했던 고인들을 진심으로 추모하는 그의 인간미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놀라운 곡 소화력을 보여준 것이 이날 공연의 음악적 하이라이트. 과연 역사의 거장, 음악의 타이탄이었다. 공연은 폴 매카트니가 송라이터로서뿐 아니라 싱어로서도 사상 최고임을 증명했다. 나이를 감안해 조금 '낮춰' 불러도 이해할 관객들이었지만 그는 오리지널의 높이를 그대로 재현하는 경이적인 에너지와 관록의 가창을 과시했다.

        밴드와 록의 DNA 그리고 타고난 목청이 아니면 실로 어려운 경지였다. “마치 음반을 듣는 것 같다”며 혀를 내두른 관객이 있는가 하면 “신(神)의 공연을 본 느낌”이라는 사람도 있었다. 특히 1973년 윙스 곡 'Nineteen hundred and eighty five'를 노래할 때의 그루브와 파워는 믿기지 않을 정도였고 폴 매카트니의 솔로 명곡으로 평가받는 'Maybe I'm amazed'는 젊디젊었던 1970년 첫 솔로앨범에서 부른 것과 조금도 다르지 않았다.


        후반부로 갈수록 호흡은 딸려도 힘은 더 나는 듯했다. 관객들은 “얼마나 철저히 관리하시기에 저렇게 노래할 수 있을까?”하며 그의 뮤지션쉽과 프로정신에 연신 감탄을 표했다. 이미 'Live and let die'(무대 불꽃효과가 폭발적이었다)와 'Hey Jude'에서 정신을 잃은 그들은 앙코르 'Day tripper', 'Hi hi hi', 'I saw her standing there', 'Yesterday', 그리고 다시 앙코르 요청에 또 무대 올라 열창한 'Helter skelter'와 앨범 'Abbey Road' 메들리 순서에선 거의 발광했다.

        '애비 로드' 메들리를 마지막으로 한 것은 이 앨범이 비틀스의 마지막 기획 작품인데다 'Golden slumbers', 'Carry that weight' 그리고 당시 해산을 암시하듯 'The end'라는 제목의 곡으로 끝나기 때문이다. 한국의 비틀스 팬클럽이 공연장에 내건 팻말도 바로 이 곡 'The end'의 유명한 노랫말 '결국에 당신이 받은 사랑은 당신이 베푼 사랑과 같습니다!(In the end, the love you take is equal to the love you make)'였다.

        비틀스와 폴 매카트니는 실로 베이비붐 세대와 포스트 베이비붐 세대를 함께 묶는, 대중음악의 거의 유일한 신화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또 그가 얼마나 많은 히트곡을 남겨 얼마나 대중들과 친숙한 존재인가를 웅변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가수를 업으로 삼은 사람이라면 부러울 수밖에 없다.

        39곡을 노래했지만 낯설지 않았고 신곡이라고 할 수 있는 'New'와 'Queenie eye'마저도 친숙하게 들렸다. 공연을 통해 관객들은 절감했을 것이다. 우리가 운 좋게 폴 매카트니와 함께 살아왔다는 것을 그리고 우리가 영광스럽게 비틀스와 함께 시절을 풍미했다는 것을. 신의 공연, 신화를 실제 목격한 공연이었다.
      • 2015/05 임진모(jjinmoo@izm.co.kr)
      • 앨범 리뷰
      • Egypt Station 폴 매카트니 박수진 2018 7372
        New 폴 매카트니 신현태 2013 9204
        Kisses On The Bottom 폴 매카트니 신현태 2012 9098
        Paul McCartney's Ocean's Kingdom 폴 매카트니 IZM 2011
        Good Evening New York City 폴 매카트니 IZM 2009
        Memory Almost Full 폴 매카트니 IZM 2007
        Ecce Cor Meum 폴 매카트니 IZM 2006
        Chaos And Creation In The Backyard 폴 매카트니 소승근 2005 9415
        Back in the World: Live 폴 매카트니 IZM 2003
        Back in the U.S. 폴 매카트니 IZM 2002
        Driving Rain 폴 매카트니 배순탁 2002 9643
        Liverpool Sound Collage 폴 매카트니 IZM 2000
        Run Devil Run 폴 매카트니 IZM 1999
        Flaming Pie 폴 매카트니 IZM 1997
        Paul Is Live 폴 매카트니 IZM 1993
        Off the Ground 폴 매카트니 IZM 1993
        Liverpool Oratorio 폴 매카트니 IZM 1991
        Unplugged (The Official Bootleg) 폴 매카트니 IZM 1991
        Tripping the Live Fantastic 폴 매카트니 IZM 1990
        Flowers in the Dirt 폴 매카트니 IZM 1989
        Choba B CCCP 폴 매카트니 IZM 1988
        Press to Play 폴 매카트니 IZM 1986
        Give My Regards to Broad Street 폴 매카트니 IZM 1984
        Pipes of Peace 폴 매카트니 IZM 1983
        Tug of War 폴 매카트니 IZM 1982
        McCartney II 폴 매카트니 IZM 1980
        Back to the Egg 폴 매카트니 IZM 1979
        London Town 폴 매카트니 IZM 1978
        Thrillington 폴 매카트니 IZM 1977
        Wings Over America 폴 매카트니 IZM 1976
        Wings at the Speed of Sound 폴 매카트니 IZM 1976
        Venus and Mars 폴 매카트니 IZM 1975
        Band on the Run 폴 매카트니 IZM 1973
        Red Rose Speedway 폴 매카트니 IZM 1973
        Ram 폴 매카트니 이기찬 1971 6300
        Wild Life 폴 매카트니 IZM 1971
        McCartney 폴 매카트니 이기찬 1970 6497
      • 싱글 리뷰
      • Come on to me 폴 매카트니 이택용 2018 4267
        New 폴 매카트니 이종민 2013 8295
      • 아티클
      • 폴 매카트니 내한공연 “신의 공연을 보았다!” 폴 매카트니 임진모 16788
        'History’ 폴 매카트니 내한 공연을 위한 39곡 지침서 - 2 폴 매카트니 IZM 19178
        ‘History’ 폴 매카트니 내한 공연을 위한 39곡 지침서 - 1 폴 매카트니 IZM 21580
        폴 매카트니(Paul McCartney) < Out There Japan Tour > 11월 19일 도쿄 돔 공연 폴 매카트니 신현태 12530
        폴 매카트니 공연기록 3,000회! 폴 매카트니 엄재덕 7536
        폴 매카트니의 음악은 소음? 폴 매카트니 이지연 7696
        ‘소음공해’ 처분받은 폴 매카트니 공연 폴 매카트니 임진모 6719
        조지 해리슨의 콧털을 건드린 폴 매카트니 폴 매카트니 임진모 7603
        폴 매카트니 “뜻이 있으면 길이 있다” 폴 매카트니 임진모 7451
      • 관련 앨범 리뷰
      • On Air - Live At The BBC Volume 2   비틀스 임진모 2013 11855
        Love 비틀스 임진모 2006 13599
        Let It Be.... Naked 비틀스 임진모 2003 13471
        The Beatles One 비틀스 임진모 2000 13889
        The Beatles/1962-1966   비틀스 임진모 1973 14859
        Let It Be 비틀스 이기찬 1970 10459
        Abbey Road   비틀스 임진모 1969 15869
        Yellow Submarine 비틀스 IZM 1969
        The Beatles [White Album]   비틀스 임진모 1968 17182
        Magical Mystery Tour 비틀스 IZM 1967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비틀스 임진모 1966 20942
        Revolver 비틀스 IZM 1966
        Rubber Soul   비틀스 임진모 1965 14428
        Help! 비틀스 IZM 1965
        A Hard Day’s Night 비틀스 IZM 1964
        Please Please Me   비틀스 임진모 1963 14283
        With The Beatles 비틀스 IZM 1963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김필
        Love you! (Feat. 타블로)
        • [Single] Bite me
        • [Single] The narcissist
        • [Single] Buddy
        • [Single] Love you! (Feat. 타블로)
        • [Single] Freedom
        • [Interview] 오마르 인터뷰
        • [Interview] [IZM이즘x문화도시 부평] #37 전석환
        • [Album] O, Pruned
        • [Album] 기억의 파편
        • [Single] 노래나 부를까
        • [Single] 부동의 첫사랑
        • [Single] 황금가면
        • [Single] OK
        • [Single] 퀸카 (Queencard)
        • [Album] 10,000 Gecs
      • 인기 콘텐츠
      • "지민의 빌보드 정상 데뷔, 그 숨겨진 의미"

        지민(Jimin)

        "피프티 피프티 ‘Cupid’가 영미 차트에 명중한 음악적 이유를 쏘아보다!"

        피프티 피프티(FIFTY FIFTY)

        "사카모토 류이치(1952-2023) 12 곡"

        류이치 사카모토(龍一坂本)(Ryuichi Sakamoto)

        "‘큰 가수, 큰 인물’ 현미"

        현미

        "원 버번, 원 스카치, 원 뮤직. 위스키 송 13선"






      • Editors' Choice
      • Maps
        빌리 우즈, 케니 시걸
        은둔처를 탈출한 콤비의 별난 걸리버 여행기.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클라우드] EP 40. [염동교의 영화음악]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 3
        • [뮤직클라우드] EP. 38~9 : 황선업 평론가와 살펴본 J팝 열풍 이모저...
        • [뮤직클라우드] EP. 37 : [신보리뷰] 세븐틴, 르세라핌, 에스파, 아...
        • [뮤직클라우드] EP. 36 : [임터뷰] “우울에 얼어붙은 새벽을 함께한 ...
        • [뮤직클라우드] EP. 35 : [플레이리스트] 요새 듣는 음악(아비치, 투...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