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Library    장르/상식
      • 포스트 록 (Post Rock)
      • DATE : 2015/06   |   HIT : 11000
      • by 이택용
      • 유투브에 'Post Rock'을 검색하고 아무거나 잡아서 틀어보자. 아마 대부분이 기타와 피아노의 잔잔한 연주를 시작으로 템포가 점점 빨라지더니 급기야 모든 사운드가 폭발하는 음악일 것이다. 5분이 훌쩍 넘는 대곡이 대부분이고, 대부분 보컬도 없다. 실제로도 유명한 포스트 록 음악들은 대부분 위의 형태를 띠고 있다. 하지만 포스트 록을 그저 '폭발하는 음악'이라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포스트 록이란 단어는 1994년 사이먼 레이놀즈가 매거진 < Mojo >에 기재한 바크 싸이코시스(Bark Psychosis)의 < Hex >의 리뷰에 처음 등장했다. 그는 포스트 록을 '록의 기악법을 록이 아닌 다른 장르를 목적으로 사용하고, 기타의 리프나 파워코드보다 음색과 질감을 강조한 록'이라고 정의했다. 단어의 등장은 비록 1994년이지만, 그 전에도 포스트 록의 형태를 띠는 음악들이 있었다.

        뿌리를 거슬러 올라가면, 60년대의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드론 뮤직(Drone Music)이 있다. 'Loop'란 곡을 들어보면, 거의 소음에 가까운 저음의 기타 사운드가 반복된다. 보컬은 물론, 코드의 변화도 없다. 곡에서 느껴지는 것은 오직 기타의 질감이다. 온통 노이즈로 도배된 이 실험작은 포스트 록의 첫 탄생으로 인용된다.

        여기서, 포스트 록이 강조하는 질감이란 무엇일까? 보통 질감이란 단어는 물체의 외부적인 성질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된다. 손으로 어떤 물체를 만질 때 느껴지는 거칠다, 부드럽다 등 여러 가지 인상들이 바로 질감에 해당된다. 물체가 아닌 음악에서의 질감 또한 비슷한 의미로 작용하는데, 손이 아닌 귀로 느껴지는 사운드가 가져다주는 단면적인 결의 느낌들이 바로 질감이다. 포스트 록에서의 질감이란 대부분 기타의 질감에 해당하는데, 기타의 음을 길 게 늘리거나, 다른 악기들을 배제함으로써 기타의 질감을 강조한다.

        이러한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질감'이 포스트 록의 씨앗을 심었다면, 수분과 햇빛의 역할을 한 것은 1988년, 아트 록과 뉴 웨이브에서 파생된 톡 톡(Talk Talk)의 < Spirit Of Eden >과 1991년, 매쓰 록(Math Rock)에서 나온 슬린트(Slint)의 < Spiderland >이다. 이 두 앨범 모두 록의 요소들을 각각 다른 장르를 표현하는데 사용되었다는 점에 90년대 포스트 록에 큰 영향을 미친다.

        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이러한 '결의 음악'과 '록을 벗어나려고 하는 록'의 여파 아래 바크 싸이코시스, 스테레오랩(Stereolab), 토터스(Tortoise), 갓스피드 유! 블랙 엠페러(Godspeed You! Black Emperor)와 시규어 로스(Sigur ros) 등 수많은 포스트 록 밴드들이 등장하며 포스트 록은 전성기를 맞이한다. 특히, 토터스의 < Millions Now Living Will Never Die >, 모과이(Mogwai)의 < Young Team >, 시규어 로스의 < Agaetis Byrjun >와 갓스피드 유! 블랙 엠페러의 < Lift Your Skinny Fists Like Antennas To Heaven > 등의 작품들이 여러 평론가와 음악매체의 큰 사랑을 받으며 포스트 록의 명반 자리에 이름을 올린다.

        위의 포스트 록 밴드들은 각각 얼터너티브 록과 프로그레시브 록에서 파생된 드림 팝(Dream Pop)과 스페이스 록(Space Rock) 등 포스트 록의 요소들과 교집합을 이루는 여러 세부 장르들로 분류되기도 한다.

        많은 이들이 '포스트 록은 어렵다.'라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포스트 록은 이성보단 감성에, 머리보단 심장에 근접한 음악이다. 시류에서 벗어난 것들에게 붙여지는 '실험적'이란 낙인이 붙었지만 어느 다른 음악보다 감성에 가까운 음악이다. 이해하려는 태도를 접어두고 듣는 것이 포스트 록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이다.


        -포스트 록 밴드-

        토터스(Tortoise)
        스테레오랩(Stereolab)
        바크 싸이코시스(Bark Psychosis)
        문쉐이크(Moonshake)
        프램(Pram)
        쿨 데 삭(Cul de Sac)
        스타스 오브 더 리드(Stars Of The Lid)
        모과이(Mogwai)
        갓 스피드 유 블랙 엠페러(Godspeed You! Black Emperor)
        시규어 로스(Sigur ros)
        익스플로전스 인 더 스카이(Explosion In The Sky)
        디스 윌 디스트로이 유(This Will Destroy You)
        모노(Mono)
        갓 이스 애스트로넛(God Is Astronaut)
      • 2015/06 이택용(naiveplanted@naver.com)
      • 최근 업데이트
      • Feature
        신촌블루스 디스코그래피 돌아보기
        • [Single] Flowers
        • [Single] 환상
        • [Single] Vibe (Feat. 지민 of BTS)
        • [Single] Love war (Feat. 비오)
        • [Feature] IZM 필자들이 처음 듣자마자 반해버린 곡
        • [Feature] 신촌블루스 디스코그래피 돌아보기
        • [Single] Rumble
        • [Single] 신이했어 (Feat. 떠그 민)
        • [Single] Beautiful liar
        • [Single] 정류장
        • [Interview] 엄인호 인터뷰
        • [Album] Alpha Zulu
        • [Album] First Of All
        • [Feature] 제프 벡(1944-2023), 위대한 여정
        • [Single] Fuckin' new year





      • Editors' Choice
      • Bobo
        언텔, 윌낫피어
        랩 부르주아로 자수성가한 두 레지스탕스. 우위에서 내리 까는 세태 비판에 온몸이 짜릿!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 클라우드] EP. 24 : 국내외 음악계 뉴스 5 (뉴진스 'OMG' 뮤비 논란, 이영지 쇼미 우승, VMC 해체, 코첼라 라인업 공개, 컴백 아티스트)
        • [뮤직 클라우드] EP. 23 : 염동교의 영화음악 / 노래방 힛뜨송 wit...
        • [뮤직 클라우드] EP. 22 : 2023년이 기대되는 뮤지션 그리고 카니예...
        • [뮤직 클라우드] EP. 21 : 2022년 연말결산 Part 2_국내/해외...
        • [뮤직 클라우드] EP. 20 : 2022년 연말결산 Part 1_국내/해외...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