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Feature    이택용의 What`s Going On?
      • The Queen Is Dead
      • DATE : 2017/03   |   HIT : 8550
      • by 이택용
      • 버글스(The Buggles)의 'Video Killed The Radio Star'의 뮤직비디오가 MTV 시대를 열어젖혔던 1981년, 음악을 감상하는 새로운 도구로 영상이란 매체가 급부상했다. 마이클 잭슨이나 마돈나로 대변되는 스타를 앞세운 미국은 파급력 있는 영상들로 전 세계를 매혹시키던 당시, 저편의 영국에선 대명사 'The'와 '-s'라는 진부한 조합으로 이루어진 더 스미스(The Smiths)란 이름의 밴드가 탄생한다.

        ▶앤디 러크(Andy Rourke, 베이스) / 모리시(Morrissey, 보컬) / 마이크 조이스(Mike Joyce, 드럼) / 조니 마(Johnny Marr, 기타)

        미국의 쿨(Cool)함으로 비추어보았을 때, 고리타분하고 답답하기 짝이 없는 '영국스러움'을 내세운 스미스는 시장을 점령해버린 미국주의에 맞서 자국만의 정체성을 고수한다. 맨체스터 출신의 밴드는 인디 레이블, 러프 트레이드(Rough Trade)를 통해 발매된 동명앨범 < The Smiths >을 시작으로 'How Soon Is Now'가 수록된 < Hatful Of Hallow >, 다면적인 기타플레이가 빛을 발한 < Meat Is Murder >까지. 음악색이 뚜렷한 기타 팝 음반들이 보컬 모리시(Morrissey)와 기타리스트 조니 마(Johnny Marr)의 철저하고 독립적인 통제에 의해 제작된다.

        자국의 포크 싱어들, 도노반(Donovan)과 닉 드레이크(Nick Drake)의 문장력에 빗대어지는 모리시의 교밀한 가사 쓰기와 포크 록의 징글 쟁글(Jingle Jangle) 사운드를 수혈한 조니 마의 기타 플레이는 후에 발생하는 브릿팝에 큰 효시가 된다. 그러나 정작 밴드의 대표작이라 불리는 1986년 작 < The Queen Is Dead >는 징글 쟁글로 비롯되는 밴드의 패턴에서 벗어나 더욱 넓은 스펙트럼을 선보인 음반이다.

        ▶스미스의 1986년 작 < The Queen Is Dead >

        < The Queen Is Dead >는 인디 록 계보에 빠질 수 없는 걸작이라 추앙받고 있으면서도 굉장히 팝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음반이다. 하드록적인 기타 리프의 'The Queen is dead'를 시작으로 우울한 사랑노래 'I know it's over', 밝고 시원한 곡조의 'Cemetry gates'로 이어지는 트랙들은 하나의 골자나 통일성을 띄지 않고 각자의 단일성을 가진다. 다구(多口)한 모리시의 가사 또한 그렇다.

        The Smiths – The Queen Is Dead
        < The Queen Is Dead >
        (1986)


        Farewell to this land's cheerless marshes
        아치 사이에 낀 수퇘지처럼
        Hemmed in like a boar between arches
        음침하고 칙칙한 이 나라에 작별을
        Her very Lowness with her head in a sling
        붕대를 머리에 감으신 여왕 폐하
        I'm truly sorry but it sounds like a wonderful thing
        진심으로 죄송하지만 이건 정말 근사한 표현이에요.

        -

        We can go for a walk where it's quiet and dry
        우리는 조용하고 메마른 곳을 산책하며
        And talk about precious things
        귀중한 것들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었어요.
        Like love and law and poverty
        사랑과 법 그리고 가난과 같은.

        -

        Passed the pub that saps your body
        사람들을 망쳐버리는 술집을 지났고
        And the church who'll snatch your money
        사람들의 돈을 빼앗는 교회도 지났어요.
        The Queen is dead, boys
        여왕은 죽었습니다. 여러분.


        '여왕은 죽었다'라는 제목처럼 대놓고 여왕을 비난하는 곡이다. '여왕은 인간이 아니다. 파시스트 정권의 꼭두각시일 뿐이다.'라며 공격했던 섹스 피스톨즈의 직설적인 표현법과는 거리가 먼, 굉장히 고급스러운 은유와 풍자가 돋보인다. 자국을 '아치 사이에 낀 수퇘지처럼 음침하고 칙칙한 나라'라 표현하거나 '폐하'를 뜻하는 'Highness'를 'Lowness'로 슬쩍 바꾸어 넣는 모리시의 재치는 근사하다.

        고전 'Take me back to dear old blighty'가 삽입된 도입부를 지나 조니 마의 환란적인 기타 리프에 탑승한 모리시는 쇠락의 길을 걷고 있는 대영제국의 곳곳을 관찰한다. 담담하면서도 극적인 모리시의 음성은 곪아 터져버린 귀족주의의 폐해들과 제도에 신음하는 사람들을 꼬집어내면서도 특유의 관념적인 자아성찰까지 곁들여 독특한 트랙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2017년 3월 10일. 대한민국의 국민들과 대한민국의 헌법 또한 (두) 여왕을 죽였다. 헌법재판소의 재판관들은 만장일치로 탄핵을 인용했고, 여왕은 곧 바로 대통령이란 직위를 박탈당했다. 2016년 10월 29일을 시작으로 전국 각지에서 벌여진 촛불집회는 총 1600만 명의 인원을 동원하며 '국민이 행동하면 변한다.'라는 것을 증명했다.

        20번의 집회는 많은 인원이 동원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도 한국사 혹은 세계사에 기록될만한 가치가 있다. 피 한 방울 흘리지 않은, 무력 없는 시위였다는 점, 어린아이부터 노인까지 폭넓은 연령층을 수용한 대중 집회였다는 점, 공연 문화가 자연스럽게 스며들 만큼 평화적인 축제였다는 점, 이 모두 대한민국의 성숙한 시민의식으로부터 비롯된 성과이다. 2017년의 대한민국은 이제 자라날 세대에게 자랑할 만한 역사적 이정표를 만들어냈다.
      • 2017/03 이택용(naiveplanted@naver.com)
      • 앨범 리뷰
      • The Very Best of the Smiths 스미스 IZM 2001
        Singles 스미스 IZM 1995
        The Best of the Smiths, Vol. 2 스미스 IZM 1992
        The Best of the Smiths, Vol. 1 스미스 IZM 1992
        Strangeways, Here We Come 스미스 IZM 1987
        Louder Than Bombs 스미스 IZM 1987
        The Queen Is Dead   스미스 정우식 1986 4586
        Meat Is Murder 스미스 IZM 1985
        The Smiths 스미스 정우식 1984 4650
      • 아티클
      • The Queen Is Dead 스미스 이택용 8550
        시대를 빛낸 명반 스미스 임진모 5185
      • 최근 업데이트
      • Album
        나연
        Im Nayeon
        • [Single] Late to da party (F*ck BET)
        • [Single] Life′s too short (English ver.)
        • [Single] Left and right (Feat. 정국 of BTS)
        • [Single] 깽값 (Feat. 개코) (Prod. 슬롬)
        • [Album] Honestly, Nevermind
        • [Feature] [무비즘] 드림걸스
        • [Album] Im Nayeon
        • [Album] Ugly Season
        • [Album] Harry's House
        • [Single] Break my soul
        • [Single] 위로
        • [Single] Summer (Feat. 비오)
        • [Single] Don’t you worry
        • [Feature] [무비즘] 에이미
        • [Feature] [김도헌의 실감, 절감, 공감] 유희열 표절 의혹, 신뢰를 회복하려면
      • 인기 콘텐츠
      • "차트 역주행 특집 VOL 3. IZM 필자들이 뽑은 '역주행 되기를 바라는 곡'"

        "뉴트로 특집 VOL.2 : 12곡으로 살펴본 뉴트로"

        "[한국 대중음악의 재발견] 나미와 머슴아들의 '영원한 친구'"

        "[김도헌의 실감, 절감, 공감] 야구 좋아하세요?"

        "마침내 되찾은 서울의 열기, 제14회 서울 재즈 페스티벌"






      • Editors' Choice
      • Gold Rush Kid
        조지 에즈라
        페스티벌의 현장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팟 캐스트더보기
        • EP. 4 : 오디션 프로그램, 영국 음악을 거쳐 해리 스타일스까지!
        • [요즘 음악] 1회 ‘걸크러쉬’ 콘셉트, 그 맥락의 변화와 눈 여겨볼 노래 ...
        • [뮤직 클라우드] EP. 3 : 내 인생의 음악 with 장준환 편집장
        • [뮤직 클라우드] EP. 2 : 내 인생의 음악 with 임동엽 필자
        • [뮤직 클라우드] EP. 1 : 내 인생의 음악 with 염동교 필자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