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모태의 핏덩이를 상징하는 검붉은 색감을 통해 듣는 이로 하여금 인간의 태생적 근원을 인지시킨 그는 'Intro. 권지용'으로 포문을 연다. 눈에 띄는 명제는 최근 그의 고유 브랜드로 출범한 '피스 마이너스 원'. 주류의 정도(正道)와는 다른, 조금은 삐뚤어진 그의 태도를 그대로 수식화한 '평화 빼기 하나'라는 심벌을 통해 그의 정체성을 소구한다. 재미난 은유다. 뒤이은 '개소리'에는 이미 온라인상에서 유쾌한 효과음으로 존재감을 알린 지 오래인 '이 뭔 개소리야' 사운드를 삽입하면서 자신의 신세를 개에 비유한다. 빅뱅의 < MADE > 앨범을 계승하는 통렬한 위트이다.
은유의 방점을 찍는 것은 마지막 트랙 'Outro. 신곡(神曲)'이다. 단테의 고전 < 신곡(Divine Comedy) >을 제목으로 삼은 그는 다프트 펑크의 'Veridis quo'을 샘플링하여 음악적 격조를 맞춘다. 주제어는 삶의 역설. 성공한 가수가 되는 것이 꿈이었고 현재 꿈을 이루었지만, 그것을 존속하기 위해선 계속된 가식으로 치장해야함에 진력이 난 그의 모순적인 심정을 노출한다. 지옥을 거쳐 천국에서 영원한 사랑에 눈을 뜨는 원작 < 신곡(Divine Comedy) >과 기획된 세상을 탈출하여 진실된 인생으로 향하는 영화 < 트루먼 쇼 >의 인용을 통해 예술적 공감대를 부여하고 메시지의 설득력을 강화해낸다. (최근 콘서트 라이브에서의 트루먼 쇼 퍼포먼스 또한 인상적이다.)
이렇듯 앨범의 콘셉트적 유희가 뚜렷함에도 줄곧 부진한 음악적 성취는 아쉬움을 남긴다. 첫 트랙의 비트는 카일(Kyle)의 'iSpy'와 닮아있고 '개소리'는 싱글 'Good boy'의 기조를 반복한 클럽튠이며 '무제(無題)'는 전형적인 발라드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가사 역시 '세상은 요지경 신신애', '너희들의 개 맛을 알아', '영감도 세워' 등 일차원적 혹은 이미 단물 빠진 펀치라인을 나열함으로써 민망함을 불러일으킨다. 여러모로 레퍼런스의 총아(寵兒)이다.
지드래곤과 권지용이라는 두 자아는 양면성을 띄고 있지만, 역설적이게도 현실과 타협하는 지드래곤도 그이고 현실의 비현실성에 괴로워하는 권지용도 그이다. 알고보면 삶의 대다수 것이 역설 아닌가. 권지용이 본연의 내적 갈등을 슬며시 표출하는 와중 지드래곤은 여전한 음악적 절충으로 대중가수로서의 지위를 이어나간다.
-수록곡-
1. Intro. 권지용 (Middle fingers-up)

2. 개소리 (Bullshit)
3. Super star
4. 무제(無題) (Untitled, 2014)
5. Outro. 신곡(神曲) (Divina commed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