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종교적으로 미국, 영국과 대립각을 세웠던 아일랜드 출신의 유투는 더 이상 아이리쉬 밴드가 아니다. 1987년도 앨범 < Joshua Tree >와 이듬해에 공개한 < Rattle And Hum >을 기점으로 이들의 주요 소재인 미국은 유투 음악의 중심에 자리했고 1990년대에 공개한 < Achtung baby >, < Zooropa >, < Pop >을 지나 2000년도 음반 < All That You Can't Left Behind >부터 지금까지 유투는 아일랜드보단 미국 사회를 반영하는 노래를 불렀다. 이번 < Songs Of Experience > 역시 개러지 록을 시도한 'American soul'이나 도널드 트럼프 미대통령을 향한 'The showman', 1960년대의 사이키텔릭을 차용한 'Summer of love'가 애증의 대상인 미국을 담은 대표적인 곡. 멤버들에게 음악적인 영감을 준 미합중국에 대한 안타까운 오마주인 반면에 예전, 그들의 중심에 있었던 아일랜드는 점차 밖으로 밀려났다.
인류애를 바탕으로 한 사랑과 종교에 대한 믿음을 한 번도 놓지 않았던 유투는 1988년도 음반 < Rattle And Hum > 이후부터는 흑인 가스펠 풍의 코러스를 자신의 노래에 대입해 진정성과 약자 편임을 강조하는 방식을 선호해왔다. 'Love is bigger than anything in its way', 'Light of home'는 그렇게 탄생한 유투식 가스펠 넘버다. 'Pride'나 'With or without you'처럼 유투의 시그니처 사운드인 에지의 딜레이 효과를 극대화한 'The little things that give you away'와 'Book of your heart', 'Get out of your own way'만이 이들의 존재를 음악으로 확인시킨다.
어둡고 처절한 1번 트랙 'Love is all we have left'는 전체적으로 밝고 힘찬 노래들이 많은 < Songs Of Innocence >의 분위기를 진중한 것처럼 치장한 소품이며 첫 싱글 'You're the best thing about me'와 'Get out of your own way', 'The blackout', 'The showman' 등 멜로디가 잘 들리는 노래들은 거의 모두 흥겨운 로큰롤이다. 날카로운 발톱을 숨긴 호랑이처럼 진지함 뒤에 흥을 감춘 < Songs Of Innocence >는 근래에 공개한 유투의 그 어느 앨범 수록곡들보다 선율과 편곡이 탁월하지만 유투의 멤버들은 그 점을 가리고자 했다. 대중성을 가볍게 생각한 오만한 결정이다.
2014년도 앨범 < Songs Of Innocence >의 수록곡 공개 과정에서 불거진 잡음과 최근 폭로된 미국 음악 전문지 < 롤링 스톤 >과의 밀월관계는 유투에게 오점을 남겼다. 정직하고 양심적인 그룹의 이미지가 퇴색됐지만 많은 매체는 이것을 최소화시켜 은근슬쩍 넘어갔다. 유투가 음악적 지배자, 사회의 권력자가 되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사건이다. < Songs Of Experience >는 바로 그 아일랜드의 양심이 빛바랜 영웅이 되었음을 확인시켜주는 거북한 음반이다.
-수록곡-
1. Love is all we have left
2. Lights of home
3. You're the best thing about me

4. Get out of your own way

5. American soul
6. Summer of love
7. Red flag day
8. The showman (Little more better)
9. The little things that give you away
10. Landlady
11. The blackout

12. Love is bigger than anything in its way
13. 13 (There is a light)

14. Ordinary love (Extraordinary mix)
15. Book of your heart
16. Lights of home (St. Peter's string version)
17. You're the best thing about me (U2 vs Ky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