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Feature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 보헤미안 랩소디 >로 부활한 퀸의 결정적 모먼트
      • DATE : 2018/11   |   HIT : 8000
      • by 김도헌
      • '여왕 폐하께서 돌아오셨다!' 영화 < 보헤미안 랩소디 >로 부활한 프레디 머큐리와 퀸이 온 세계를 흔들고 있다. 개봉 첫 주 영국에서 1200만 달러, 미국에서 5천만 달러 수익을 올리더니 일본, 프랑스, 독일 호주 등 국제 극장가를 휩쓸며 가볍게 손익분기점을 뛰어넘었다. 무엇보다도 한국인의 '퀸 사랑'이 빠질 수 없다. 그제 3백만 관객을 돌파함은 물론, 영화관에서 노래 부르는 '싱어롱' 상영도 대유행이다. 11월 24일 프레디 사망 27주기를 기리는 특별 상영회 역시 일찌감치 매진됐다.

        세계 3억 불 수익을 올리며 음악 영화 사상 최고의 히트작에 등극한 < 보헤미안 랩소디 >는 전 세계 음악 팬들에게 퀸의 제2 전성기를 인도한다. 퀸과 함께 호흡한 기성세대에게는 추억을, 밴드의 기억이 사라져 가는 젊은 세대에게는 지난 시대의 전설을 소개하면서 세대를 화합하는 '음악의 힘'을 오랜만에 보이는 작품이다. 혁신가이자 위대한 쇼맨, 소외된 이들을 위해 노래한 퀸과 프레디 머큐리, 최후의 승자로 거듭난 그들의 결정적 순간들을 짚어본다.

        From Smile to Queen


        런던 일링 예술 대학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전공한 파로크 불사라는 어려운 본명 대신 프레디(Freddie)로 유명했다. 여러 아마추어 밴드를 전전하며 뮤지션의 꿈을 키워가던 그는 런던의 인디 밴드 스마일(Smile)의 공연을 자주 보러 다녔다. 기타에 브라이언 메이, 드럼에 로저 테일러, 보컬에 팀 스타펠로 구성된 이 팀은 프레디와 안면을 트고 지낸 사이였다. 특히 험피 봉(Humpy Bong) 활동을 위해 팀을 탈퇴한 팀 스타펠은 프레디에게 브라이언과 로저를 소개해준 장본인이며 실제로도 매우 친했다.

        팀 스타펠의 빈자리를 꿰찬 프레디와 밴드는 세 번의 오디션을 통해 베이스 멤버를 충원했는데 그가 바로 존 디콘이다. 이후 프레디는 팀의 이름을 퀸으로 바꿨고, 밴드 로고를 직접 디자인했으며 본인의 성씨도 불사라에서 머큐리(Mercury)로 고친다. 스마일 시절 팀 스타펠과 함께 쓴 몇 곡과 새로 만든 곡을 한 데 모은 팀은 1973년 첫 앨범 < Queen >을 발매하며 메이저 데뷔를 이뤘다. 전설의 시작이었다.

        They Became Killer!


        상업적으로 실패한 데뷔작을 뒤로하고 이듬해 밴드는 < Queen II >를 발매한다. 퀸 최초의 히트곡 'Seven seas of rhye'로 알려진 이 앨범은 조악했던 첫 앨범으로부터 사운드 측면으로나 앨범 구성 측면으로나 확실히 진일보하며 시장의 관심을 모으는 데 성공했다. 퀸의 유일한 콘셉트 앨범이며, 앨범 전체를 하나의 곡으로 연결하고 오페라적 구성과 판타지로부터 영향받은 상상력의 가사는 훗날 'Bohemian Rhapsody'의 초석이 된다. 그러나 이 앨범도 상업적 성공과는 거리가 있었다. 무엇보다 음악 평론가들의 날 선 비판도 가혹해져 갔다.

        < Sheer Heart Attack >부터 밴드의 전성기가 열렸다. 브라이언 메이의 신출귀몰한 기타 플레이가 담긴 'Brighton rock'이 예술성을 담보했다면, 다음 트랙 'Killer queen'은 선정적인 가사에도 유려한 멜로디로 영국 싱글 차트 2위까지 올랐다. 이 상업적 성공을 토대로 밴드는 보다 대중적인 접근과 더불어 오페라 형식을 강하게 접목한 대곡을 설계한다. 바로 < A Night At The Opera >와 'Bohemian rhapsody'다.

        Bo-Rap


        평소 록 음악은 물론 클래식과 오페라에도 조예가 깊었던 프레디는 < Queen II >에서 실험한 바 있는 오페라를 6분짜리 한 편의 곡에 접목하겠다는 야심을 품는다. 프로덕션 전권을 확보한 그는 180번 이상의 오버 더빙과 철저히 분업된 레코딩을 통해 멤버들도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전대미문의 명곡을 감독했다. 3명의 목소리만으로 대규모 합창단을 만들었고, 총 다섯 단계로 나뉜 기획을 통해 형 집행을 앞둔 사형수의 이야기를 실감 나게 들려줬다. 특수 효과를 적극 활용한 홍보 영상을 녹화하며 '세계 최초의 뮤직비디오'를 기획한 건 덤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Bohemian rhapsody'는 전대미문의 충격을 안기며 록의 명곡으로 우뚝 섰다. 2~3분으로 끝나는 히트 싱글의 규칙을 아득히 뛰어넘은 6분짜리 곡임에도 아카펠라와 피아노 연주, 하드 록의 절묘한 조화 속 선명한 멜로디는 밴드에게 영국 싱글 차트 9주 연속 1위를 선물하며 퀸이 완연한 인기 밴드임을 알렸다. 보헤미안 랩소디와 < A Night At The Opera >의 성공은 < A Day At The Races >와 < Jazz >, < The Game >으로 이어지는 퀸의 황금기를 알렸다.

        Conquest of American chart


        퀸 커리어에서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한 앨범은 1980년의 < The Game >이다. 퀸의 유일한 빌보드 싱글 차트 1위 곡 '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 'Another one bites the dust'가 이 앨범에 수록되어있으며, 빌보드 앨범 차트 1위에 오른 앨범이기도 하다. 흥미로운 점은 이 두 곡이 퀸의 오리지널 스타일과는 꽤 거리가 멀다는 데 있다.

        베이스 주자 존 디콘의 그루비한 베이스 리프와 브라이언 메이의 찰랑거리는 펑크(Funk) 기타는 1970년대 말 디스코 열풍을 그대로 투영하고 있다. 어쿠스틱 기타가 찰랑이는 '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는 1960년대 초 엘비스 프레슬리에게서 영향을 받은 로큰롤 스타일이다. 평소 신디사이저를 좋아하지 않던 프레디가 처음으로 신디사이저를 도입한 퀸 앨범이기도 하다. 새 시도가 흡족했던 멤버들은 2년 후 영화 < 플래쉬 고든 > 사운드트랙에 신디사이저를 대거 활용한다.

        "They Stole The Show!"


        < 보헤미안 랩소디 >의 하이라이트는 영화 종반부 '라이브 에이드' 콘서트의 완벽한 재현이다. 1985년 웸블리 스타디움의 10만 관중을 모조리 '여왕의 사열대'로 만들어버린 퀸의 무대는 록 역사에서 가장 인상적인 실황으로 손꼽힌다. 극적인 재결성 후 첫 무대를 완벽한 보컬 컨디션과 타고난 카리스마로 종횡무진하는 프레디를 보며 '라이브 에이드' 기획자 밥 겔도프와 엘튼 존이 '그들이 쇼를 훔쳤다'라 감탄한 것은 유명하다.

        '라이브 에이드'를 제외하고도 퀸은 역사에 남을 라이브 무대를 여럿 남겼다. 1979년 유럽 투어를 녹음한 실황 앨범 < Live Killers >는 1970년대 록 콘서트의 힘을 보여주는 명반으로 손꼽힌다. 많은 팬들에게 최고의 공연으로 손꼽히는 1981년 몬트리올 라이브, '라이브 에이드' 이듬해 웸블리에서의 공연에서 노란 가죽 재킷을 걸치고 주먹을 하늘로 뻗는 프레디 머큐리의 모습, 맨체스터 공연에서 휘황찬란한 왕관과 망토를 쓰고 무대를 누비는 프레디는 그 자체로 록이라는 장르와 대중문화를 상징하는 우상의 지위를 누린다.

        Death of an angel


        영화와 달리 프레디 머큐리는 '라이브 에이드' 공연 후에야 에이즈 감염 사실을 알게 됐다. 그는 투병 사실을 철저히 비밀로 지키며 유작 < Innuendo >를 남기고 1991년 11월 24일 세상을 떠났다. 그러나 앨범의 마지막 트랙처럼 '쇼는 계속되었다.'. 이듬해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개최된 프레디 머큐리의 추모 공연에는 조지 마이클, 메탈리카, 엘튼 존, 데이비드 보위, 로버트 플랜트 등 당대 최고의 슈퍼스타들이 한데 모여 프레디의 '불멸'을 추모했다.

        1995년 멤버들은 프레디의 생전 작업을 추려 추모 앨범 < Made In Heaven >을 발매했다. 프레디의 솔로 앨범에 수록된 'Made in heaven'과 'I was born to love you'를 수록하고, 프레디가 가장 마지막으로 녹음한 'Mother love'와 마지막으로 작곡한 'A winter's tale'을 수록한 앨범은 지금까지도 퀸의 마지막 정규작으로 남아있다. 1997년에는 'No one but you' 녹음 후 존 디콘이 은퇴했다.

        2012 London Olympics


        퀸의 커리어는 현재 진행형으로 내려오며, 프레디 머큐리 역시 대중문화 속 아이콘으로 영원한 삶을 살고 있다. 그중 2012년 런던 올림픽 폐막식은 그 정점의 무대로, 홀로그램으로 되살아난 1986년 웸블리 공연의 프레디는 2012년 홀로그램으로 등장해 브라이언 메이와 로저 테일러, 여가수 제시 제이와 합을 맞췄다.

        원래 프레디는 20년 전 올림픽 주제가의 주인공이 되어야 했다. 스페인 태생 소프라노 몽셰라 카바예와 함께 녹음한 'Barcelona'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의 주제가로 예정되어 있었던 것. 그러나 프레디 사후 올림픽 위원회는 에이즈 감염자였던 프레디의 노래를 거절하고 호세 카레라스와 사라 브라이트만의 'Friends of life'를 대신 채택했다. 바로 그 20년 전의 한을 풀듯, 런던 올림픽 스타디움을 가득 채운 6만 관중과 선수단은 홀로그램 속 프레디의 'Eh-oh'에 우레와 같은 함성으로 답했다.

        우리에게도 친숙한 퀸의 노래


        프레디 사후에도 퀸의 음악은 대중문화 전반에서 막강하다. 1994년 미국 월드컵 주제가였던 'We are the champions'는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시기에도 다시금 차트에 등장했으며, 'Bohemian rhapsody'는 영국 차트 정상에 세 번이나 올랐다. 보헤미안 랩소디를 비롯한 상당수 대표곡이 금지곡 판정을 받으며 전성기 시절을 함께하진 못했으나, 명료한 멜로디와 힘 있는 보컬로 무장한 퀸은 한국인이 사랑하는 팝 리스트의 정상을 절대 놓치지 않는다.

        그것은 지난 10년 간 이들의 노래가 광고 음악의 단골손님이었다는 사실로 입증된다. 'Under pressure'부터 'I was born to love you', 'Somebody to love'와 'Don't stop me now' 같은 대표곡들부터 1분짜리 'Lazing on a sunday afternoon'과 비교적 덜 알려진 'Spread your wings' 까지 다양한 곡들이 기업 주력 광고를 장식했다. 특히 삼성과 현대는 기업 이미지 홍보에 퀸의 고감도 멜로디를 빌렸고, 대한항공은 2014년 소치 올림픽을 위한 홍보 광고를 제이슨 므라즈 버전의 'Good old fashioned lover boy'로 장식했다
      • 2018/11 김도헌(zener1218@gmail.com)
      • 앨범 리뷰
      • Return of the champions 퀸 정성하 2005 8348
        Made In Heaven 퀸 배순탁 1995 9317
        Greatest Hits (Queen) 퀸 IZM 1992
        Innuendo   퀸 지운 1991 9132
        The Miracle 퀸 지운 1989 7758
        A Kind Of Magic 퀸 지운 1986 7691
        Live Magic 퀸 IZM 1986
        The Works 퀸 이경준 1984 9209
        Hot Space 퀸 이경준 1982 7438
        Flash Gordon 퀸 이기찬 1981 4296
        The Game 퀸 배순탁 1980 7918
        Live Killers 퀸 이경준 1979 7722
        Jazz 퀸 이경준 1978 7899
        News Of The World 퀸 이경준 1977 8185
        A Day At The Races 퀸 배순탁 1976 8144
        A Night At The Opera   퀸 고영탁 1975 10109
        Queen II 퀸 이경준 1974 7711
        Sheer Heart Attack 퀸 지운 1974 7754
        Queen 퀸 지운 1973 8118
      • 아티클
      • [무비즘] 보헤미안 랩소디 퀸 김호현 2619
        < 보헤미안 랩소디 >로 부활한 퀸의 결정적 모먼트 퀸 김도헌 8000
        퀸 ‘Another one bites the dust’ 퀸 이무영 17411
        그룹 퀸에 대한 한국인들의 편견과 오해 (2) 퀸 이호상 13629
        그룹 퀸에 대한 한국인들의 편견과 오해 (1) 퀸 이호상 21034
        퀸 팬클럽과의 만남 퀸 김獨 16213
        퀸, 넘버원! 퀸 김獨 8351
        클래식으로 새로이 탄생한 퀸의 음악 퀸 임진모 8552
        ‘보헤미안 랩소디’ 50년간 애청곡 중 1위 퀸 윤석진 9151
      • 최근 업데이트
      • Album
        트리플에스
        Assemble
        • [Feature] Fifty와 Fifty가 만나 드디어 100이 됐다
        • [Library] 김광석 다시 부르기 Ⅱ
        • [Album] 김광석 다시 부르기 Ⅱ
        • [Album] Assemble
        • [Album] Desire, I Want To Turn Into You
        • [Single] Some things don't change
        • [Single] Miracle
        • [Single] Expectations
        • [Single] Freshman
        • [Single] Young, dumb, stupid
        • [Interview] 박승화 인터뷰
        • [Album] Bless This Mess
        • [Library] Force Deux
        • [Album] Holy
        • [Album] 호프리스 로맨틱
      • 인기 콘텐츠
      • "열정의 청춘 로커, 팬들의 마음에 도킹하다!"

        이승윤

        "제프 벡(1944-2023), 위대한 여정"

        제프 벡(Jeff Beck)

        "IZM 필자들이 처음 듣자마자 반해버린 곡"

        "이즘이 선정한 뉴 잭 스윙 16선"

        "신촌블루스 디스코그래피 돌아보기"

        신촌블루스





      • Editors' Choice
      • Heaven(금기)
        이바다
        몽롱한 목소리가 이끄는 사랑이란 항해의 끝이 예고된 파국일지라도, 어찌 홀리지 않을 수 있을까.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 클라우드] EP. 30 : 2020년 이후 당신이 기억해야 할 (숨겨진) K팝 트랙! with 정민재 평론가
        • [뮤직 클라우드] EP. 29 : 밴드 열전! 자우림 & 크랜베리스
        • [뮤직 클라우드] EP. 28 : 2023 국/내외 뮤직 페스티벌 여기 어때...
        • [뮤직 클라우드] EP. 27 : 한성현의 영화음악
        • [뮤직 클라우드] EP. 26 : 좋은 음악 같이 들어요 특집 with. 임...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