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정민재의 Top Artist : Hot&Cool · 김반야의 Yes, I`m A Witch · 이택용의 What`s Going On?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Interview 
      • 슈퍼올가니즘(Superorganism) 인터뷰
      • DATE : 2019/01   |   HIT : 2360
      • by 김도헌
      •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출신의 런던 밴드. 다국적 밴드 슈퍼올가니즘은 인터넷 시대의, 인터넷 세대에 의한, 인터넷 세대를 위한 팀으로 2018년 한 해 내내 화제를 모았다. 키치한 인터넷 미학과 자유로운 메시지, 발랄한 음악 색채를 자랑하는 이들은 일상이 된 글로벌과 시공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온라인의 힘을 나른하고도 힘차게 노래한다.

        1월 27일 예스 24 라이브홀에서 첫 내한 공연을 가진 밴드를 만나 그들의 '초개체' 사상을 들어봤다. 인터뷰에는 기타리스트 해리(Harry)와 코러스 루비(Ruby), 비(B), 소울(Soul)이 참여했다. 한국인 멤버 소울이 '반갑습니다'라며 우리를 맞아줬다.


        링크 : [Live] 두 번째로 만난 슈퍼올가니즘, 짧았던 한국과의 조우


        첫 한국 방문이다. 한국에서 공연하게 된 소감을 부탁한다.
        루비 : 한국의 팬들 앞에서 공연할 수 있어서 감사하다.
        해리 : 항상 한국에 오고 싶었지만 정말 오게 될 줄 몰랐다.
        비 : 세계 여러 나라에서 모인 우리 팀이다 보니 이런 홈커밍 쇼(Homecoming Show)가 더 특별하다. 한국은 소울의 나라 아닌가.
        소울 : 공항에 도착했을 때 많은 팬 분들이 마중을 나와주셨다. 한국 팬들은 최고다!
        비 : 인형, 케이크, 심지어는 양말까지 많은 선물을 준비해오셨다. 한국의 첫 인상이었다.

        2018년 BBC 'Sound of the Year'에 선정된 이후 정규 앨범 발매와 월드 투어, 방송 출연까지 바쁜 한 해를 보냈다. 지난 한 해를 돌이켜본다면.
        해리 : 빨랐다(Fast). 엄청 빨랐다(웃음). 2년 전 ´Something for your M.I.N.D´ 발표 후 각 다른 나라에 살던 멤버들이 한데 모였고, 그 후부턴 눈덩이가 굴러가듯 모든 게 엄청 빨리 진행됐다. 정규 앨범을 냈고 투어를 다니며 사람들을 만나고... 매 공연에서 관객들의 모습을 담을 때마다 믿을 수 없다는 생각을 자주 한다. 한국, 멕시코, 싱가폴, 유럽. 어떻게 이렇게 된 거지?
        비 : 아직도 크레이지(Crazy)하다.
        루비 : 쿨하고 놀라운 '블랙홀'같다. 수많은 사람들과 연결되면서 모든 걸 삼켜버리는.
        해리 :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서 우주선이 황홀한 별들의 바다를 달려 나가는 장면처럼 말이다!
        소울 : 가끔 멤버들과 이 모든 일들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항상 웃고, 떠들고, 함께하며 즐겁게 생각하고 있다.

        ▶슈퍼올가니즘의 해리(Harry)

        슈퍼올가니즘은 다국적의 멤버들이 한 팀을 이루고 있다. 독특한 구성인데, 팀의 결성과 멤버들의 합류 과정을 말해달라.
        해리 : 나는 잉글랜드에서 태어났지만 뉴질랜드에서 오래 살았고, 루비와 비, 소울도 뉴질랜드에서 자랐다. 우리가 모인 곳은 런던이다. 런던은 전 세계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국제적인 도시 아닌가. 다국적 멤버들이 모였다고 해서 특별하게 생각하진 않았다. 여기에 인터넷이 큰 역할을 했다. 슈퍼올가니즘을 하기 전에도 어릴 때 소울의 옛 밴드와 함께 공연했던 기억이 난다. 밴드캠프(Bandcamp) 사이트로 이미 서로를 알고 있었다.
        소울 : 인터넷은 재능과 개성을 공유하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과거 음반 레이블, 힘 있는 여러 사람들의 여러 제한이 있었다면 지금은 특별한 장면과 음악은 밈(Meme)이 되고 즉각 유행이 된다. 해리의 음악, 오로노의 음악 모두 온라인으로 미리 듣고 공유하며 서로 연결되는 과정이 즐거웠다.
        루비 : 첫 녹음 때 오로노는 미국 메인주에 있었고 소울은 호주에서 살았다. 첫 곡을 작업할 때도 온라인을 통해 작업을 진행했다. 저녁은 호주에서, 아침은 런던에서 먹는 것처럼 국제적이었다.

        (팀의 배경처럼) 규칙과 공식 대신 자유롭고 무국적의 사운드가 특징이다. 장르에 있어서도 힙합, 일렉트로닉, 록 등 크게 구애받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음악 작업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해리 : 다시 한번, 인터넷이다(웃음). 베이스라인, 신시사이저, 기타 리프, 보컬 파트를 인터넷으로 합쳐 공유하고 합쳐나간다. 노이즈, 시끄러운 소리들, 백보컬 사운드도 마찬가지다. 자유로운 형식이고 따로 규칙은 없다.
        비 : 런던에서 합주할 때도 그렇게 모인 파일을 기반으로 음악을 만들어나간다.
        해리 : 나는 팀의 기타리스트지만 항상 기타만 치는 건 아니다. 내가 드럼 아이디어를 낼 때도 있고 멤버들이 기타 멜로디를 만들기도 한다. 우리 팀엔 좋은 기타리스트들이 많다. 각자의 아이디어와 개인의 방식을 한 데 모아서 일정한 흐름(Vibe)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소울 : 서로의 사운드 샘플 파일을 공유하면서 많은 대화를 나누고 가사, 사운드 등등 모든 분야에서 멤버들이 자유롭게 얘기를 나눈다.
        해리 : 서로에 대한 존중과 신뢰, 열정이 바탕이기에 가능한 작업이다.

        ▶슈퍼올가니즘의 루비(Ruby)

        사운드는 발랄한 편이나 'Nobody cares'나 'Everybody wants to be famous', 'The prawn song' 등 의 메시지는 발랄하지 않다. 오히려 시니컬한 편인데.
        해리 : 재밌는 질문이다. 사실 두 노래 모두 시니컬한 내용은 아니다. 'Nobody cares'에서 하고 싶었던 말은 '야, 그냥 하고 싶은 대로 해. 아무도 널 신경 쓰지 않아!'였고, 'Everybody wants to be famous' 역시 '셀카 찍고 SNS 올리고, 네가 하고 싶은 대로 하면 된다!'를 말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건 다양한 시각과 해석이다.
        소울 : 사람들이 이 노래를 시니컬하게 받아들인다면 시니컬한 것이고, 즐겁게 받아들이면 즐거운 것이다.
        루비 : 오로노가 무대 위에서 무뚝뚝해 보일 수 있지만 우리 모두 굉장히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 '다 잘 될 거다'가 항상 핵심이다.
        해리 : 우리 음악이 흑과 백으로 나눠지는 걸 경계한다. 'The prawn song'이 언뜻 인간성을 공격하는 심각한 노래처럼 들릴 수 있겠지만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는 것이 좋다. 정답과 오답을 나누기보단 각자의 시각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NPR Desk Live나 'Congratulaions Cover' 영상처럼 독특한 소리 (탄산음료 소리 / 물소리 / 사과 먹는 소리) 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사운드 샘플 아이디어는 어떻게 얻는가.
        비 : 집, 거리 등 다양한 공간에서 아이디어를 얻는다. 흥미로운 소리에 귀를 열고, 찾아서 활용하려 한다.
        해리 : 팔레트에 다양한 색의 물감을 짜는 과정과 같다. 섞어서 다양한 색을 만들 수도 있고 단색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런던은 정말 시끄러운 도시고, 흥미로운 소리를 찾아서 음악에 활용하는 작업은 언제나 즐겁다.
        루비 : 한국, 호주, 미국 등 각 도시마다 특별한 소리가 있고 그걸 어떻게 우리의 스타일로 재구성할지 많은 이야길 나눈다. 장난감 소리, 자전거 소리 등등 넓은 콜렉션을 만들려 노력한다.
        해리 : 비주얼 작업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곳에서부터 가져온 개별 것들을 하나의 프로젝트로 엮어내는 과정이다.
        비 : 개별성(Individual)이 정말 중요하다.
        루비 : 'Congratulaions'에서 소울의 플루트 연주가 멋졌다.
        해리 : 소울이 인터넷 밈(Meme)이 된 다루드(Darude)의 'Sandstorm'을 연주하는 걸 들어봐야 한다(웃음)

        ▶슈퍼올가니즘의 비(B)

        이즘 이택용 에디터는 슈퍼올가니즘의 음악을 '깜찍한 핑크 플로이드, 발랄한 애니멀 콜렉티브, 친근한 플레이밍 립스'라 설명했다.
        멤버 전원 : 세상에! 엄청난 칭찬이다. 너무 감사하다(감탄)
        해리 : 소울은 핑크 플로이드를 제일 좋아한다.
        소울 : < The Dark Side Of The Moon >은 내 인생의 앨범이다.
        루비 : 처음 런던에 봤을 때 갔던 공연이 플레이밍 립스 공연이었다.
        해리 : 플레이밍 립스 공연 본 적 있나? 정말 대단한 무대다.
        소울 : 엄청난 아이디어들이 넘친다. 소리와 비주얼이 한 데 합쳐져서 황홀한 장면을 만든다.
        해리 : 세 밴드들로부터 많은 음악적 영감을 받았다.
        비 : 정말 마음에 드는 칭찬이다. 다른 사람들에게 자랑해야겠다 (웃음)

        우타다 히카루의 'Coriander song', 혁오의 '강강술래'를 커버했고, 일본에서는 밴드 챠이(CHAI)와 함께 투어 하기도 했다. 협업하고 싶은 밴드나 아티스트가 있나.
        해리 : 모든 작업이 즐거웠다. 우리는 일본어 중국어를 못하고, 그 아티스트들은 영어를 못하지만 음악만으로 소통하는 과정 자체로 신났다. 신디사이저, 키보드로 잼을 하면서 말하지 않아도 '오 좋은데?'하며 통하는 경험이 특별했다. 앞으로도 어떤 아티스트들과 같이 작업할지 흥미롭다.
        소울 : 기회가 되면 항상 협업하고 싶다. BTS 같은 케이팝 밴드, 캬리 파뮤파뮤 같은 일본 밴드도 마찬가지다.
        비 : 슈퍼올가니즘이 지향하는 방향과도 일치한다. 세계 다양한 아티스트들과 의견을 나누고 노래를 커버하며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슈퍼올가니즘이 지향하는 방향과 팬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다면.
        루비 : '쩌는 뭔가'를 만드는 거다(Making Cool Shit). 이 멋진 지구촌을 슈퍼올가니즘이란 거대한 우주선을 타고 여행하며 세계 곳곳의 아티스트들과 함께 작업하고 계속 음악을 만들어나가는 것.
        소울 : 팝스타나 아티스트로 다가가는 것도 좋지만 팬들에겐 이런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다. 당당히 표현하고 멋지게 이상화하라.
        해리 : 우리도 우리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있고, 다양한 피드백과 의견, 창작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서로를 서포트하는 것이다. 팬들에게 감사하다.
        비 : 소울의 이모, 삼촌에게도 감사하다 (웃음)

        ▶슈퍼올가니즘의 소울(Soul)

        인터뷰 : 김도헌, 황선업
        사진 : 김만두
        통역 : 소니 뮤직 코리아
        일정 협조 : PRM
      • 2019/01 김도헌(zener1218@gmail.com)
      • 아티클
      • 두 번째로 만난 슈퍼올가니즘, 짧았던 한국과의 조우 슈퍼올가니즘 김도헌 607
        슈퍼올가니즘(Superorganism) 인터뷰 슈퍼올가니즘 김도헌 2360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화사
        멍청이 (twit)
        • [Interview] 마더바이브 인터뷰
        • [Single] 오랜만이야 (Feat. Zion.T)
        • [Single] Middle Child
        • [Single] Harmony Hall
        • [Single] 이 노래가 클럽에서 나온다면
        • [Single] 멍청이 (twit)
        • [Album] THIRSTY
        • [Album] 살아숨셔 2
        • [Album] 마더바이브
        • [Album] WANT
        • [Feature] 아이돌인 당신, 행복하십니까. - 아라시의 활동중단으로 살펴본, 아이돌이라는 역할극의 이면
        • [News] [이즘IZM-빅퍼즐 뮤직 아카데미] ‘10주’로 풀어낸 팝의 모든 것, 시즌 2
        • [Feature] 제 61회 그래미 시상식 결산편
        • [Single] 2cm (Feat. 폴킴)
        • [Single] Special
      • 인기 콘텐츠
      • "수민 인터뷰"

        수민(sumin)

        "박지민 인터뷰"

        박지민

        "슈퍼올가니즘(Superorganism) 인터뷰"

        슈퍼올가니즘(Superorganism)

        "까데호(Cadejo) 인터뷰"

        까데호(Cadejo)

        "박창근 인터뷰"

        박창근

        "마더바이브 인터뷰"

        마더바이브(Mothervibes)





      • Editors' Choice
      • No One Ever Really Dies
        엔이알디
        [정효범] 7년 만에 마주하는 정규 앨범. 여전히 흥겹고, 세련미 넘치는 음악!
      • 팟 캐스트더보기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8회 2부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정민재의 Top Artist : Hot&Cool · 김반야의 Yes, I`m A Witch · 이택용의 What`s Going On?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