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Feature    특집
      • 뉴트로 특집 VOL.1 : ‘레트로 아니, 뉴트로 마니아’의 시대
      • DATE : 2022/04   |   HIT : 1687
      • by 박수진
      • 복고가 뭐길래. 이리도 오랜 시간 전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특히 '젊은 세대'에게도 사랑받는 것인가. 한 번쯤은 떠올렸을 궁금증이다. 이에 이즘이 '뉴트로 특집'을 준비했다. 먼저 박수진 필자가 '레트로 아니, 뉴트로 마니아의 시대'란 제목으로 복고(레트로)와 뉴트로의 정의를 알리고 오늘날 뉴트로가 사랑받는 이유에 대해 정리한다. 이 흐름 안에서 짚고 가면 좋을 국내외 대표 아티스트도 함께 언급했다고 하니 복고 열풍을 이해하는 좋은 지침서가 될 듯하다. 특집들은 한 주의 차를 두고 공개된다.


        복고가 대중음악의 트렌드로 자리한 것은 최근의 일이 아니다. 2007년, 1970년대 디스코를 복각한 원더걸스의 'Tell me'가 전국에 선풍적인 반향을 일으킨다. 다음 해인 2008년, 그들은 1960년대 흑인 보컬 그룹 슈프림스의 콘셉트를 '재연'한 'Nobody'로 인기를 이어가는데 이는 미국 시장 진출의 발판이 되기도 했다. 진출 이상의 성과는 없었지만 당시 시야를 해외로 옮길 만큼 원더걸스의 인기는 대단했다. 복고와 함께한 성공이었다.

        근 15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도 복고는 음악 곁에 있다. 지역이나 문화권을 뛰어넘은 전 세계적 흐름이다. 해외 음악 시장을 보자. 데뷔 초 'Marry me', 'Just the way you are' 등 달콤한 팝을 하던 브루노 마스가 'Treasure', 'Uptown funk', '24K magic' 등의 펑크(Funk)를 주력으로 삼은 지 오랜 시간이 지났다. 도자 캣의 긴 무명 시절을 끝내 준 효자곡 'Say so' 역시 디스코, 펑크를 근간으로 하고 게일을 한순간에 스타로 만든 'abcdefu' 또한 2000년대 초반 팝펑크를 여기로 이식한다. 신시사이저를 근사하게 채색한 해리 스타일스의 신곡 'As it was'는 현재 빌보드 싱글차트 2위를 순항 중이다.


        복고의 의미를 따져볼 필요성을 느낀다. 복고, 즉 레트로(retro)는 회상, 회고, 추억이라는 의미의 영어 단어 'retrospect'로부터 파생했다. 과거의 '재현'을 통해 향수를 느끼고 추억을 되새기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해리 스타일스의 'As it was'를 듣고 그때 그 시절 떠올리는 (아마도) 중장년층에게 이 곡은 레트로다. 반면 추억이 없는 1020세대에게 이 곡이 지닌 복고적인 특성은 '색다름'이며 '새로움'이다. 이때는 '뉴트로'다. '새롭다'라는 뜻의 new와 '복고'의 retro가 합쳐진 신조어 '뉴트로'는 이렇게 레트로와 종이 한 장 정도의 차이를 가진다.

        레트로와 뉴트로를 굳이 나누는 것은 한국 한정 현상이다. 책 < 트렌드 코리아 2019 >에서 뉴트로를 새해 소비 트렌드 전망으로 꼽으며 대중화됐다. 레트로 콘셉트의 음악에 이렇다 할 추억이 없는 젊은 세대에게 복고가 계속해서 큰 관심을 끄는 것이 키워드화 될 정도로 붐인 것이다. 도대체 왜. 다수의 전문가는 해답을 디지털 매체의 발달에서 찾는다.


        2017년 익명의 '유튜브' 계정에 타케우치 마리야의 곡 'Plastic love'가 업로드됐다. 2022년 현재 5천만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발매된 지 30년도 더 된 이 곡이 별다른 맥락 없이 향수를 불러일으킨다는 이유로(위 영상의 댓글 창을 보자) 소환되고 회자했다. 그렇게 불어온 시티팝 열풍이 유튜브 알고리즘 추천을 타고 국내까지 번졌다. 빛과 소금의 '샴푸의 요정'이 젊은이들의 귓가를 쓰다듬었고, 김현철은 10년 만의 정규 음반을 발표한다. 백예린, 아이유, 태연, 브레이브 걸스 등이 시티팝 스타일의 노래를 불렀다.

        나아가 소셜 미디어 사용이 확대되며 뉴트로가 '확산'되는 속도가 빨라졌다. 2020년 한 틱톡커(Tiktoker)가 스케이트보드를 타며 플리트우드 맥의 'Dreams'를 따라 부르는 영상을 올린다. 이 영상이 입소문을 타며 1977년에 발표한 곡이 43년 만에 빌보드 싱글 차트 12위까지 등극했다. 최근 국내의 각종 숏폼 플랫폼에서는 이럽션의 'One way ticket'이 활약 중이다. 1980년 방미가 '날 보러와요'로 번안하며 인기를 끈 이 노래가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원곡으로 다시 사랑받고 있다. 곡이 가진 '뽕끼'와 촌스러운 익살스러움이 젊은 층에게 개성과 재미로 먹혀들었기 때문.

        앞으로 달려 나가는 사회에서 자꾸만 뒤를 돌아보는 이유는 무엇일까? 디지털 매체가 발달하고 소셜 미디어 사용이 확대된 오늘날 우리가 찾는 새로움이 '미래'가 아닌 '과거'에 더욱 쏠려 있다는 것은 복고가 전하는 메시지가 무언의 설득력을 가진다는 것을 뜻한다. 이제 막 30대 초입에 들어선 필자는 그 답을 현실의 퍽퍽함에서 찾고자 한다. 기술 매체의 발달이 되려 팽팽한 긴장감으로 치환되는 지금 우리네 사회는 앞을 내다볼 여유가 없다.


        영국의 저명한 평론가 사이먼 레이놀즈는 < 레트로 마니아 >라는 책에서 레트로 문화를 강도 높게 비판한다. 그는 “문화에서 레트로 마니아는 이제 지배적 우상을 넘어 임계점에 다다른 느낌”이라 말하며 “문화가 노스탤지어에 매달려서 앞으로 나갈 힘을 잃은 걸까, 아니면 문화가 더는 앞으로 나가지 않아서 결정적이고 역동적이던 시대에 노스탤지어를 느끼는 걸까”라는 질문을 덧붙인다. 일면 타당한 시선이다. 재창조가 받침 되지 않는 복고는 완벽한 재현(혹은 재연) 이상의 함의를 띄지 못한다.

        그렇기에 언제든 가져다 쓸 수 있는 과거의 다양한 유산들은 자칫 그것이 음악의 전부가 될 경우 질적 하락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번 글에서 복고가 사랑받는 이유에 대해서 분석하며 현실의 바로미터를 파악했다. 이어질 특집을 통해 레트로, 아니 뉴트로 마니아의 시대 복고를 듣기 좋게 재창조한 곡들을 소개한다. 대중문화를 사로잡은 '과거 앓이'가 자기복제 이상의 가치 창출로 뻗어나가길 바라며, 다음 특집도 재밌게 읽어주시길.
      • 2022/04 박수진(muzikism@naver.com)
      • 최근 업데이트
      • Feature
        [김도헌의 실감, 절감, 공감] 유희열 표절 의혹, 신뢰를 회복하려면
        • [Feature] [무비즘] 에이미
        • [Feature] [김도헌의 실감, 절감, 공감] 유희열 표절 의혹, 신뢰를 회복하려면
        • [News] [이즘IZM 뮤직 아카데미 #2] 신규 강의 및 소모임 개설 안내
        • [Feature] [한국 대중음악의 재발견] '그대에게 띄우는 편지'
        • [Feature] 마이클 잭슨 13주기 추모 행사 현장 스케치
        • [Album] We
        • [Feature] [무비즘] 아치의 노래, 정태춘
        • [Single] Falling from the sky
        • [Single] Cash in cash out (Feat. 21 새비지,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
        • [Single] 고백하는 취한밤에
        • [Single] Yet to come
        • [Album] Joy
        • [Feature] 사운드 오브 뮤직(The Sound Of Music, 1965)
        • [Album] 기착寄着
        • [Single] Lost
      • 인기 콘텐츠
      • "당신을 위한 프로그레시브 록 입문곡 10선"

        "차트 역주행 특집 VOL 3. IZM 필자들이 뽑은 '역주행 되기를 바라는 곡'"

        "아이돌 역사를 빛낸 노랫말 명작 1부"

        "EDM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1)"

        "뉴트로 특집 VOL.2 : 12곡으로 살펴본 뉴트로"






      • Editors' Choice
      • 욕심의 반대편으로
        최유리
        여름의 초입, 문득 고개를 돌렸을 때 이른 가을을 마주하다.
      • 팟 캐스트더보기
        • EP. 4 : 오디션 프로그램, 영국 음악을 거쳐 해리 스타일스까지!
        • [요즘 음악] 1회 ‘걸크러쉬’ 콘셉트, 그 맥락의 변화와 눈 여겨볼 노래 ...
        • [뮤직 클라우드] EP. 3 : 내 인생의 음악 with 장준환 편집장
        • [뮤직 클라우드] EP. 2 : 내 인생의 음악 with 임동엽 필자
        • [뮤직 클라우드] EP. 1 : 내 인생의 음악 with 염동교 필자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