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Album    OST
      •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Black Panther: Wakanda Forever)
        2022
        Various Artists
      • DATE : 2022/11   |   HIT : 1224
      • by 김진성
      • 2020년 8월 배우 채드윅 보즈먼(Chadwick Boseman)의 사후, 할리우드 공동체에 애도의 물결이 일었다. 이 세상에서 그의 영원한 부재는 또한 두 번째 시리즈 <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Black Panther: Wakanda Forever)의 이야기 전개에 대한 전폭적인 수정을 요구했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의 새로운 유망주로 급부상한 고인에 대한 예식을 속편의 중대한 대목으로 투영해냈다.

        슈퍼 영웅 영화에 관객들이 보통 기대하는 재미와 흥미진진한 액션에 충실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주인공 배우의 죽음, 애도, 그리고 유산을 기리는 자리를 마련해 그야말로 지구촌 “찐팬”들의 슬픈 마음을 달래주겠다는 양동 전략(?) 보스만의 트찰라 왕의 공백에 따른 중력은 여동생 슈리(레티티아 라이트 분)가 승계하고, 곧 그녀가 이웃 탈로칸 왕국의 공격으로부터 나라를 지켜야 하는 상황에서 영화는 진정 지도자란 무엇이고, 누가 그 강력한 왕권의 주인이 될 것인가라는 깊고 의미 있는 탐구에 관객을 초대한다.

        속편의 중심에는 원작의 주요 여배우들이 재 등용되었으며, 슈리 역의 레티티아 라이트를 위시해, 라몬드 역에 안젤라 배싯, 나키아 역에 루피타 뇽오, 오코에 역에 다나이 구리라와 같은 여성 블랙 투사들이 전면에 나섰다. 그야말로 여권신장(!) 영화의 본질적 경향은 음악에도 반영되어 나타난다. 바베이도스 출신 여가수 리한나(Rihanna), 나이지리아 여가수 템스(Tems), 멕시코 여가수 겸 작곡가 비비르 퀸타나(Vivir Quintana)와 멕시코시인 마레 아드베르텐시아 리리카(Mare Advertencia Lirika), 여가수 파우디커쉬(Foudeqush), 미국 래퍼 스노우 타 프로덕트(Snow Tha Product)가 그 면면들. 켄드릭 라마(Kendrick Lamar)가 원작의 주인공이었다면 속편에선 다수의 여성을 필두로, 다국적 음악 예술가가 따로 또 같이 합심했다.

        여러 노래가 영화 내외로 포함된 한편, 전반적인 스코어는 루드비히 괴란손이 지휘봉을 다시 잡았다. < 블랙 팬서 >로 아카데미 음악상을 거머쥔 원조 작곡가의 귀환은 당연지사. 공들여 연구한 범아프리카의 민속음악과 미국의 서부음악을 혼합한 음악으로 극의 독자성을 확립하고, 그 진가를 인정받은 괴란손의 이번 음악은 전과 거의 같은 구성이다. “와칸다 포에버”에서 그의 음악은 전통 아프리카 타악기와 가창을 혼합한 대규모 오케스트라가 여전히 지배적이지만, 전보다 더 많은 전자음악을 구성요소로 사용했다는 점이 차이. 덧붙여 2편에서 가장 흥미로운 멕시코 고대 마야 문명에 근거한 음악적 접근법이다.

        당대 존재했던 악기들을 포함해 마야인들의 음악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악보를 써내기 위해 괴란손은 마야 문화에 대한 지식을 가진 음악 고고학자, 민속 음악학자, 그리고 멕시코 토착 전통 음악가들과 함께 작업을 진행했다. 와칸다의 적국 네이머 왕자가 통치하는 해저 왕국 탈로칸 음악을 본질적인 차원에서 유출해내기 위해 점토로 만든 플루트에서 거북이 껍질까지, 다양한 토속 타악기와 목관악기를 실험적으로 사용했다. 일례로 '데스 휘슬'(Death Whistle)과 같은 악기는 해골 모양에서 비명과 같은 소리를 뿜어내는데, 멕시코 아스테카 문명의 특별한 의식이나 타민족과의 전투에 사용했던 것에서 유래했다.

        와칸다의 아프리카 문화를 묘사하기 위해 괴란손은 세네갈 가수 바바 말(Baaba Maal)과 타악기 연주자 마삼바 디옵(Massamba Diop)을 연임한 한편, 서아프리카의 현악기 코라(Kora)를 편성했다. 기타와 하프의 복합적인 소리를 내는 코라는 트찰라의 죽음을 애도하는 국가적 비탄을 묘사한 면에서 스코어의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메소아메리카 음악 구현을 위해 괴란손은 나이지리아 싱어송라이터 템스(Tems)와 멕시코 가수 파우드퀴시(Foudeqush)를 포함해, LA와 런던에서 20인조와 40인조 합창단을 대동했다.

        고대 민속과 전통문화에 뿌리를 댄 음악이 극의 배경 무대 설정에 따른 고증인 반면, 전자음악의 강조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진 건 특히, 슈리 블랙 팬서와 리리 윌리엄스의 아이언 하트, 두 캐릭터와 연관한다. 이야기의 중심에서 두 천재 기술자가 갖는 개성은 고전이나 전통보다 최신 힙합과 리듬 앤드 블루스에 훨씬 더 천착해 있으며, 일렉트로닉 전자음악적인 면의 증대는 힙합 아티스트 차일디시 갬비노(Childish Gambino)와 함께 그래미를 수상한 괴란손의 이력을 고려할 때 더욱 고무적인 결과물로 표출된다.

        스코어는 결국 아프리카의 전통 음악과 마야 문명의 전통적인 음악을 탐구하고, 현대 전자음악을 캐릭터 성향 강조를 위해 보강함과 동시에, 회고적 성찰의 순간과 영웅적인 액션 장면을 강화하는 요소로 오케스트라를 동원하는 식이다.

        영화의 서막을 알리는 곡 'Nyana wam'은 트찰라의 장례식 장면의 감정적인 면을 보강하고, 배우 채드윅 보즈먼과 작별을 고하는 의미로 또한 작동한다. 바바 말의 강렬한 보컬과 타악기로 시작해 오케스트라와 합창에 의해 엄숙하고 감정에 호소하는 곡조는 매우 감동적이다. 이와 유사한 방식을 취한 지시 곡 'Welcome home'은 와칸다의 풍광과 빛나는 수도 장면을 수반해 거칠고 웅장한 오케스트라 협주를 들려준다.

        와칸다 왕실 경비 여성 특수부대 도라 밀라제(Dora Milaje)를 위한 함성 'tuk tuk tuk'은 활기찬 'We know what you whisper'를 통해 재생된다. 노래 'They want it, but no'의 영화 버전은 보스턴 자동차 추격 장면을 반주하고, 결정적인 액션 장면을 보강하는 한편, 도라 밀라제의 장군 오코예와 호위병 아요를 위한 영웅적 활극에 뒤따르는 주요 악상으로 반복 연주된다.

        탈로칸 종족의 문화적인 음악은 유령처럼 출몰하는 'Sirens'에서 첫선을 보인다. 비비어 퀸타나와 메어 아드베르텐시아 리리카의 보컬이 특징인 이 곡은 부주의한 선원들이 바다의 목소리에 이끌려 운명에 처한다는 설화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마야 문명에서 유래한 휘파람(Whistle)과 타악기를 동반한 목 노래(Throat-singing)를 결합한다. 비관습적이고 도전적이지만, 영화의 맥락 안에서 매혹적이고 정통한 음악 구성이다. 또한 해저 왕국의 탈로칸 종족의 특성을 반영해 호흡 소리를 이용한 괴란손의 발상이 돋보인다.

        이와 유사한 여러 악상은 'Namor', 'Arboles bajo el mar'의 영화 버전, 'Lost to the depths', 활기찬 'Yucatan', 그리고 코라의 서정적인 현악, 강렬한 죽음의 휘파람이 가미된 'Let us burn it together'와 같은 몇몇 지시 악곡(cue)에서 탐구된다. 울부짖은 후두음과 토속적인 리듬을 특징으로 관현악 협주, 전자음이 연합해 위협적이고 공격적인 점강음으로 증대하는 곡 'Namor's throne'에서 등장하는 네이머 왕자를 위한 반복 모티프는 와칸다 군과 싸울 때 액션 음악에 내재하고, 슈리와 일대일 대적할 때 다시 나타난다. 파우디커쉬로 유명한 멕시코 가수 파올라 말도나도의 노래 'Con la brisa'의 영화 버전은 네이머가 슈리에게 자국의 아름다운 해저 수도를 소개하는 장면에서 영화의 문맥에 맞게 매우 몽환적이고 마법적인 분위기의 전자음악을 들려준다.

        친근한 가족 드라마와 통렬한 감정의 순간을 위해 괴란손은 영국 싱어송라이터 조자 스미스(Jorja Smith)의 부드러운 음색을 투영했다. 코라를 포함한 현악 화음을 결합해 풍부한 느낌을 강화한 음악은 'He wasn't there'와 'Mama'와 같은 지시 악곡에서 확인할 수 있다. 'Who did you see'는 슈리를 위한 전자음악적 악상이 전면에 나오는 곡으로 마야의 휘슬과 결합해 점점 더 거칠고 강렬해지면서 분노와 비통함의 정서를 내면에서 키운다. 'Wakanda forever'에서 마침내 절정에 달하는 이 주제는 관현악 협주의 지원을 받은 생생한 전자화음과 함께 융기하고 원작 스코어의 블랙 팬서/와칸다 테마를 슈리에 맞게 다시 소환 편곡해냈다. 이는 곧 슈리가 자국민을 구하기 위해 죽은 오빠의 대를 이어갈 것임을 관객에게 인식시켜주는 주제 의식의 표명이다.

        주요 액션 장면에 쓰인 스코어의 첫 지시 악곡은 'Imprrius rex', 네이머가 와칸다 수도를 공격할 때 나온다. 괴란손은 여기에 아프리카 타악과 보컬, 그리고 마야의 타악과 보컬을 함께 써 대치시키는 방식을 취했다. 상대적인 두 사운드 패턴은 일련의 활기찬 오케스트라 악절 속에서 충돌하면서 좌중을 압도한다. 탈로칸 족의 'Sirens'와 와칸다 경비대 도라 밀라제의 'tuk tuk tuk'의 대결 구도도 흥미로운 대목.

        다음 액션 음악은 'Yibambe!'와 'Sink the ship', 이 두 원투펀치는 대서양 복판 거대한 전함에서 벌어지는 와칸다와 탈로칸의 대결을 강조한다. 첫 액션 음악과 마찬가지로 대규모 오케스트라, 아프리카 타악기와 보컬, 마야의 타악기와 보컬, 이 세 가지 구성요소가 충돌하는 가운데, 네이머의 모티프와 도라 밀라제의 모티프가 두드러진다. 한편 슈리의 존재감을 보조하는 전자음악이 다양한 질감으로 섞여 나온다.

        와칸다 백성의 새 지도자로서 그녀의 지위를 반영한 작법. 매우 서사적이면서도 공상과학적이고, 특유의 민속적인 음악 질료까지, 상당히 복합적인 감정을 불러내는 다민족, 다 장르 음악을 절묘하게 조화해냈다. 괴란손은 때로 고래의 노래나 돌고래의 소음 표본을 이용해 해저 왕국 종족 탈로칸을 음악적으로 특성화한다거나 배음 창법을 이용한 목 노래(Throat singing)를 곡 구성에 혼용하는 식으로 인상적이고 놀라운 음향 효과를 냈다.

        종극에 네이머와 슈리는 최후의 결전을 하고, 이 연속 장면을 지시하고 보강하는 곡인 'It could have been different'와 'Vengeance has consumed us'가 나온다. 극의 정점에 해당하는 이 장면의 곡에서 슈리를 위한 전자음악은 전면에 나서며, 현악과 합창이 고상하고 아름다운 비가를 협연해낸다. 이는 곧 트찰라의 블랙 팬서 유산을 최종적으로 받아들이고 그 존귀함을 기리는 의미의 음악적 묘사이다. 두 번째 큐의 끝에서 블랙 팬서의 테마를 거대하고 영웅적이며 애국적인 묘사로 변주해낸 방식은 와칸다의 새 리더로서 슈리의 새로운 정체성을 재확인해준다.

        'Alliance'에서 탈로칸 음악을 최종 방문하면서 스코어는 장대한 서사 액션의 막을 내린다. 다음 영화에서 다시 등장할 그들을 불길한 음조의 곡으로 설정했지만, 온화하고 희망적인 코라 현으로 시작 전개해 블랙 팬서 테마로 폭발하는 피날레 'T'challa'는 슈리가 마침내 장례식 복장을 태우는 의식으로 오빠의 명예를 기리는 것과 트찰라와 나키아 사이에 숨겨둔 아들이 있다는 희망적인 복선을 제시하는 의미를 담은 곡이다.

        오스카 승자 괴란손은 원작의 후속편 “와칸다 포에버”에서 다시 한번 정교하면서 다면적인 스코어를 작곡했다. 본질적으로 대서양의 서로 다른 두 고대 문화의 부족 음악에 근거했으며, 현대의 음악 양식과 절묘하게 결합해냈다. 고증적인 한편 대중적인 요소를 두루 갖췄다. 영화의 이야기 전개에 수반한 스코어의 전반부는 원시적 추상성과 실험적인 면이 다분하지만, 이후에는 대규모 액션과 다문화적 음악 스타일이 상호작용하면서 매우 강력하고 인상적이다. 독자적 창의성과 탐구적 진정성, 그리고 섬세한 면모를 재입증한 작품.

        고증적 양대 문화와 현대 음악의 조화가 대중 지향적 노래 사운드트랙에도 적용된다는 점은 더욱 흥미롭고 주목할 만하다. 스코어와 노래는 따라서 따로 놀지 않고, 서로 물이 흐르는 것처럼 유동적으로 상통한다. 이질감이 아닌 동질감을 충분히 느낄 수 있게 집중력을 높였다. 모음집으로 발매된 앨범 수록곡 총 20곡 중 괴란손은 14곡을 공동 작곡하고, 17곡을 제작했다.

        자메이카의 국민 영웅 밥 말리(Bob Marley)의 레게 명곡 'No woman, no cry'를 다시 부른 템스의 리메이크 제작을 포함해, 작곡과 제작에 참여한 리한나의 'Lift me up', 파우디커쉬의 'Con la brisa', 마야 언어로 부른 랩 송 'Laayli' kuxa'ano'one'이 대표적인 예. 에이디앤 마야 콜렉티보(ADN Maya Colectivo)의 'Laayli' kuxa'ano'one'은 팻 보이(Pat Boy), 얄렌 케이'우히(Yaalen K'uj), 올 마얀 위니크(All Mayan Winik)가 동참해 노래했으며, 종영인물자막과 함께 나온다. 앨범으로 출시한 음반은 미국 빌보드 200순위 12위, 사운드트랙 앨범 순위 1위를 차지, 원작에 이어 그 진가를 다시금 인정받았다.

        -수록곡-
        1. Nyana wam
        2. We know what you whisper
        3. Sirens
        4. Welcome home
        5. Lift me up ? 스코어 버전(작곡 리하나, 템스, 라이언 쿠글러, 루드비히 괴란손, 연주 조슬린 쿠글러)
        6. He wasn't there
        7. Namor
        8. They want it, but no ? 영화 버전(작곡 토비 노위그웨, 루드비히 괴란손, 공연 토비 노위그웨와 팻 노위그웨)
        9. Arboles bajo el mar ? 영화 버전(작곡 알레한드로 네스토 멘데스 로하스, 비비르 퀸타나, 마레 아드베르텐시아, 루드비히 괴란손, 공연 퀸타나, 리리카)
        10. Lost to the depths
        11. Con la brisa ? 영화 버전(작곡 안젤리카 파올라 말도나도 플로레스='파우디커쉬', 루드비히 괴란손, 연주 파우디커쉬)
        12. Yucatan
        13. Let us burn it together
        14. This will mean war
        15. Namor's throne
        16. Imperius rex
        17. Mama
        18. Who did you see?
        19. Wakanda forever
        20. Blood for blood
        21. Yibambe!
        22. Sink the ship
        23. It could have been different
        24. Vengeance has consumed us
        25. Alliance
        26. T'Challa
      • 2022/11 김진성(jinsung@izm.co.kr)
      • 앨범 리뷰
      •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Black Panther: Wakanda Forever) Various Artists 김진성 2022 1224
        이야기해주세요 - 세 번째 노래들 Various Artists IZM 2019
        포크라노스 컴필레이션 Vol.1 `EMERGING` Various Artists IZM 2017
        튠업 헌정 앨범 신중현 The Origin Various Artists IZM 2017
        들국화 30 Various Artists IZM 2015
        무한도전 영동고속도로 가요제 Various Artists 김도헌 2015 12397
        사랑가 Various Artists 홍은솔 2015 4153
        인디 20 Various Artists 이기찬 2015 3407
        제비다방 컴필레이션 2015 Various Artists 정민재 2015 3764
        언프리티 랩스타 컴필레이션 Various Artists 김도헌 2015 6797
        그 여자 작사 그 여자 작곡 Various Artists 한동윤 2014 3629
        바람은 강물을 만났을까 (Tribute To 故 이주원) Various Artists 이기선 2014 4096
        무한도전 자유로 가요제 Various Artists 이기선 2013 10212
        ECI Allstars 2013 Various Artists 한동윤 2013 3800
        New Days & New Beginning (Ten Years After : Pastel Music 10th Anniversary) Various Artists 이기선 2013 4482
        Reborn 산울림 Various Artists 이수호 2012 7180
        Save The Air : Green Concert Various Artists 임도빈 2010 5627
        시장이 시작이다 Various Artists 한동윤 2010 4368
        홍대인디밴드들의 월드컵 Be The Reds, Go Devils Various Artists 조아름 2010 6290
        슈퍼스타K Top 10: Love Various Artists 성원호 2010 8072
        Beyond : The Second Wave Various Artists 이대화 2009 5236
        MBC 음악여행 라라라 Various Artists 성원호 2009 7928
        Blue Brand : 12 Doors Various Artists 이종민 2009 5365
        A&R Sulco.1 Various Artists 한동윤 2009 5241
        Beyond Various Artists 이대화 2008 4742
        2008 대한민국 Various Artists 한동윤 2008 7788
        MBC 창작동요제 25주년 기념 음반-스타가 부른 동요 베스트 Various Artists 정성하 2007 12913
        The Hero Various Artists 정성하 2006 4889
        Go For The Final Various Artists 김두완 2006 5585
        Imagination 2006 Various Artists 윤지훈 2006 5608
        12 Memories Of Love Various Artists 이민희 2006 7440
        The Heaven Various Artists 이대화 2006 4928
        Remade 0506 눈 속, 기억의 조각 Various Artists 김소연 2005 6029
        다시 부르는 노래 Various Artists 신혜림 2005 7451
        The Sound Of Young Sweden; Blue Various Artists 이지연 2005 4571
        Bossa in Italy Various Artists 이민희 2005 4813
        New K-Pop Compilation Various Artists IZM 2005
        V.A. – 제15회 유재하 음악경연대회 Various Artists 배순탁 2004 6590
        Vol 1 Various Artists 김獨 2004 4794
        Master Plan Presents Change The Game Various Artists 김獨 2004 6377
        Miracle Vol.1 Various Artists 신혜림 2004 8273
        Color Of The Soultrain Various Artists 김소연 2004 5731
        Our Nation 6 Various Artists 안재필 2004 5109
        Funny Day? Funky Day! Various Artists 주선규 2003 5559
        Amazing Christmas Various Artists 김獨 2003 6492
        Blue Christmas Various Artists 김獨 2003 4570
        Summer Vacation In SMTOWN.COM Various Artists 김소연 2003 4752
        Dance Fever #01 Various Artists 김소연 2003 4239
        No More War Various Artists 김소연 2003 5668
        Dance Fever #01 Various Artists 김소연 2003 5412
        편지함4 Various Artists 엄재덕 2003 4541
        SLUG.er Present: Hip Hop Scene Various Artists 김지혜 2003 5257
        편지함 Various Artists 엄재덕 2003 5712
        프로젝트 X Various Artists 이석원 2003 6122
        Unforgettable Various Artists 이석원 2002 5300
        Our Nation 5 Various Artists 이민희 2002 5058
        The Winter Various Artists 이민희 2002 5288
        To Be Glorious Various Artists 이민희 2002 4988
        Carmine Appice′s Guitar Zeus Korea Various Artists 안재필 2002 5704
        2000 대한민국(大韓民國) (천리안) Various Artists 하광화 2000 6988
        겨레의 노래 1 Various Artists 정성하 1990 5516
      • 최근 업데이트
      • Album
        쟈드
        Retrospect
        • [Album] 이름의 장: Temptation
        • [Album] The Fifty
        • [Album] Retrospect
        • [Album] 찰나 (刹那)
        • [Single] Flowers
        • [Single] 환상
        • [Single] Vibe (Feat. 지민 of BTS)
        • [Single] Love war (Feat. 비오)
        • [Feature] IZM 필자들이 처음 듣자마자 반해버린 곡
        • [Feature] 신촌블루스 디스코그래피 돌아보기
        • [Single] Rumble
        • [Single] 신이했어 (Feat. 떠그 민)
        • [Single] Beautiful liar
        • [Single] 정류장
        • [Interview] 엄인호 인터뷰
      • 인기 콘텐츠
      • <Error>

        이찬혁

        <Born Pink>

        블랙핑크(BLACKPINK)

        <Lowlife Princess: Noir>

        비비(BIBI)

        <28 Reasons>

        슬기

        <Antifragile>

        르세라핌(LE SSERAFIM)

        <First Of All>

        박혜원(HYNN)





      • Editors' Choice
      • A Tribute To Ryuichi Sakamoto - To The Moon And Back
        류이치 사카모토(龍一坂本)
        불씨를 꺼뜨리지 않기 위한 염원의 날갯짓으로 다시 피어오르다.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 클라우드] EP. 24 : 국내외 음악계 뉴스 5 (뉴진스 'OMG' 뮤비 논란, 이영지 쇼미 우승, VMC 해체, 코첼라 라인업 공개, 컴백 아티스트)
        • [뮤직 클라우드] EP. 23 : 염동교의 영화음악 / 노래방 힛뜨송 wit...
        • [뮤직 클라우드] EP. 22 : 2023년이 기대되는 뮤지션 그리고 카니예...
        • [뮤직 클라우드] EP. 21 : 2022년 연말결산 Part 2_국내/해외...
        • [뮤직 클라우드] EP. 20 : 2022년 연말결산 Part 1_국내/해외...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