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즈의 마법사 >의 주제가 'Over the rainbow', < 모정 >의 주제가 'Love is a many-splendored thing', < 티파니에서 아침을 >의 주제가 'Moon river'와 함께 “추억”이란 이름으로 우리 기억을 잠식한 명화의 주제가.
베테랑 감독 시드니 폴락(Sydney Pollack)이 연출한 영화 < 추억 >(The Way We Were)은 바브라 스트라이샌드(Barbra Streisand)와 로버트 레드포드(Robert Redford)가 각각 여우 주연 케티 모로스키(Katie Morosky)와 남우 주연 허블 가드너(Hubbell Gardiner) 역을 연기했다. 시나리오 작가 아서 로렌츠(Arthur Laurents)가 1937년 코넬 대학 학부 시절 실제 경험담에 근거해 창작한 각본을 영화화한 작품.
실화에 바탕을 둔 이야기는 서로 사랑하지만, 단념이나 화합을 통해 그 차이를 극복하지 못함으로써, 결국 헤어지는 남과 여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바브라의 케티는 목소리 큰 마르크스주의 유대인 여성인 한편, 로버트의 허블은 태평하고 정치엔 무관심한 백인·앵글로-색슨·개신교도(White·Anglo-Saxson·Protestants) 남성이다. '공정'과 '성실'의 아이콘인 케티는 급진 좌파 정치운동가이지만, 사회 기득권층으로 전형적인 미국 엘리트의 표상인 허블과 서로 다른 매력에 점점 끌린다.
|
대학 시절부터 만능 스포츠맨에 작가로 재능이 있는 허블의 가능성 알아본 그녀는 그가 더욱 발전해나가길 기대한다. 허블은 그러나 케티의 생각과 달리 할리우드의 진부한 극작가로서의 성공적인 삶에 만족한다. 아이가 생기고 그저 행복할 것만 같았던 둘에게 다시 위기가 찾아온다. 시사회실에서 도청 장치를 발견한 스튜디오 감독과 고위 경영진들이 케티의 정치적 활동에 대해 허블에게 통제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그들의 삶에 다시 균열을 일으킨다.
비미국 활동 위원회와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의 반공주의 광풍에 따라 미국인 공산주의자와 간첩 색출을 위한 '마녀사냥'이 할리우드의 영화배우와 감독, 작가 등 문화예술계, 언론인들까지 무차별하게 공산주의자로 몬 시기였음을, 영화는 상이(相異)한 두 주인공의 정치 사회적 견해와 그로 인해 반복되는 갈등 상황을 통해 보여준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핵 공포의 암울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케티와 허블은 결국 희비극적 결론에 이르고, 둘의 사랑은 “지난날의 추억”으로 남게 된다.
비평가들의 호부와 무관하게, 사랑 이야기에 끌린 대중들의 호의적 반응에 힘입어 영화는 상업적 성공을 거뒀다. 이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6개 부문 후보에 이름을 올리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여우 주연 바브라 스트라이샌드가 지명된 것을 포함, 미술, 촬영, 의상 디자인, 그리고 음악상 2개 부문 후보로 시상식에서 호명되었다. 바브라가 오스카 트로피의 주인공이 되지 못했지만, 영화의 주제곡을 쓴 마빈 햄리시(Marvin Hamlisch)의 수상은 또 다른 보상과도 같았다. 작곡가 마빈은 더욱이 주제곡에 가사를 쓴 앨런과 마릴린 버그만 듀오와 함께 시상대에 오른 것은 물론, 오리지널 스코어 수상자로 2차례 시상대에 오르는 겹경사를 누렸다.
|
작곡가 햄리시는 이 영화의 시간적 설정에 있어서 1950년대 전후 미국 문화를 알려줄 음악이 필요하다고 인지했다. 당시 인기 아티스트들의 작품들을 우선으로, 영화가 전개되는 공간의 상황이나 분위기에 맞게 선정한 몇몇 기성 음악을 사용했다. 스코어는 주제가 'The way we were'의 오케스트라 연주 또는 다양한 변주곡을 핵심으로, 성인 취향의 감상적인 전통 팝과 동시대 재즈 성향의 연주곡을 주요 질료로 채택했다. 빅 밴드 재즈 오케스트라의 반주를 기반으로 신나는 스윙과 라틴 재즈, 그리고 일상의 공간에서 편안하게 들을 수 있는 이지 리스닝(Easy listening) 장르 음악이 줄곧 흘러나온다. 주제가는 폴락 감독의 의사에 따라 영화의 처음과 끝에 수미상관으로 배치했다. 원래는 더 플라자 호텔 앞에서 케티와 허블 사이의 상징적인 마지막 장면에 음악 없이 편집되었으나, 관객들의 눈물샘을 자극하기 위해 주제가를 포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Day dreams'(백일몽)로 시작하는 가사도 바브라의 주장으로 'Memories'(추억)로 개사했다는 후문.
영화는 서서히 부상하는 빌딩 숲에 이어 대도시 뉴욕의 번화가 풍경으로 전개되는 장면으로 시작하고, 나른한 클라리넷과 브라스 협연과 경쾌한 스윙 재즈가 속도감과 상징성을 부여하며 영상을 반주한다. 라디오 드라마 녹음이 끝나고, 상사와 함께 기분전환을 위해 나이트클럽을 찾은 케티, 그녀는 마실 것이 나오길 기다리면서 주위를 살피다 지그시 눈을 감고 바의 의자에 앉은 허블을 발견한다. 조용히 그에게 다가가 이마에 붙은 머리카락을 빗겨준다. 나이트클럽의 장내에서 울리던 재즈 음악이 약해지고, 주제가 'The way we were'가 피아노 화음과 스트라이샌드의 허밍 보이스를 시작으로 재생되면서, 케티와 허블의 대학 시절 회상 장면으로 시점을 이동한다. 영화의 감정적 핵심을 포착하는 스코어링의 하이라이트, 햄리시의 멜로디와 버그만 듀오의 가사 그리고 스트라이샌드의 보컬이 삼투압 된 시대의 명곡이 숭고하게 흐르고, 근면한 운동가 케티와 다재다능한 운동선수 허블의 활동을 교차편집한 영상이 연달아 나온다. 다음 장면을 지시하는 음악, 주제가에 이어서 동시에 전개되는 화면을 통해 영화는 관객에게 이야기의 함축적 의미를 소개한다.
|
케티가 교정에서 학우들에게 집회 연설로 박수와 웃음을 산 후, 저녁으로 장면이 바뀌고 출근한 일자리 'Good Whip Bakery & Restaurant'에서는 해리 우즈(Harry Woods)가 작곡한 'River stay way from my door'가 배경 음악으로 흐르고, 케티와 허블이 도서관에서 아닌 척 서로 의식하며 공부하는 장면에 'Look what i've got'을 반주해 햄리시는 흐뭇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전 주제가와 같이 밝은 종소리 화음으로 장면을 지시하는 곡은 주제곡의 선율을 토대로 열정적인 청춘 남녀의 낭만적 분위기와 액션을 보강하는 곡조로 재구성했으며, 케티가 강의실로 달려가는 장면과 함께 밝고 경쾌한 해학적 곡조로 고조되고 강의실로 시점이 전환되면서 사라진다. 같은 수업을 듣는 케티와 허블, 교수는 기막히게 잘 쓴 글이라며 그의 글을 읽고, 케티는 감동한다. 피치카토 주법으로 뜯는 현악과 피아노, 부드러운 하프와 스트링 협연이 주제곡의 변주로 배경에 흐르고, 혼란스러운 케티는 수업이 끝난 후 뛰쳐나와 노트를 찢어 버린다. 햄리시는 그의 노래 멜로디를 시냇물처럼 영상에 흐르게 함으로써 둘의 풋풋한 사랑의 감정을 대변한다.
졸업식 댄스 파티장으로 화면이 바뀌면 빌리 힐(Billy Hill)의 'Glory of love'가 빅 밴드 재즈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시작하고, 지미 맥휴(Jimmy McHugh)의 'On the sunny side of street'가 여성 보컬과 함께 흥겨운 리듬의 재즈 반주로 장내 남녀의 춤을 지원한다. 종업원 제임스 우즈의 프랭키와 케티가 함께 춤추다 허블이 새 파트너가 되기까지 'Red sails in the sunset'과 'Wrap your troubles in dreams(and dream your troubles away)가 연달아 나오면서 분위기 있는 재즈 반주를 연계한다. 춤을 추는 사이 서로 눈빛과 체온을 교감한 케티와 허블, 다시 프랭키에게 그녀를 인계하고 뒤돌아가는 그의 뒷모습을 응시하는 장면과 함께 연주음악은 점점 볼륨을 줄여 사라지고, 네 번의 종소리 신호와 함께 다시 현재로 돌아온다. 해군 장교복을 입은 허블이 눈을 감고 앉아 있는 뉴욕 나이트클럽으로 장면이 전환된다. 자기 이름을 부르는 케티의 목소리에 잠에서 깬 허블, 배경에는 약음기를 댄 트럼펫과 색소폰이 재즈로 변주한 주제곡이 흐른다.
|
커피를 마시기 위해 취한 허블을 집으로 데려가는 케티. 택시 안에서도 스윙 재즈가 경쾌하게 흐른다. 커피를 준비하는 케티의 심정을 대변하듯 빅 밴드 재즈 스탠더드 명곡 'In the mood'가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것처럼 흥겨운 분위기를 쳐준다. 커피를 가지고 부엌에서 나온 그녀는 그가 옷을 벗고 기절한 채 침대에 누워 있는 모습을 발견하고 다가가 이름을 부른다. 이내 주전자 물 끓는 소음으로 인해 허블은 잠에서 깨 군대용어를 중얼거리고 케티가 불을 끄고 돌아올 때까지 음악은 계속된다. 다시 곤히 잠든 허블 옆에 살포시 누운 케티, 그의 앞머리를 쓸어주고, 곧이어 허블이 몸을 돌려 그녀를 껴안고 목에 입을 맞춘다. 햄리시는 주제곡으로 친밀하고 감미롭게 장면의 분위기를 감싸고 장려한 선율의 오케스트라로 감정을 고조하지만, 격정적으로 타오르지 못하고 천천히 사그라진다. 아침 제복을 다림질해 입혀 보내는 케티와 또 보자며 떠나는 허블의 장면에도 주제곡은 명징한 피아노 선율로 다시 나타난다.
얼마 후 전화를 걸어 방이 없어 함께 머물 수 없겠느냐고 묻는 그에게 그녀는 황홀한 마음으로 동의한다. 허블을 맞을 준비에 들뜬 케티, 이 순간 햄리시는 관현악 협주에 의한 주제의 희극적 변주로 기쁨과 행복으로 가득한 그녀의 감정을 표현한다, 두 주인공이 함께 등장해 교감하는 장면에는 어김없이 주제의 변주를 재현해 조응하는 식으로 작곡가 햄리시는 음악을 설정했다. 배급표를 다 쓰면서까지 저녁 식사 준비에 열정적인 케티와 허블이 집에서 정치와 책에 관한 대화를 주고받을 때도 목관악과 현악 주도의 차분하고 감성적인 주제 변주가 이어진다. 아름다운 두 주인공이 가슴 뛰는 사랑으로 맺어질 때 햄리시는 장조의 밝고 상승하는 곡조의 풀 오케스트라로 주제곡을 반주해 로맨틱한 몽타주를 완성한다.
허블의 친구 'JJ'의 집에서는 자니 블랙(Johnny Black)의 'Paper doll'이 실제 배우들의 피아노 반주와 노래로 재연되고, 노래가 끝난 후 장면이 바뀌어 허블과 케티가 약속 장소에서 다시 만날 때까지 현악 반주로 연계된다. 이 곡은 새로 쓴 책의 8장에 대해 허블이 케티에게 말할 때 현으로 재연되는 주제의 변주로 끝맺는다.
|
서로 다른 인생관과 사고방식, 지향의식의 차이로 둘의 감정은 평행선을 달린다. 케티는 그러나 작가로서 허블의 재능을 믿고, 그런 케티를 잘 알기에 쉽게 그녀를 놓을 수 없는 그는 서로 연인관계를 유지한다. 연인들이 함께 시간을 보내는 장면을 위해 햄리시는 감정을 토해내듯 주제선율로 반주해 그들의 사랑이 견고함을 재확인해 주고, 영화와 음악의 완전한 결합을 다시 성사하게 한다. 정치에 너무 열정적인 그녀는 그의 부유한 백인 기득권층 친구들과 사회적 유대를 맺을 수 없고, 그로 인해 관계는 불안정해진다. 헤어짐을 선택하는 그들에게 햄리시는 잉글리시 호른 독주로 주제곡을 애절하게 반주해 이별의 고통에 관객이 공감하게 한다. 시간이 사랑하기 때문에 헤어진 둘의 내면을 치유하고, 다시 화해한 케티와 허블은 캘리포니아 태평양 연안에서 태양 빛을 맞으며 요트를 타고 있다. 캘리포니아 말리부 해변의 보금자리에서 다시 시작한 연인들의 몽타주를 위해 햄리시는 메인 테마를 다정하고 향수 어린 곡조로 변주해 긴 몽타주에 합성한다. 장관(壯觀)에 풍요로운 부부생활을 누리는 화면의 전개에 적합하게 주제음악도 한층 더 웅려(雄壯)하고 풍성한 관현악 협주로 극의 분위기에 조응한다. 호화 고급승용차를 타고 도착한 영화감독의 저택에선 'Papa loves mambo'가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듯 배경 음악으로 나오는데, 'Red sails in the sunset'과 같이 아프로-쿠반(Afro-Cuban) 라틴 재즈의 향수를 짙게 드리운다. 이어지는 가장무도회에선 바이올린, 더블베이스, 아코디언, 여성 삼중주의 유럽풍 민요 춤곡이 분위기를 돋운다.
'Like pretty'는 말리부 해변에서 다시 저택의 실내로 화면이 바뀌고, 케이티와 허블이 함께 춤추는 장면부터 할리우드 상류층의 파티장 분위기를 이끄는 곡. 피아노와 현악의 고전적인 선율을 바탕으로 한 빅 밴드연주에 따라 느린 템포의 폭스트롯 댄스에 맞춘 음악 설정이다.
반미활동위원회가 감시대상자명단(Blacklist)을 앞세워 할리우드 제도권 인사들을 기소하고, 문화예술계의 창조 공동체를 무너뜨리려는 탄압을 시작하면서, 케티는 수정헌법 제1조의 권리 옹호를 위해 워싱턴 DC로 향한다. 허블과 제이제이, 캐롤이 대학 시절 필름을 영사해보며 환호하는 장면을 위해 햄리시는 격정적인 관현악 협주곡 'Remembering'을 깔아 젊은 날을 다시금 회상케 한다. 아내와 영화계 동료 인사들을 맞이하러 간 곳에서 주먹 다툼이 오가는 한바탕 소동에 허블이 휘말리고, 현실과 정치에 관한 상호 설전이 벌어진 후, 그들의 관계에 잠재해 있던 오랜 균열이 다시 열린다. 과거와 현재가 묘하게 교차하는 그때, 방심한 순간, 허블은 벗 제이제이의 전처 캐롤의 이별주 제안에 변심해 뉴욕으로 동행하고, 주어진 상황에 '착한 소년'처럼 순응하는 그의 태도에 케티는 실망한다.
|
허블이 각본을 쓴 신작 영화의 시사회장에서 다시 한번 서로가 진솔한 대화를 나누고, 말리부 해변을 뛰는 허블과 상념에 잠긴 케티의 장면부터 허블과 제이제이가 요트에서 케티에 대해 얘기하는 장면까지 지시 곡 'Katie'가 영상을 반주한다. 키보드 건반과 현악, 플루트, 하모니카의 협연이 향수를 불러내는 곡조는 이내 뮤트 트럼펫과 현악, 건반, 하모니카 협연의 주제곡으로 연계되며 우정과 사랑이 얽힌 추억의 감정에 호소한다. 그의 외도에 직면한 그녀, 세계 평화를 위해 저항적 정치활동에 나서는 그녀의 분노와 현실적 평온을 추구하는 그의 욕망 사이에서 둘은 서로의 이념과 인생관이 양립할 수 없음을 깨닫고, 기억 저편에 그들을 남긴 채 결국 서로 다른 길을 선택한다. 허블에게 케티는 아이가 태어날 때까지 곁에 있어 달라고 부탁한다. 다시 한번 회한(悔恨)과 애상(哀想) 조로 물든 주제곡이 케티의 눈물과 눈 덮인 뉴욕의 공원이 오버-랩 되는 장면을 타고 흐른다.
몇 년의 세월이 흐른 뒤 뉴욕으로 돌아온 두 사람은 우연히 다시 만난다. 케티는 허블과 그의 새 아내와 인사를 나눈다. 여전히 둘은 서로를 사랑하는 마음이 남아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녀는 마지막으로 그의 머리를 쓸어준다. 슬픔과 행복의 복합적 감정이 빚어낸 시원섭섭한 순간, 이루 말할 수 없지만, 눈빛과 몸짓으로 나누는 남과 여의 애틋하면서도 허전한 사랑과 이별의 종점에서 햄리시의 주제곡은 융기하며 장면을 보강한다. 여우 주연 바브라 스트라이샌드가 호소력 짙게 노래한 주제가가 뒤이어 다시 재현되면서 영화는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
삶이 복잡해지기 전의 순수한 시간에 대한 우리의 갈망을 압축해 들려주는 테마음악 'The way we were'는 그렇게 영화의 마지막을 진한 여운으로 물들인다. 시대를 초월해 가장 위대한 노래 중 하나로 손꼽히는 노래의 연상력에 힘입어 영화는 '추억'이란 이름으로 관객들의 뇌리에 각인되었다. 어느 인터뷰에서 햄리시는 주제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슬픔과 낙담, 관계의 고통과 그 결과, 연인관계에 있는 여성의 좌절과 갈망, 그리고 그 모든 불행의 교차"를 포착하는 것이 이 노래의 목표다.
앨범으로 발매된 사운드트랙 음반은 미국 빌보드 200순위 20위를 기록했으며, 50만 장 판매로 골드레코드 인증을 받았다. 스트라이샌드가 부른 주제가는 또한 싱글로 발매돼 빌보드 핫 100순위 정상 정복 후 1974년 미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음반으로 연말 순위에서도 1위를 차지했으며, 100만 장 이상의 판매로 플래티넘 레코드 기록을 세웠다.
- 사운드트랙 수록곡 -
01. The Way We Were ? 노래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3:54)
02. Red Sails In The Sunset (작곡 지미 케네디와 휴 윌리엄스) (1:43)
03. Look What I've Got (3:06)
04. Like Pretty (2:22)
05. River Stay Way From My Door (작곡 해리 우즈) (1:56)
06. The Way We Were (3:03)
07. Katie (2:29)
08. In the Mood - 작곡 윈지 메이논, 앤디 라자프와 조 갈란드(윈지 메이논의 1930년 음반 "Tar Paper Stomp"에서)
09. Did You Know It Was Me? (4:35)
10. Remembering (1:22)
11. Wrap You Troubles In Dreams (And Dream Your Troubles Away) (작곡 해리 베리스와 테드 쾰러) (3:03)
12. The Way We Were (노래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