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Album    K-POP
      •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
        1997
        장필순
      • DATE : 2008/01   |   HIT : 6798
      • by 조아름
      • 랩이 대중화되고 모든 매체가 댄스로 물들어버린 1990년대의 말, 장르는 댄스 아니면 발라드 안에서 해결되어야 잠시잠깐의 스포트라이트라도 받을 수 있었던 때에 잊혀짐을 두려워하지 않는 한 장의 음반이 나왔다.

        허스키하지만 거칠지 않은 음색으로 묵묵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노래하는 장필순은 온기가 살아있는 음악인이다. 포크음악에 기반을 두고 1980년대 초부터 대학가를 시작으로 노래하기 시작해 기교부리지 않는 목소리만큼이나 깊고 또 꾸준한 음악스타일을 고집스럽게 지켜나가고 있다.

        들국화와 조동진, 그리고 해바라기로 대표되는 한국 포크음악의 대선배 무대에 코러스와 게스트활동을 하면서 본격적인 가수 인생의 출발점을 찍고 1989년에 1집 <어느새>를 발표했다. 당대 떠오르는 별이었던 김현철이 프로듀스한 1집 앨범은 솔직히 김현철의 작품집이라는 말이 더 어울릴 정도로 장필순의 색깔을 제한적 틀에 가두고 있지만 후에 트리오 '오.장.박'(오석준, 장필순, 박정운) 활동으로 그의 보이스가 제빛을 발하기 시작한다. 이는 '내일이 찾아오면'의 히트에서도 알 수 있듯 장필순의 목소리로 높여지는 곡의 완성도는 그녀가 얼마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느냐에 대한 논지 자체를 불필요하게 만들었다.

        본격 포크맨으로의 가도를 달리게 된 건 그 때 이미 정해진 것인지도 모른다. 1990년대를 가로지르며 꾸준히 앨범을 내고 4집으로 가면서 서서히 숨겨뒀던 색채가 드러나기 시작하는데, 1~2년 간격으로 부지런히 앨범을 선보이던 그녀가 3년이란 공백 기간을 둔 후 가져온 5집 앨범은 보컬 장필순이 아닌 싱어송라이터 장필순으로 새 인생을 시작한 시점과 맞물리면서 부재의 이유가 이것이었음을 시사한다.

        조동진이 만들고 시를 붙인 첫 곡 '첫사랑'은 오랜 사부이자 동료로 장필순과 음악인생을 함께 걸어온 그가 정말 잘 주었다 싶은 곡이다. 장필순이 지닌 분위기를 최대로 끌어 올려주는 차분한 구성은 싱어 장필순을 잘 아는 그이기에 가능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어지는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 는 라디오를 통해 조용히 알려지면서 1집 '어느새'에 이은 장필순표 히트바통을 이어받은 곡이라 할 수 있겠다.

        다음 곡부터 주목할 만한 트랙들이 이어진다. '스파이더맨'의 리듬과 'TV, 돼지, 벌레'의 가사는 포크 '록'의 그것에 한층 더 가까워진 듯한데, 주의 깊게 귀 기울이지 않아도 몸에 잘 맞는 티셔츠 한 장을 걸친 것처럼 편안히 귀에 꽂힌다. 그리고 '빨간 자전거 타는 우체부' 와 '넌 항상', '사랑해 봐도'에 다다르면 나지막한 속삭임으로만 주지되었던 목소리가 록 보컬로도 꽤나 어울림에 놀라게 된다. 장필순이 가진 매력 중에서 단연히 돋보이는 층층이 겹친 음색은 '첫사랑'과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를 제외한 전곡이 키보드가 없는 심플한 연주를 하고 있음을 바로 잡아내지 못하게 할 만큼 곡의 여백을 다부지게 채워주고 있다.

        장필순은 알아도 포크음악에 대해서 세줄 이상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 드러냄에 있어 익숙하지 않고 노래를 통해 자신을 녹여내는 몇 안 되는 고무적 성격의 뮤지션이지만, 5집을 접한 후의 누구든 포크와 장필순, 그리고 그녀의 음악관에 대해 펼치고 싶은 이야기가 입안에 맴돌게 되리라 확신한다.

        그리고 당신은 이제라도 장필순의 음악을 인연으로 만들게 된 것을 다행이라 생각하게 될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음반은 갖춰지지 않아 오히려 순수했던 1980년대를 지나, 외부문화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치던 1990년대의 험한 길을 거쳐 온 티를 찾아볼 수 없는 순수지향성 짙은 음악을 들려주고 있기 때문이다.

        포크음악의 존재가 바래어가는 걸 부정할 수 없었던 그 때 장필순은 어떤 심정으로 작업에 임했을지, 두려움과 의무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이 한 장의 음반으로 말미암아 그녀의 포크에 대한 믿음과 욕심은 탄탄하게 메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서 동시에 평단으로부터 다시금 '국내에 몇 안 되는 여성 아티스트'라는 영예를 쾌척했다.

        장필순 본인은 “조금씩 문을 열고 싶었고 변화하려는 욕구를 상당히 구체화한 앨범”이라고 설명한다. 작업중단의 역경을 딛고 간신히 2002년에 나온 6집도 “5집에 대한 좋은 기억으로 시작했다”고 한다. 1990년대의 수작이라 불리기에 부족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제대로 빛을 쪼이지는 못했다. 대중의 갈채는 여전히 인연이 없었다. 아쉬움이 남지만, 세월이 지나도 살아남는 것이 명작이라면 다섯 번째 이 앨범 역시 그대로 사라져버리진 않을 것이란 믿음이 든다. 포진하고 있지만 티내지 않는 지지자들이 그녀의 곁엔 존재할 것이 분명하니까.


        - 수록곡 -
        1 첫사랑
        2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
        3 스파이더맨
        4 TV,돼지,벌레
        5 풍선
        6 빨간 자전거 타는 우체부
        7 그래!
        8 그녀에 관한 짧은 얘기
        9 넌 항상
        10 사랑해 봐도
        11 이곳에 오면
        12 집으로 돌아오는 길
      • 2008/01 조아름(curtzzo@naver.com)
      • 앨범 리뷰
      • 장필순 Reminds 조동진 장필순 손기호 2021 1637
        Soony seven 장필순 윤은지 2013 7252
        그는 항상 내 안에 있네 장필순 조이슬 2009 6287
        Soony 6 장필순 이민희 2002 6693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   장필순 조아름 1997 6798
        jangpilsoon 장필순 IZM 1995
        이 도시는 언제나 외로워 장필순 IZM 1992
        2집 장필순 IZM 1991
        1집(장필순) 장필순 IZM 1989
      • 싱글 리뷰
      • 소랑 장필순 박수진 2020 1274
        낡은 앞치마 장필순 이수호 2016 2177
        눈부신 세상 장필순 김반야 2013 5417
        그는 항상 내 안에 있네 (장필순 & 함춘호) 장필순 이대화 2009 5253
      • 아티클
      • 장필순 인터뷰 장필순 황선업 7608
      • 최근 업데이트
      • Interview
        투챔프 인터뷰
        • [Album] I’m
        • [Album] Bambi
        • [Album] PAGE
        • [Interview] 김천성 롤링홀 대표 인터뷰
        • [Feature] 조커(Joker, 2019)
        • [Interview] 투챔프 인터뷰
        • [Single] Fightman (Feat. sokodomo)
        • [Single] MONTERO (Call me by your name)
        • [Single] HUSH
        • [Single] 4 the youth freestyle
        • [Album] LILAC
        • [Album] We play
        • [News] 국가가 위기다 - 불리지 않는 노래 國歌의 시련 -
        • [Album] Power Up
        • [Album] KAI
      • 인기 콘텐츠
      • <LILAC>

        아이유(IU)

        <PAGE>

        강승윤

        <Don't Call Me>

        샤이니(SHINee)

        <ONF : MY NAME>

        온앤오프(ONF)

        [OST]미나리(Minari)

        <우리의 방식>

        권진아





      • Editors' Choice
      • Strange Places
        리틀 빅 씨
        [임선희] 혼란과 방황을 집어삼킨 고요한 바다
      • 팟 캐스트더보기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8회 2부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