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Album    POP
      • The Wall
        1979
        핑크 플로이드(Pink Floyd)
      • DATE : 2001/02   |   HIT : 7483
      • by 임진모
      • 벽으로 상징되는 현대 사회의 단절과 위기

        핑크 플로이드는 인간 내면의 의식세계를 깊이 파고들어 음악으로 표출하려 무던히 애썼고, 그 결과 완성도 높은 완벽한 사운드의 앨범과 환상적인 스테이지 구성을 통해 끊임없이 충격을 던져왔다. 그들은 한마디로 정의하면 벽이라는 상징물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의 총체적 위기를 역설한 저항 그룹이었다. 이렇듯 79년 12월 통산 열두 번째로 발표된 더블앨범 <벽>(The wall)은 플로이드 음악의 정점이며 의식의 완결 편이었다.

        핑크 플로이드는 <달의 어두운 저편>에서 현대사회의 밝은 쪽보다 어두운 면을 바라보았다면 <벽>에서는 그 어두움의 근원을 발견했다. 그 벽은 획일을 강요하는 전체주의적 사고요 폭력의 가장 극악한 형태인 전쟁이었으며, 인간과 인간 사이의 자유의사를 차단하는 현대사회의 소외와 잔인성이었다. 결국 플로이드는 벽이라는 단절과 폐쇄의 상징으로 현대사회에 내재되어있는 모든 억압적 요소에 대한 거부를 한편의 사회 드라마로 엮어낸 것이었다.

        이 억압요소 가운데 가장 큰 공격의 대상이 된 것은 획일성을 조장하고 강제하는 교육제도였다. 그것을 담고 있는 곡이 싱글로 발표되어 스매시 히트된 '벽 속의 또 다른 벽돌 2부'(Another brick in the wall.Part2)였다. 이 곡은 발매 5일만에 34만장이 팔렸고 80년 신년 벽두에 빌보드 1위를 차지한 뒤 4주간이나 정상을 지켰다. 미국 음악 저작권협회(ASCAP) 선정 1980년 말 팝 올 차트에서도 앨범 부분과 함께 1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아마도 대중음악사상 교육을 소재로 다룬 최초의 곡일 이 싱글은 그러나 '우린 교육이 필요치 않아요.. 선생님, 우릴 제발 내버려 둬요!'라고 절규하는 어린이들의 코러스 부분 때문에 일부 매스컴으로부터 공격을 받았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 같은 나라에서는 방송 및 음반발매 금지처분이 내려지기도 했다.(우리나라에서도 전면 금지되어 90년이 돼서야 햇빛을 보았다). 그러나 구미 각국에서는 이 곡의 인기에 힙 입어 앨범 <벽>이 2개월만에 100만 장의 판매고를 올렸으며 80년이 끝날 무렵엔 1000만 장을 돌파하는 위력을 과시했다.

        교육제도를 비판한 또 하나의 노래 '우리 생의 가장 행복한 시절'(The happiest days of our lives)에 따르면 가장 즐거웠던 때는 학교에 가 선생님으로부터 괴롭힘을 당하기 전이다. 또 폭력으로 얼룩진 현대의 초상은 '겁에 질린 사람들을 보았는가. 폭탄이 투하되는 소릴 들었는가. 화염은 사라져도 고통은 남아 스멀거리지'라는 내용의 '푸른 하늘이여 안녕'(Goodbye blue sky)에 그려지고 있다.

        앨범 <벽>은 82년 '엔젤 하트', '버디', '미시시피 버닝' 등의 명장 알란 파커 감독에 의해 영화화됨으로써 또다시 주목을 끌었다. 영화의 사운드 트랙이 아니라 영화의 이미지 트랙으로서 영화가 탄생한 것이다. 현란한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충격'을 선사하는 영화 '벽'은 뛰어난 영상과 함께 핑크 플로이드 음악의 힘을 느끼게 해주면서 여전히 영화와 음악 마니아들이 즐겨찾는 레퍼토리로 남아있다. 이 영화는 비디오로 팬들간에 유통되어오다가 99년에는 정식으로 극장 상영되었다.

        <벽>은 그러나 플로이드의 작품이라기보다는 그룹의 리더인 로저 워터스의 독집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는 다른 멤버 데이비드 길모어, 릭 라이트, 닉 메이슨의 의견은 거의 배려치 않았고 독단적으로 작업을 진행했으며 작사, 작곡을 비롯한 모든 부분에서 전횡을 거듭했다. 하지만 그는 <벽>을 자신의 자서전 격으로 전락(?)시키는 가운데에서도 한편의 '드라마'로 연출해내는 역사적 과업을 성공리에 수행했다. 따라서 '벽 속의 또다른 벽들Ⅱ'를 비롯해 '푸른 하늘이여 안녕', '산 몸으로'(In The Flesh), '어머니'(Mother), '편안히 마비된'(Comfortably numb), 그리고 라이브에서 더 진가가 발휘된 '런 라이크 헬'(Run like hell) 등 좋은 곡들이 눈에 띄지만 개별곡보다는 전체적인 맥락에서 수록곡들을 파악해야 한다.

        최고히트에 최대판매 앨범이라는 영광 뒤에는 해산의 기운이 감도는 '어두운 그늘'이 그들을 뒤덮었다. 결국 로저와 데이비드 간의 갈등이 표면화되었고 그 와중에 릭 라이트가 탈퇴, 3인조로 낸 <마지막 장면>(The Final Cut, 83년)을 마지막으로 그룹은 와해되고 말았다. 나중에는 로저가 그룹을 뛰쳐나왔고 릭 라이트가 다시 들어와 '로저 없는 핑크 플로이드'로 재탄생된다.

        <벽> 이후의 진행상황은 실망스럽지만 흔들리기 직전 그들은 록 역사에 길이 남을 '음반 드라마'를 내놓음으로써 팬들의 용서를 구할 수 있게 됐다. 이 앨범은 팝 역사에 획을 그은 것이 사실이요 록 분야에 남긴 위대한 유산임에도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곡 구성 등에서 보여지는 다소간의 취약성 때문에 명반이나 걸작으로 분류하는 데 어려움이 없진 않다.
      • 2001/02 임진모(jjinmoo@izm.co.kr)
      • 앨범 리뷰
      • The Endless River 핑크 플로이드 이수호 2014 6078
        Us And Them: Symphonic Pink Floyd 핑크 플로이드 IZM 1995
        Pulse(Live) 핑크 플로이드 IZM 1995
        The Division Bell 핑크 플로이드 안재필 1994 6226
        Delicate Sound Of Thunder(Live) 핑크 플로이드 IZM 1988
        A Momentary Lapse Of Reason 핑크 플로이드 안재필 1987 5965
        The Final Cut 핑크 플로이드 안재필 1983 5385
        The Wall 핑크 플로이드 안재필 1979 6705
        The Wall   핑크 플로이드 임진모 1979 7483
        Animals 핑크 플로이드 안재필 1977 6021
        Wish You Were Here 핑크 플로이드 안재필 1975 5803
        Wish You Were Here   핑크 플로이드 윤석진 1975 9780
        The Dark Side Of The Moon 핑크 플로이드 안재필 1973 6850
        Dark Side Of The Moon   핑크 플로이드 임진모 1973 8801
        Obscured By Clouds 핑크 플로이드 안재필 1972 5494
        Meddle 핑크 플로이드 안재필 1971 6599
        Atom Heart Mother 핑크 플로이드 안재필 1970 6095
        Ummagumma 핑크 플로이드 안재필 1969 6182
        More 핑크 플로이드 안재필 1969 5375
        A Saucerful Of Secrets 핑크 플로이드 안재필 1968 5497
        The Piper At The Gates Of Dawn 핑크 플로이드 안재필 1967 5737
      • 싱글 리뷰
      • Hey, hey, rise up! (Feat. 붐박스의 안드리 크리브뉴크) 핑크 플로이드 염동교 2022 1641
      • 아티클
      • [열전 (19)]데이비드 길모어(David Gilmore) 핑크 플로이드 유병열 22315
        핑크 플로이드 디스코그라피 핑크 플로이드 안재필 29184
        전설의 귀환, 핑크 플로이드 핑크 플로이드 임진모 18226
        핑크 플로이드, 전설의 라인업이 다시 모인다. 핑크 플로이드 윤석진 9063
        스모키와 로저 워터스 핑크 플로이드 임진모 9162
        20년 만에 발표된 <The Wall> 핑크 플로이드 임진모 6471
        10년 후 국내에서 주목받는 명반 <벽> 핑크 플로이드 임진모 7647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김혜림
        환상
        • [Album] 이름의 장: Temptation
        • [Album] The Fifty
        • [Album] Retrospect
        • [Album] 찰나 (刹那)
        • [Single] Flowers
        • [Single] 환상
        • [Single] Vibe (Feat. 지민 of BTS)
        • [Single] Love war (Feat. 비오)
        • [Feature] IZM 필자들이 처음 듣자마자 반해버린 곡
        • [Feature] 신촌블루스 디스코그래피 돌아보기
        • [Single] Rumble
        • [Single] 신이했어 (Feat. 떠그 민)
        • [Single] Beautiful liar
        • [Single] 정류장
        • [Interview] 엄인호 인터뷰
      • 인기 콘텐츠
      • <Error>

        이찬혁

        <Born Pink>

        블랙핑크(BLACKPINK)

        <Lowlife Princess: Noir>

        비비(BIBI)

        <28 Reasons>

        슬기

        <Antifragile>

        르세라핌(LE SSERAFIM)

        <First Of All>

        박혜원(HYNN)





      • Editors' Choice
      • Ydp
        트웰브
        달달한 알앤비를 기대한 이들의 허를 찌르는 반전의 힙합.
      • 팟 캐스트더보기
        • [뮤직 클라우드] EP. 24 : 국내외 음악계 뉴스 5 (뉴진스 'OMG' 뮤비 논란, 이영지 쇼미 우승, VMC 해체, 코첼라 라인업 공개, 컴백 아티스트)
        • [뮤직 클라우드] EP. 23 : 염동교의 영화음악 / 노래방 힛뜨송 wit...
        • [뮤직 클라우드] EP. 22 : 2023년이 기대되는 뮤지션 그리고 카니예...
        • [뮤직 클라우드] EP. 21 : 2022년 연말결산 Part 2_국내/해외...
        • [뮤직 클라우드] EP. 20 : 2022년 연말결산 Part 1_국내/해외...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김진성의 영화음악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