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All Album Single Article Artist
    1.   · K - Pop · Pop · J - Pop   · K - Pop · Pop · J - Pop · OST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피쳐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상식 · 아티스트  
      •      Album    POP
      • In Utero
        1993
        너바나(Nirvana)
      • DATE : 2002/08   |   HIT : 8287
      • by 김진성
      • <In Utero>는 1994년 그래미 어워드 베스트 얼터너티브 뮤직 앨범 상 후보에 올랐다. 앨범에서 싱글로 나온 'All apologies'는 1995년 그래미 시상식 베스트 록 퍼포먼스(Duo or Group with Vocal)와 베스트 록 노래부문 후보에 선정되었다.

        '십대의 분노는 값을 다 치렀다.' 너바나의 마지막 정규앨범 <In Utero>의 첫 번째 트랙 'Serve the servants'의 첫 소절이다. 커트 코베인(Kurt Cobain)은 이 노래를 통해서 자신들의 상업적 성공이 궁극적으로 그룹을 망치고 있음을 암시적으로 토로했다.

        이와 같이 <In Utero>는 커트의 쓸쓸한 고함, 시비조의 반항적인 펑크, 게라지 밴드 시대를 향한 비감성적 퇴행적 복고, 조야하며 꾸밈없는 로큰롤 모태로의 회귀를 지향한 앨범이다. 이 앨범에서 너바나(Nirvana)는 '얼터너티브'에 대한 무조건적 신봉과 상업화된 록의 관념에 대해 진정한 사회적 낙오자의 심정으로 싹 쓸어 버려야한다고 격분의 욕지거리를 내뱉었다.

        픽시스(Pixies: 너바나 사운드의 고향) <Surfer Rosa>(1988)의 제작 자였던 스티브 알비니(Steve Albini)가 프로듀스를 맡아 너바나 원류의 생생하고 야성적인 사운드를 있는 그대로 부각시켰다. 상업성이 치밀하게 계산된 부치 빅(Butch Vic)의 깔끔한 팝적 멜로디와는 완전히 갈라선 순수한 노이즈의 탐닉이 바로 그것. 드러머 데이브 그롤(Dave Grohl), 베이시스트 크리스 노보셀릭(Chris Novoselic)의 연주가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송라이터 커트 코베인의 을씨년스런 보컬과 경쟁하듯 으르렁대는 사운드의 혼합은 산산이 찢기고 조각난 분노와 고통의 구토물이다.

        커트 자신의 내적 취약성을 분노에 실어 날려버린 'Heart shaped box'와 'Raped me'는 너바나의 전형적인 약 강 약 강 곡 진행이 매력적인 대표트랙. 'Scentless apprentice' 역시 코베인의 내면적 심정을 애끓는 보컬과 의외로 정돈된 기타 파워코드 그리고 불협화음 적 멜로디의 평균율로 표현해냈다. 자박자박 밟아대는 듯한 커트의 기타연주와 애매한 가사는 너바나를 악명(?)높게 만든 커트의 육체적 정신적 불안과 혼란 그리고 좌초를 대변한다.

        결국 그룹의 성공을 자축하는 대신 너바나는 이 앨범을 통해 명예, 갈채, 부가 그들의 해방구가 절대 아니었음을 시사한 강력한 경계의 메시지를 전달코자 한 것이다. 커트가 어느 인터뷰에서 자신 있게 얘기했던 앨범에 수록된 모든 트랙이 완벽한 조합을 이룬 2집 <Nevermind>의 화려함을 결코 찾아 볼 수 없는 것이 본 앨범의 전반적 특징이다.

        초심으로 돌아가 낡고 다듬어지지 않은 본연의 사운드를 통해 자위적 만족감을 표출한 너바나의 실질적인 유작에서 그들이 말하고자 한 진정한 속내는, 그룹 음악인생의 진핵이 한동안의 성공 기간이 아닌 몇몇 그런지 클럽을 전전하며 소수의 팬들 앞에 섰던 그때에 있었다는 것이다. 요람에서 무덤으로 돌아간 커트 코베인의 마지막 결정체 <In Utero>는 이처럼 강렬하고 너무도 진솔했다.

        -수록곡-
        1. Serve the Servants
        2. Scentless Apprentice
        3. Heart Shaped Box
        4. Rape Me
        5. Frances Farmer Will Have Her Revenge on...
        6. Dumb
        7. Very Ape
        8. Milk It
        9. Pennyroyal Tea
        10. Radio Friendly Unit Shifter
        11. Tourette's
        12. All Apologies
      • 2002/08 김진성(jinsung@izm.co.kr)
      • 앨범 리뷰
      • Silver : Best Of The Box 너바나 이대화 2005 8048
        Nirvana 너바나 소승근 2002 9103
        From The Muddy Banks Of The Wishkah 너바나 IZM 1997
        MTV Unplugged In New York   너바나 김진성 1994 8197
        Incesticide 너바나 김진성 1993 7319
        In Utero 너바나 김진성 1993 8287
        Nevermind   너바나 임진모 1991 11980
        Bleach 너바나 김진성 1989 7578
      • 아티클
      • 커트 코베인 25주기 Vol.2 너바나를 기억하는 11곡 너바나 IZM 7092
        커트 코베인 25주기 Vol.1 커트 코베인은 누구인가? 너바나 김도헌 4142
        너바나(Nirvana) ‘Smells like teen spirit’ 너바나 이무영 33749
        미국 정부도 인정한 너바나 너바나 이지연 7996
        커트의 마지막, 영화로 다시 본다. 너바나 김소연 7792
        돌아온 너바나!! 너바나 윤석진 7642
        커트 코베인 유작앨범 정상 너바나 임진모 6715
        코베인 자살후 너바나 앨범마다 차트올라 너바나 임진모 6987
      • 관련 앨범 리뷰
      • Concrete And Gold 푸 파이터스 조해람 2017 3940
        Sonic Highways 푸 파이터스 여인협 2014 9128
        Wasting Light 푸 파이터스 여인협 2011 9697
        Echoes, Silence, Patience & Grace 푸 파이터스 김두완 2007 8052
        In Your Honor 푸 파이터스 배순탁 2005 6535
        One By One 푸 파이터스 배순탁 2002 6317
        There Is Nothing Left To Lose 푸 파이터스 IZM 1999
        The Colour And The Shape 푸 파이터스 IZM 1997
        Foo Fighters 푸 파이터스 안재필 1995 6150
      • 관련 싱글 리뷰
      • Shame shame 푸 파이터스 김도헌 2020 557
        Run 푸 파이터스 조해람 2017 2814
        Saint cecilia 푸 파이터스 이수호 2015 3788
        Something from nothing 푸 파이터스 신현태 2014 5292
        Cut me some slack 폴 매카트니, 데이브 그롤, 크리스 노보셀릭 신현태 2013 8715
        Wheels 푸 파이터스 안재필 2009 6705
      • 최근 업데이트
      • Single
        타루
        정류장
        • [Feature] 2021년 음악을 이해하는 키워드
        • [Feature] 라디오 PD들의 ‘내 인생의 음악 10곡’ - #19 한지윤 PD
        • [Single] Drivers license
        • [Single] 옜다 (Take it) (Prod. GroovyRoom)
        • [Single] 정류장
        • [Single] 화(火花)
        • [Album] What Do I Call You
        • [Feature] 2020년의 한국영화 베스트 5
        • [Single] 나로 바꾸자 (duet with JYP)
        • [Single] 잠재력
        • [Single] 첫사랑 (Feat. SOLE)
        • [Single] Good days
        • [Album] Wonder
        • [News] MBC 창사 60주년, 라디오 ‘유행가, 시대를 노래하다’
        • [Interview] 추다혜차지스 인터뷰
      • 인기 콘텐츠
      • <BE>

        방탄소년단(BTS)

        <tellusboutyourself>

        백예린(Yerin Baek)

        <Better>

        보아(BoA)

        <청파소나타>

        정밀아

        <evermore>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

        <Dog>

        김심야(Kim Ximya)





      • Editors' Choice
      • Happiness Begins
        조나스 브라더스
        [정효범] 각자의 길을 걷던 2000년대 소년들이 2019년의 팝을 장착하다.
      • 팟 캐스트더보기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20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2부
        • [음악채널 오렌지] 19회 1부
        • [음악채널 오렌지] 18회 2부
  • ALBUM

    · K-Pop · Pop · J-Pop · OST

    SINGLE

    · K-Pop · Pop · J-Pop

    INTERVIEW

    · Interview

    FEATURE

    · 특집 · 소승근의 하나씩 하나씩 ·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 소승근의 원 히트 원더스 · Contemporary Musician Story · Live! · 임진모의 위대한 유산 ·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 전찬일의 영화수다 · I Am Woman · All about JPOP · 지난 Feature

    LIBRARY

    · 명반   · 우리의 명반을 찾아서   · 시대를 빛낸 명반   · 50년대, 60년대 명반   · 70년대 명반   · 80년대 명반   · 90년대, 00년대 명반 · 장르 / 상식 · 아티스트

    NEWS

    · News

    FAQ

    · Faq







    2014 IZ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