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민의 ‘네오 케이팝’을 이해하는 가장 빠른 방법은 영상 프로덕션 GDW에서 제작한 7분 분량의 뮤직비디오를 보는 것이다. 창문에 걸터앉아 물방울을 응시하던 수민은 번쩍이는 클럽 화장실에서 수수한 여성과 드랙퀸, 배우 김재욱을 한데 아우른다. 그의 눈동자 속엔 디지털 증강 현실의 고양이 한 마리와 디스토피아 도시, 빨갛게 물든 무희들의 기계적 댄스와 광대의 자유로운 탈춤이 교차된다. 영화 < 에일리언 4 >와 <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를 연상케 하는 ‘Stardust’의 장대한 마무리까지 연결 짓는 데서 아티스트의 야심을 확인한다.
통통 튀는 베이스 리듬과 샘플 보컬의 끊임없는 자극 속 대중적 멜로디를 깔아 둔 ‘Shaker’, 신스 파편과 복잡한 형태의 드럼 머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고양이의 행동을 인간에 옮긴 ‘Meow’부터 확실한 소리 묘사가 두드러진다. 특히 ‘Meow’의 핵심은 기승전결 구조의 파괴다. 섬세하고 부드러운 글리치 샘플로 출발해 ‘부비대’라는 차분한 언어를 전달하면서도 그 소리는 종착지에 가까워질수록 더욱 격렬하고 거칠어진다.
이어 낭만적인 ‘Love dance’가 둔탁한 일렉 기타 샘플의 전반부와 그루비한 베이스 루프의 후반부를 구분하며 섹슈얼리티를 강화한다. ‘난 너가 도망 못 가게 만들 수도 있어 / ... / 내가 봤을 때 우리는 어떻게 할 수 없어’라는 주도적인 성 결정권은 < Your Home >에서도 보여준 수민의 과감한 언어다. 앞 트랙 ‘Meow’와 장르 대비를 이루면서도 메시지 측면에서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구성이 좋다.
‘Bee’는 이리저리 요동치는 소리 요소들과 과격한 드럼 비트로 잘 짜인 혼란을 주조하는데, 사이버펑크적인 사운드와 캐롤 ‘루돌프 사슴코’ 멜로디가 다소 동떨어져 어색한 감이 있다. 반대로 바밍 타이거의 오메가 사피엔이 참여한 ‘Pocket’에서는 그 장난스러운 샘플과 보컬 칩 활용이 두 아티스트의 반항적인 메시지를 뒷받침하며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다.
수민은 국내 알앤비 싱어송라이터들과 다른 궤에 존재한다. 케이팝의 조직적 결과물로부터 얻은 영감을 남다른 소수의 시선으로 옮겨 더욱 과감한 표현법을 지향하는 경우다. 그렇기에 오히려 미디어 아트와 전자 음악을 결합하여 독특한 스타일을 선보이는 21세기 해외 솔로 아티스트들과 접점이 있다. 이들은 일렉트로 팝을 기반으로 한 정교하고도 복잡한 구성에 알앤비, 힙합, 록, 레게 등 다양한 장르를 한 곡에 아우른다.
이런 < Your Home >의 사운드스케이프를 확장한 작품이 < OO DA DA >다. 언뜻 난해한 실험으로 비칠 수 있으나 진화를 위한 필수적인 확장의 단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채로운 색으로 가득 채워진 메탈 팔레트를 보는 듯, 과감하게 ‘우다다’ 달려 나가는 실험가의 EP.
-수록곡-
1. Shaker [추천]
2. Meow [추천]
3. Love dance
4. Bee
5. Pocket (Feat. Omega Sapien) [추천]
6. Stard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