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년 만의 정규 앨범에 싱글로 쳐도 6년 만의 신작. 긴 공백기 내내 임현정은 자신의 전부를 쏟아부을 혼신의 회심작, 음악적 자아의 꽉 찬 실현, 음악 인생의 결정판을 목표했다. 어떤 사운드냐가 관건이었다. 그때 겪은 기쁨, 환희, 설렘, 무기력, 실망, 좌절, 포기 등 무수한 감정의 파편들을 포괄하는 데는 큰 소리 캔버스, 클래시컬 빅 사운드가 잘 맞을 것으로 확신했다. 사실 오래전부터 다채롭고 웅대한 유형의 이런 사운드를 좋아했다. 선택은 유수의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LSO)였다.
골든 애청곡 ‘사랑은 봄비처럼...이별은 겨울비처럼’이 말해주듯 이전 음악에도 클래시컬한 지분은 존재한다. 신보는 그걸 대폭 그리고 섬세하게 확장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음악은 또한 “내 호흡대로 끌고 나가고 내 구역을 구축하면서, 무엇보다 내가 즐거운 음악”이어야 했다. 마치 펄럭이는 두꺼운 천을 입힌 듯한 사운드 덩치뿐 아니라 자신에 대한 온전한 성찰을 신보에 담아냈다. 처음으로 자신을 응시하고 말을 걸었다.
재발견한 것은 자아와 사랑의 소중한 가치. 늘 사랑을 노래했지만 < Extraordinary >의 사랑은 ‘이렇게 태어나진 나 그 자체에 대한 사랑과 믿음’, ‘예술에 맞닿은 더 큰 사랑’으로 거듭났다. 타이틀곡 ‘나에게로 가는 길은 아름답다’가 웅변한다. 포문을 여는 원투펀치 ‘Good time’, ‘Butterfly’와 ‘Talking of eternity(영원을 말하다)’는 오랫동안 그를 둘러싼 ‘과연 나다운 것, 나다운 음악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마침내 끌어낸 답이다. ‘다시는 돌아가지 않아/ 슬픈 날이여 이제는 안녕’(Good time) ‘난 그저 나이고 싶었어/ 나 그저 자유롭고 싶었어’(Butterfly) ‘오직 너만을/ 너의 사랑만을 원해’(영원을 말하다)
본연의 선율 재능과 더불어 빛나는 것은 임현정 보컬이다. 각 곡의 가창이 저마다의 내러티브를 구성하고 있고 모든 곡의 음색이 살짝씩 차이를 보인다. 자신이 만들어낸 것에 대한 자신의 솔직한 반응을 인식하고 조정하면서 얻은 성과일 것이다. LSO와의 협연, 세계적 엔지니어 제프 포스터, 편곡자 맷 던클리와의 협업은 두려웠지만 임현정은 두려움을 정반대로 끌어안으면서 본인이 원하는 소리에 더욱 다가갈 수 있었다. 결과는 수록곡 어느 하나 쉬 지나칠 수 없는 간만의 수작 모음집. 이런 ‘풀 앨범’을 이 시기에 낸 것만으로도 위업이다.
1990년대 중후반 음악 활동을 개시한 임현정은 2006년 5집까지 성공작을 다수 보유했지만 이후 오랜 공백을 가지며 침잠했다. 2018년 복귀해 몇몇 싱글을 발표한 뒤 정규는 기약하지 않은 채 다시 사라졌다. 긴 시간 그는 처절하게 자신과 싸웠고 음악에 몰두, 헌신했다. 중견의 나이에 진정한 자아를 감싸안고 돌아온 그가 6집을 통해 전달하는 것은 가차 없는 단호함에 실어낸 사랑에의 역설(力說)이다. 그리고 마침내 원하던 결실을 얻었다. 다름 아닌 ‘임현정음악’이다.
-수록곡-
1. Good time [추천]
2. The butterfly (Feat. 신윤철) [추천]
3. Talking of eternity [추천]
4. 너에게로 가는 길은 아름답다 [추천]
5. 청춘 (London version) [추천]
6. Only three days
7. God bless you (London version)
8. 사랑이 온다 (London mix)
9. A love song (Instrumental) [추천]
10. 나에게로 가는 길은 아름답다 [추천]
11. Flow [추천]
12. 나에게로 가는 길은 아름답다 (Piano version) (Feat. 정동환)
전곡 작사 작곡 임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