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안아달란 말야 / 달라진 일상과 너마저 없는 하루가 상상이 안 돼 / 한순간에 처음으로 돌아갈 수는 없겠지만 / 너만 거기 있다면 / 다 상관없어 안아달란 말야'
코로나바이러스는 대중음악의 판도를 바꾼다. 뮤지션들은 음악으로 대중을 위무하고 위안하려고 하지만 그 뜻을 이루는 노래는 많지 않다. 그런데도 다비치는 이 대열에 합류했다.
샤프의 ‘연극이 끝난 후’와 같은 키로 시작하는 도입부의 피아노 연주는 곡 전체를 리드하고 현악기의 합주는 이해리와 강민경의 다른 듯 닮은 보컬을 세세하게 보좌한다. 빈틈을 주지 않으려는 편곡이 돋보인다. 친자매 같은 두 멤버가 작사에도 참여해 송라이터로서의 가능성에 접근한 이 곡은 그동안 이해리에 밀린 강민경의 가창이 돋보이지만 두 멤버가 서로에게 밀리지 않으려는 선의의 경쟁 때문에 호흡은 빨라졌고 듣는 사람은 자신도 모르게 숨이 차온다. 그래서 여백은 사라졌고 여유는 증발했다. 이제 편하게 불러도 다비치의 가창력을 의심하는 사람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