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비 킴은 부가킹즈에선 '랩'을 하지만 솔로 앨범에선 '노래'를 한다. 그의 가창은 늘 말하기와 노래하기의 아슬아슬한 경계에 있어 명확한 구분을 짓기는 어렵지만, 확실히 솔로 앨범에서는 '노래'의 비중이 크다. '고래의 꿈'(2004), '파랑새'(2006)가 모두 그랬다. 그리고 부가킹즈의 '사이렌'(2008)에선 다시 랩을 했다.
이번엔 다시 노래를 했다. 크게 달라진 것이 있는데, 스스로 작곡하지 않고 다른 작곡가들에게 곡을 의뢰해 자신은 이것을 받아서 부르는 보컬리스트에 집중했다는 것이다. 첫 싱글인 'Mama', 'Only you'는 변진섭의 주요 곡들을 맡았던 것으로 유명한 하광훈이, '바래다주고 오는 길'은 이승철의 '긴 하루'로 유명한 전해성이, 그리고 첫 싱글인 '사랑.. 그놈'은 뛰어난 보컬리스트이자 스스로 싱어송라이터이기도한 박선주가 맡았다.
자기에게 어울리는 곡을 직접 만들어 부르지 않았기 때문인지 '사랑 그 놈'을 비롯해 앨범의 전체적 분위기가 지금껏 들어온 바비 킴의 음악과는 사뭇 다르다.
가장 달라진 것은 소울, 레게 향이 진했던 바비 킴의 음악이 단순히 무난하게 들리는 성인 풍 발라드로 돌아섰다는 것이다. 주류 작곡가들이 히트를 위해서 만든 노래에 자기만의 독특한 향으로 무게감을 실어보려 애쓰지만 편곡과 선율 자체에서 나오는 진부함과 평범함의 틀은 쉽게 벗어나지 못한다.
최근의 음악 시장이 하도 자극 위주로 흘러서 상대적으로 '정통'의 접근으로 비쳐질 뿐, 바비 킴의 나이 또래를 기준하면 상당히 판에 박힌 패턴이다. 그가 '고래의 꿈'때부터 줄곧 깊이, 페이소스, 회한 등을 불러왔기 때문에 겨우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음악 형식과 접근법에 있어서는 담고 있는 감성의 진한 무게감과 무관하게 너무 얕고 가볍다.
레게, 소울 안에서도 품위 있는 선율감을 잘 구사하던 그가 갑자기 왜 이럴까. 바비 킴의 목소리, 특히 인생의 쓴맛을 노래하기에 가장 적절해 보이는 향이 가득한 목소리만 아니면 평범함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앨범이다. 그리고 이렇게 목소리 하나만을 남기고 음악의 진한 멋을 다 평균화시킨 이번 앨범의 행보가 잘 이해되지 않는다. 정말 그런 '평균화'가 바비 킴의 목표인 걸까?
-수록곡-
1. MaMa
2. White memory
3. 사랑.. 그 놈
4. 넌 모르지
5. Only you
6. 천 번을 더해도
7. 약한 남자
8. 바래다주고 오는 길
9. 소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