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은 ‘심플’하게. 제목도 ‘심플’하게. 랩도 그래서 ‘심플’하다.
엠씨 몽의 노래는 훅이나 후렴구가 비교적 귀에 잘 들어온다는 장점을 지녔지만, 제목과 참여하는 가수, 가사의 차이만 조금씩 드러날 뿐 어떤 곡이라도 다 엇비슷하게 들린다는 단점도 함께 갖는다. 작곡가 김건우와의 작업을 통해서 대중이 즐겨 듣는 팝 랩의 공식을 만들었을지는 몰라도 그에 따라 신선함이라고는 눈을 씻고도 찾아볼 수 없는 매너리즘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노래의 재미는 계속 떨어지고 이를 안무나 패션으로 충당하는 과정도 이제는 식상하다.
예전에 <개그 콘서트>에서 ‘왕비호’가 자신에게 했던 ‘모든 곡이 동일하다’는 공격을 개그 소재나 단순한 우스갯소리로 넘겨서는 지금과 같은 답보 상태를 벗어날 수 없다. 하다못해 래핑의 억양이라도 변화를 줘야 하지 않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