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 이미지
T-School
김태우
2011

by 여인협

2011.08.01

“김태우의 '사랑비'는 여느 해외의 팝 넘버가 부럽지 않은 2009년 최고의 팝송이었다.” -유희열 (유희열의 스케치북 중에서)

백퍼센트 공감한다. '사랑비'는 2009년에 등장한 국내 가요 중 단연 인상적인 노래였다. 곡이 좋았던 이유도 있지만, 무엇보다 김태우가 이런 노래를 부를 줄도 안다는 의외성도 한 몫 했다. 이 싱글 하나로 김태우는 (음악적인 부분에서) '아이돌 출신 가수의 성공적인 롤 모델로 남았다'는 인상마저 준 것이 사실이니까. 한 마디로 김태우를 재발견하게 만들어준 곡이었다.

동시에, 아직 밟지 않은 이후 행보가 불안해보인 것도 사실이다. 한 번 기대치가 높아지면 대중의 역치 또한 그만큼 높아지게 마련. 전과 다른 개성, 혹은 그 이상 퀄리티를 가진 음악을 선보이지 못하면 '기대이하'라는 음악 팬들의 불평을 감수해야 한다. 이것은 가수들이 무리해서라도 변신에 변신을 감행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변화를 통해 의외성을 보인다면 음악의 질적인 문제를 떠나 일단의 관심을 확보할 수 있는 까닭이다.

< T-School >에는 그런 요소가 전무하다. 곡의 내용은 물론 앨범의 콘셉트까지 전작을 상당부분 답습했다. < T-Virus >(2009)와 비교해 보자. '하고 싶은 말 part.2'의 자리는 '음악으로'가, '사랑비'의 자리는 '메아리'가, '기억과 추억'에서 함께했던 전 지오디(god) 멤버들의 자리는 'Brothers & me'에서 박진영과 비로 대체되었다. 좋게 말하면 노선고수, 나쁘게 말하면 자기복제다.

물론 한 우물만 파는 것으로 지지를 받는 뮤지션들도 있다. 소수를 위한 음악의 명맥을 힘겹게 유지하고 있다거나, 오직 그가 아니면 들려줄 수 없는 독자적인 색깔의 음악을 펼친다거나하는 음악가들이 그런 경우다. 그렇지만 대중과의 교감이 최우선인 '파퓰러'한 음악이라면 사정은 달라진다. 비슷한 모습을 보였을 때 안주한다는 인상을 쉽게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이런 대중 친화적 음악이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으로, 타이틀곡 '메아리'가 ('사랑비'만큼 월등하진 않지만) 결코 수준 이하의 팝 넘버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만큼의 주목을 받지 못한 이유도 여기에 있는 듯하다. 멜로디도 괜찮고, 무엇보다 편곡이 상당한데도 사랑비와 그 문법이 과히 흡사해 신곡을 듣는 기분이 나지가 않는다. 변화와 고수, 그 둘의 균형을 제대로 맞추지 못한 탓이다.

한 가지 더. 수록곡 중 '늦기 전에'의 경우는 그 모티브가 단번에 노출되는 노래다. 전개 자체는 물론 멜로디까지 니요(Ne-Yo)의 'So sick'과 상당부분 일치한다. 다른 곡들이야 감상자마다 다른 해석의 여지를 남길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것만큼은 ('so sick'을 아는) 그 누가 들어도 고개를 갸우뚱할만한 트랙이라는 점에서 혼란을 야기할 만하다.

김태우가 걸출한 보컬리스트라는 점은 더 강조할 필요가 없다. < T-School >이 그런 그의 진가를 한참이나 가려버린 앨범이 된 것 같아 안타깝다. 대중과 소통의 폭을 넓히고 싶다면 자기만의 천연색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그것을 머금은 채 어떤 방향으로 변화를 시도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어떻게 나올지 몇 수 앞이 뻔히 보인다면 무슨 재미가 있을까. 지금 김태우에게는 '의외성의 회복'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수록곡-
1. 음악으로
2. Brothers&Me (with JYP & Rain)
3. 메아리 [추천]
4. 이게 말이 돼? (with 수호)
5. 늦기 전에
6. 빗물이 내려서
7. 그대라는 날개
8. 6년 전 오늘 (with Lyn)
9. Just smile (with 마이티 마우스) [추천]
10. 메아리 (inst.)
여인협(lunariani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