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적으로 힙합 음악이라 통칭되는 랩 음악은 기존 팝 뮤직과 달리 리듬 위주의 반주, 노랫말을 한층 생동감 있고 유려하게 만들어 주는 화자 혹은 가수의 플로우(flow), 문장에서의 압운(사실 이것은 팝 음악에도 존재하지만, 특히 랩의 기술 면에서 더 큰 의미를 띠게 되었다) 등을 특징 내지는 재미를 제공하는 요소로 지닌다. 그러나 때로는 이러한 사항이 되레 랩을 도식화하고 맞춰진 틀 안에서 변동 없이 제자리걸음 하게 하는 불편한 기제로 작용하는 예도 있다.
반주만 덩그러니 재생되는 인스트루멘틀 힙합이 아닌 랩 음악에서는 래핑이라는 일종의 발화 과정을 연행(演行)하기 위해 문자, 곧 글이 필요하다. 가이드가 아니라 온전한 레코딩 작품을 내오려면 이 조건은 필수며 기초다. 문제는 여기에서 시작된다. 노랫말이 되는 글, 거창하게는 메시지를 청취자에게 잘 들리게 하는 데에 위에서 언급한 리드미컬한 반주, 자기만의 특별한 플로우, 유려한 라임 연출이 필요한 것이지, 이것들을 위해서 가사를 쓰는 것은 아닐 것이다. 많은 래퍼, 힙합 뮤지션이 이와 같은 부대 가치에 매몰되고 매달리는 듯한 작금의 상황 때문에 외양에 치중하는 랩이 난무하는 현실은 마치 위기로까지 느껴지기도 한다.
힙합의 탄생지인 미국의 그네도 마찬가지지만, 우리나라 음악가도 그 부분에 많이들 천착한다. 랩을 위해서 주어와 술어 등은 누락되거나 왜곡된다. 때로 너무 심한 변형으로 도대체 무슨 이야기를 하려는 것인지 주장이 전혀 가늠이 안 될 때도 많다. 플로우를 살리기 위해서, 라임을 가꾸기 위해서 문장은 뒤틀린다. 힙합은 어느 순간 자연스럽게 언어 파괴가 용인되는 장르가 되어버렸다. 래퍼는 스타일을 좇고 힙합 애호가들은 그들이 설정한 메커니즘에 반해 열광한다. 우리는 랩을 듣고 있는 것인가? 래핑 기예를 듣고 있는 것인가?
버벌 진트와 그의 첫 정규 작품이 되는 이 앨범 또한 그 현안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자신이 제창하고 타인의 동의를 구한 'king of flow'라는 영관(榮冠)을 차지했지만, 헌칠한 래핑만을 펼칠 뿐 음악 전체, 또는 가사에서 좀처럼 매력을 드러내지는 않는다. 성기를 칭하는 비속어, 성교에 대한 언급, 욕설을 동원해 자극을 앞세우며, 다른 이들을 힐난함에 의욕이 넘친다. 간간이 투정처럼 여겨지는 노래도 존재해 치기 어리게 느껴지기도 한다. 비단 버벌 진트뿐만 아니라 다수 래퍼가 가사를 씀에 있어서 자신이 펼치는 이데올로기가 자명하다고 믿기 때문에 어떤 소재를 채택할지, 무슨 주장을 펼칠지에 대한 속박에서 벗어날 수는 있겠으나 좀처럼 무게가 실리지 않은 노랫말은 감동과는 멀찍이 거리를 두고 만다.
그는 하지만 무척 영민한 뮤지션이다. 팀버랜드(Timbaland)가 등장한 이후 현란한 싱코페이션의 힙합 곡이 주류를 점령했지만, 클립스(Clipse)의 'Mr. me too'라든가 쿨 키즈(The Cool Kids)의 'Black mags', 키즈 인 더 홀(Kidz In The Hall)의 'Driving down the block'처럼 극소 편성으로 색다른 매력을 발산하는 곡이 최근 들어 늘어나는 추세이기도 한데, 이 물살을 타고 버벌 진트 역시 그와 흡사한, 여백이 강조되는 비트를 주로 내세우고 있다. 자신이 가장 자신 있는 플로우와 라임 연출에 청취를 집중하게 하려는 방편으로 현란한 비트보다는 미니멀한 사운드의 반주를 취택했다.
그는 그리고 뛰어난 기량을 소유한 사람이다. '킹 오브 플로우', '색다른 라이밍을 만든 한국 힙합의 선구자' 같은 다소 과장된 칭예까지는 아니더라도 괜찮은 래퍼임은 분명하다. 톤은 진중하며, 플로우는 무척 날쌔서 랩을 빠르게 귓가에 안착하게 해준다. 영어에서나 우리나라 말에서나 발음도 정확해서 더욱 안정적으로 들린다. 이 안에서 맞춰지는 각각의 운(韻)은 짜임이 강하고 노글노글한 진행을 보여 마치 유선형 물체를 마주하는 기분이 들 정도다. 랩이 바깥으로 나오는 순간 공기의 저항이라곤 전혀 느끼지 않는 것처럼 편하게 쭉쭉 퍼진다. 그야말로 '앙진(昂進)'이다.
이런 명쾌한 속주를 방해하는 부분은 아쉽기만 하다. 바로 몇몇 인스트루멘틀 곡들이다. 말로 다 표현하지 못한 감정을 부연하고자 곳곳에 뿌려둔 것이겠으나 어떤 트랙은 순전히 비트만을 근간으로 두어 어떠한 느낌을 드러내려 한 건지 여간해서는 이해되지 않는다. 뚜렷하지 않다 못해 감지하기조차 어려운 단순 구조이다 보니 화성 위주의 편곡이나 적당량의 음성, 이펙트가 들어갔다면 한결 유용했을 테다. 그렇지 못한 연주곡들은 제목과 매치도 잘 안 될 뿐더러 스트레이트한 감상에 지장을 준다.
남는 매력은 몇 가지 안 된다. 한 손에 꼽을 만큼이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단연 경묘한 래핑이다. 이 시원한 플로우에 탑승해 흘러가는 노랫말이 쉽게 잊힐, 마초적 자세와 자기 자랑 등에만 경도되고 있어 안타깝다. 불평이나 악다구니를 푸는 걸 문제 삼자는 게 아니다. 감각을 확 잡아끄는 신선한 이미지나 총기 있는 수사마저 부족하고 단지 라임을 맞추기 위한 언어유희만이 맴돈다. 다 증발하고 기교만 남았다. 방금 윤기가 좔좔 흐르는 음식을 먹었는데 정작 필수 아미노산은 별로 안 되는 먹을거리였던 것. 왠지 모르게 헛헛한 기분이 드는 이유는 이 때문일 것이다.
-수록곡-
CD 1
1. 편견
2. 누명
3. 선고
4. 망명
5. 망각
6. 2008 대한민국 (feat. San, Swings, Gehrith Isle)
7. 역사의 간지(奸智)
8. Tight이란 낱말의 존재이유
9. 1219 epiphany [추천]
10. Ad hoc (feat. Youngcook, 12MB)
11. 배후 (feat. B-Soap, Youngcook) [추천]
12. 일 수도 있다는 식으로 살다가 죽음을 맞이 함
13. Want you (feat. Inc, Von)
14. Circles (feat. B-Soap, 넋업샨, Warmman, 조현아)
15. Losing my love [추천]
16. How long
17. Leavin' (feat. MC Meta, E-Sens, 조현아)
18. 자고가요
19. Drunk
20. The grind
21. 불
22. 사자에서 어린아이로
23. 여여(如如)
CD 2
1. 투올더힙합키즈 투 (Simo Remix)
2. 투올더힙합키즈 투 (Bamduck Remix)
3. 투올더힙합키즈 투 (Magnum Propaganda Remix By Paycoban)
4. 투올더힙합키즈 투 (Siren Remix)
5. Make up sex (Ja Remix)
6. 내리막 (Ja Remix)
7. Favorite (feat. Kebee, The Quiett) (Remix)
8. 투올더힙합키즈 투 (Quaalude Remix)
9. 개꼬장 (El Jamic Remix)
10. 투올더힙합키즈 투 (The Quiett Remix)
11. Get 2 know u (Remix)
12. 투올더힙합키즈 투 (D'Anne Michelle Remix)